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러나고 있다. 확실히 초기에 계획되어지지는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위의 접근법은 IL-12(Th1/IFN-γ)와 IL23(Th17)의 pathway를 막을 것 같다. 관찰된 임상적 활성이 이 두 pathway의 targeting에 의해서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IL-23/Th17의 작용기전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지는 후자(IL-23/Th17의 작용기전을 통해서만 이루어진다)의 많은 실험들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시간이 흐르면서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치료 target으로서 Th1/IFN-γ 생물학의 관련성을 감안해, 좀더 포괄적으로 고려할 사항은 자가면역 염증질환에서 IFN-γ의 역할에 관한 쥐와 인간 사이의 분명한 불일치를 보인다는 것이다. 쥐의 경우, IFN-γ와 IL-12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병의 혹독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적어도 CIA와 EAE) 반면에 MS와 RA에 있어서, anti-IFN-γ를 사용한 임상시험은 질병에 대한 악화는 확실히 없고 오히려 약간의 치료효과를 보여 준다. 물론, 주의해야 할 것은 임상시험의 규모가 매우 작았다는 것뿐만 아니라 염소(goat)의 다클론성 anti-IFN-γ 항생제도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자가면역에 있어서 치료 target으로서 IFN-γ의 유효성을 결정하려면 인체에서 만들어진 것과 같은 성질의 mAbs를 사용한 대규모의 임상시험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이런 pathway를 targeting하는데 있어서 잠제적인 안전성에서 대한 책임이 고려되어야 한다. 우리는 IL-23을 중화시키는 것이 IL-12/Th1/IFN-γ pathway의 모으는 것을 조절하는 성질과 항종양/항염증 성질을 남겨놓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효능 대 반응기전에 기초한 독성, 두 pathway를 막을 책임 대 IL-23/Th17 axis를 좀 더 targeting하는 것을 결정하는 좀 더 결정적인 임상 3상 연구가 많은 관심과 함께 기다려지고 있다.
UPDATE
Th17 T-cell의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분화/보조 효소로서 TGF-β1과 IL-6의 역할 뿐만 아니라, IL-23에서 유도되는 IL-17의 생산에 있어 IL-1 receptor signaling의 중요한 기능이 최근의 두개 연구에서 보여 졌다. IL-17생산에 있어서 IL-23과 IL-1의 결합된 활성과 CNS와 관절의 염증반응 진행에 있어서 Th17 T-cell의 중요성도 또한 관련된 모델들을 사용하여 부각되었다.
치료 target으로서 Th1/IFN-γ 생물학의 관련성을 감안해, 좀더 포괄적으로 고려할 사항은 자가면역 염증질환에서 IFN-γ의 역할에 관한 쥐와 인간 사이의 분명한 불일치를 보인다는 것이다. 쥐의 경우, IFN-γ와 IL-12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병의 혹독함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적어도 CIA와 EAE) 반면에 MS와 RA에 있어서, anti-IFN-γ를 사용한 임상시험은 질병에 대한 악화는 확실히 없고 오히려 약간의 치료효과를 보여 준다. 물론, 주의해야 할 것은 임상시험의 규모가 매우 작았다는 것뿐만 아니라 염소(goat)의 다클론성 anti-IFN-γ 항생제도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자가면역에 있어서 치료 target으로서 IFN-γ의 유효성을 결정하려면 인체에서 만들어진 것과 같은 성질의 mAbs를 사용한 대규모의 임상시험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이런 pathway를 targeting하는데 있어서 잠제적인 안전성에서 대한 책임이 고려되어야 한다. 우리는 IL-23을 중화시키는 것이 IL-12/Th1/IFN-γ pathway의 모으는 것을 조절하는 성질과 항종양/항염증 성질을 남겨놓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효능 대 반응기전에 기초한 독성, 두 pathway를 막을 책임 대 IL-23/Th17 axis를 좀 더 targeting하는 것을 결정하는 좀 더 결정적인 임상 3상 연구가 많은 관심과 함께 기다려지고 있다.
UPDATE
Th17 T-cell의 생산에 있어서 중요한 분화/보조 효소로서 TGF-β1과 IL-6의 역할 뿐만 아니라, IL-23에서 유도되는 IL-17의 생산에 있어 IL-1 receptor signaling의 중요한 기능이 최근의 두개 연구에서 보여 졌다. IL-17생산에 있어서 IL-23과 IL-1의 결합된 활성과 CNS와 관절의 염증반응 진행에 있어서 Th17 T-cell의 중요성도 또한 관련된 모델들을 사용하여 부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