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성 모멘트 측정 실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원리

2. 실험 방법

3. data 결과

4. data 분석

5. 토 의

본문내용

5 cm
물체 A와 시료의 관성모멘트
507669.08
시료의 관성모멘트 (실험)
352151.14
시료의 관성모멘트 (이론)
120129.17
%오차
193.14 %
네모난 막대의 관성 모멘트(이론) :
4. Data 분석
이론 값 구하는 식
고체 실린더의 관성모멘트 (이론) :
속이 빈 실린더의 관성 모멘트(이론) :
둥근 막대의 관성 모멘트(이론) :
네모난 막대의 관성 모멘트(이론) :
와 실험값을 구하는 식 에 각 값을 대입하여 값을 구했다.
그리고 오차는 으로 구하였다.
고체 실린더의
관성 모멘트
실 험 값
848362.82
이 론 값
281250.00
오 차
201.64 %
속이 빈 실린더의
관성 모멘트
실 험 값
727099.72
이 론 값
483094.00
오 차
50.51 %
둥근 막대의
관성 모멘트
실 험 값
346251.18
이 론 값
127400.00
오 차
171.78 %
네모난 막대의
관성 모멘트
실 험 값
352151.14
이 론 값
120129.17
오 차
193.14 %
5. 토 의
이번 실험 결과 큰 %오차가 발생했다. 적게는 50~200%가까이 차이가 났다. 이번 실험 에서 큰 오차가 발생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었을 것이다.
첫째 원인은 실험에서 회전체를 완전히 멈춘 후 회전체에서 손을 놓으니 움직이지 않았다. 그래서 회전체를 약간 튕겨줘서 회전체를 움직이게 했다. 여기서 큰 오차가 발생했다.
둘째, 추가 떨어질 길이 40cm를 고정대에 표시하고 초를 재는 시계는 핸드폰 스탑 워치로 했다. 센서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측정한 것이 아니라 눈대중으로 측정했다. 우리는 정확하게 한다고 했지만 40cm가 지나서 스탑 워치를 멈췄을 경우도 있었을 것이고, 그 전에 멈췄을 경우도 있었을 것이다.
셋째, 회전체가 돌때의 마찰력, 실과 도르래의 마찰력 등 마찰력에 의해서 오차가 생겼을 것이다.
넷째, 회전체에 실을 감을 때 실이 꼬이지 않게 한다고 했지만 실험을 할 때 실이 꼬였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실이 꼬이면 제대로 풀리지 않아 추가 떨어지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다섯째, 회전체에서 나오는 실과 첫 번째 도르래와 평행 일치되어야 하는데 눈대중으로 했기 때문에 정확히 평행이 되지 않을 수 도 있었을 것이다.
여섯째, 버니어 캘리퍼스로 시료의 길이를 쟀는데, 2번씩 확인을 하고 쟀지만 길이의 오차가 있을 수 있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1.07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