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과 장
2. 무의 크기
3. 원을 통해본 지주경제
4. 소원경영의 실제
2. 무의 크기
3. 원을 통해본 지주경제
4. 소원경영의 실제
본문내용
어 볼 때 이러한 두 가지 경영 형태 중에서는 자기 경영이 주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력자들의 규모가 큰 원의 경우 자연히 노비의 노동력을 동원한 직영형 자기 경영을 택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 경영 방식으로는 도저히 경작할 수 없었던 대규모의 원도 존재하였는데 논문의 보이는 1頃(100畝)의 원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대부분 상속과 불법적인 탈점 등의 방법으로 형성한 대규모의 원으로, 이러한 대규모의 원을 소유한 자들이 토지가 없거나 적은 토지를 지닌 농민들에게 소작을 주는 전호제 경영이 자연스럽게 나타났다. 이처럼 전호제 경영은 대토지 소유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전호제의 전호는 대부분 일반 농민이거나 노비, 순수 소작농도 있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