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영화를 접하고 첫느낌
2.본론- 영화의 전반적인 줄거리및 평가
3.결론- 영화를 통해 바라본 세상
2.본론- 영화의 전반적인 줄거리및 평가
3.결론- 영화를 통해 바라본 세상
본문내용
다른 인물을 대표하면서 편견에 사로잡힌 사람, 자기주장이 없이 남의 의견만 동조하는 사람, 무신경한 사람 등 다양한 모습의 사람들로 다시 연출된다. 각자의 인물들이 자신이 살아온 인생과 생각에 따라 같은 사건을 자기만의 생각과 틀 안에서 보는 관점 역시 참 흥미로웠다. 그리고 그런 생각을 한사람 때문에 바꾸게 되는 과정 역시 볼만했다.
자신의 감정으로만 유죄를 주장하는 인물들과 빨리 재판을 끝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가운데 이들과 토론하고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려는 주인공의 행동이 참 인상적이었다. 특히 증인들의 증언의 허점을 찾는 장면은 이영화의 하이라이트가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도 민주주의의 핵심인 배심제도를 차차 도입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의식은 어느 정도 일지 궁금하다. 만장일치제. 이 영화의 주인공처럼 자기의 의견을 정확히 내세울 수 있을지. 아니면 이리저리 휩쓸리는 것은 아닐지. 나 역시 장차 배심원이 되어 한사람의 유죄 무죄를 판단하는 자리에 서게 된다면 사람들의 주장에 휩쓸리지 않고 사안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
영화에서처럼 배심원의 역할이 단순히 귀찮은 의무가 되지 않았음 하는 바램 이다.
자신의 감정으로만 유죄를 주장하는 인물들과 빨리 재판을 끝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 가운데 이들과 토론하고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려는 주인공의 행동이 참 인상적이었다. 특히 증인들의 증언의 허점을 찾는 장면은 이영화의 하이라이트가 아닐까 싶다.
우리나라도 민주주의의 핵심인 배심제도를 차차 도입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의식은 어느 정도 일지 궁금하다. 만장일치제. 이 영화의 주인공처럼 자기의 의견을 정확히 내세울 수 있을지. 아니면 이리저리 휩쓸리는 것은 아닐지. 나 역시 장차 배심원이 되어 한사람의 유죄 무죄를 판단하는 자리에 서게 된다면 사람들의 주장에 휩쓸리지 않고 사안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까?
영화에서처럼 배심원의 역할이 단순히 귀찮은 의무가 되지 않았음 하는 바램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