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정통계의 종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출산과 출산률
2. 영아사망률(Infant Mortality Rate)
3. 신생아 사망률(Neonatal Mortality Rate)
4. 모성사망률
5. 모자 보건서비스 이용지표
6. 연간특수 사망률
7. 사인별 비(Cause of Death Ratio)
8. 이환율
9.성비

본문내용

,000 혹은 1,000,000을 사용한다.
6. 사인별 비(Cause of Death Ratio)
한 지역에 있어서의 사망에 관여하는 요소로서 어떤 질병의 상대적 중요성을 측정하는데 쓰인다.
사인별 비 =
그 한해 동안 어떤 특정질환으로 인한 사망수
×100
그 한해 동안 모든 사인으로 인한 사망 총수
7. 이환율
발병률 =
그 해 한해 동안 특정질환 발병을 한 신환 총수
×1.000(혹은 100.000)
그 해 7월 1일 현재 총 인구수
1) 발생 혹은 발병률 - 급성또는 만성질환이환에 적용
유병률 =
특정기간동안 또는 그 당시에 존재하는 특정 질환의 총 환자수
×100.000
특정기간동안 또는 그 당시의 총 인구수
2) 유병률 - 만성질환이환상태 파악에 이용가치가 있으며 병원시설, 간호원, 의사 및 기타 요원수, 계획, 연구문제, 지역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파악
8.성비
1. 1차 성비: 태아 성비
2. 2차 성비 : 출생 시 성비
3. 3차 성비: 출생 후 성비
* 인공적인 의학적 조회가 없다는 가정 하에 볼 경우 1차 성비는 110.0, 2차 성비는 105, 3차 성비는 101정도로 남자가 여자보다 많다가 결혼연령에서 남녀 인구수가 비슷해진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11.05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