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본문내용
1921년에 있었던 현상 설계 안으로 베를린의 프리드리히스트라세 종착 역의 맞은 편에 자리잡은 삼각형의 대지에 고층 오피스 빌딩을 설계하는 것이었다. 미스가 제시한 안은 입체의 모든 면이 전면 유리로 감사여진 결정체로 도로 면에서부터 20층을 단숨에 올라가는 듯한 안이었다. 이 현상 안을 끝낸 후 미 스는 유리 고층 건물의 디자인에 대한 깊은 관심이 생겼던 듯, 1922년에 Glass Skyscraper안을 발표하였다.
이것은 철골조로 되어 있으며 중심에 서비스 코어가 있는 20층 짜리 마천루로 세 방향으로 사무실의 날개를 펴고 1 층에서 지붕 층까지 전면적으로 유리로 된 커튼 월로 둘러싸인 유리 탑이다. 이는 지금은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금속과 유리로 된 거대한 마천루의 기초가 된다.
유리 막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 바닥에 슬라브를 겹쳐 쌓아서 내부 지주에서부터 켄틸레버로 내밀어져 있다.
유리 막은 가는 금속 창틀로 강조되어 있다.
두 가지 유리 탑 안의 의미 : 완전한 전면 유리 외피를 갖고 있고 새로운 기술의 가능성을 타협 없이 세계에 선언하고 있 다. 극단적으로 건축의 미래상을 정확하게 예언하고 있다. (켄틸레버 구조와 단순미, 명쾌함)
이것은 철골조로 되어 있으며 중심에 서비스 코어가 있는 20층 짜리 마천루로 세 방향으로 사무실의 날개를 펴고 1 층에서 지붕 층까지 전면적으로 유리로 된 커튼 월로 둘러싸인 유리 탑이다. 이는 지금은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금속과 유리로 된 거대한 마천루의 기초가 된다.
유리 막 내부에 철근 콘크리트 바닥에 슬라브를 겹쳐 쌓아서 내부 지주에서부터 켄틸레버로 내밀어져 있다.
유리 막은 가는 금속 창틀로 강조되어 있다.
두 가지 유리 탑 안의 의미 : 완전한 전면 유리 외피를 갖고 있고 새로운 기술의 가능성을 타협 없이 세계에 선언하고 있 다. 극단적으로 건축의 미래상을 정확하게 예언하고 있다. (켄틸레버 구조와 단순미, 명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