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잔 다르크의 생애
3. 시대적 배경
(1) 백년전쟁
(2) 종교적 입장
4. 잔 다르크의 업적, 영향(시대와의 연관성)
(1) 백년전쟁에서의 활약
(2) 영향
1) 백년전쟁이라는 위급 상황
2) 백년전쟁을 통한 변화
5. 잔 다르크에 대한 평가
(1) 시대 변화에 따른 평가
(2) 성 차별적 평가
6. 나오며
*참고문헌
2. 잔 다르크의 생애
3. 시대적 배경
(1) 백년전쟁
(2) 종교적 입장
4. 잔 다르크의 업적, 영향(시대와의 연관성)
(1) 백년전쟁에서의 활약
(2) 영향
1) 백년전쟁이라는 위급 상황
2) 백년전쟁을 통한 변화
5. 잔 다르크에 대한 평가
(1) 시대 변화에 따른 평가
(2) 성 차별적 평가
6. 나오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지하게 되었다. 정치, 종교 모든 것이 평화와 공존의 시대에 들어섰기에 더 이상 프랑스는 잔의 신화에 집착하지 않았다. 비록 19세기 말-20세기 초 민족주의적 열정이 남긴 잔의 잔재가 여전히 정치화된 상징으로 부활되었던 것은 사실이나 1957년, 잔 다르크를 프랑스령 알제리의 투사로 식민지 전쟁에 끌어들인 적이 있다.
오늘날 잔 다르크는 프랑스 국민 모두의 것이다. 1964년 5월 30일, 문화부 장관 앙드레 말로는 말했다.
“모든 산 자들의 마음 속에 무덤도 없는 잔 다르크의 무덤이 있다.”
(2) 성 차별적 평가
잔 다르크를 정치적 동원수단으로 더욱 교묘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한 것은 정부였다. 정부는 잔의 이미지를 이상적 여성상으로, 잔의 경건성을 공식 교육에 도입시키며 남장한 여전사의 당돌한 이미지가 아닌, 스커트나 드레스 차림의 잔의 부드러운 여성적 이미지 부각에 힘썼다. 고통과 굴욕을 순순히 감내하고 체념할 줄 알고 희생할 줄 아는 여성. 단순하고, 경건하고, 순종적인 여성. 또한 그녀가 문맹이었다는 사실을 통해 여성 지식인을 폄하하고, 여이들에게 도덕 교육과 가정적 역할을 주입시켰다. 남녀 공학도 금지되었던 시기, 여성의 처녀성이 강조되는 것은 당연지사였다. 이들은 잔 다르크의 죽음을 통해 여성성과 모성마저 희생해 가며 싸웠던 잔이 성차별적 순응에 대항해 남성화되었을 때, 여성이 성을 뛰어넘어 남성적 영웅이 되기를 꿈꾸었을 때,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를 보여줌으로써 여성의 여성성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중세 크리스트교를 거쳐 계속되었던 가부장적 체제 하에서의 여성에 대한 비하, 남성의 판타지에 오로지 충족되는 여성들의 모습 속에서 대지의 여신, 생명 잉태의 여신, 모신 가이아로서의 여성은 없다. 여성의 몰락. 그리고 그것이 바로 유럽이었다.
6. 나오며
무지한 농부의 딸인 순박한 시골처녀가 신의 계시를 받고 왕국을 위기에서 구원한 위대한 전쟁 지도자가 되었다. 그녀의 짧은 생애가 남긴 이 불가사의를 둘러싸고 수세기에 걸쳐 후세의 기억 속에서 그녀는 더욱 파란만장하고 기나긴 삶을 살았다.
잔 다르크. 그녀가 구원하고자 한 것은 신과 기독교 정의에 봉사하는 ‘세계 속의 위대한 프랑스’ 였다. 그녀에게 있어 프랑스 왕국은 곧 그리스도의 왕국이었고 프랑스 국왕은 곧 하나님의 사자였다. 그녀의 상징을 둘러싼 갈등의 역사 속에서 우리는 과거 프랑스인들의 열정과 시대정신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곧 민족주의 시대가 분비한 열정의 절정이었다.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그녀의 실체보다는 그녀를 통해 알 수 있는 그 시대의 역사이다. 당시의 일상과 의식세계, 종교적 관행, 민중문화, 애국심, 민족감정, 여론형성 등이 그것이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물론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이러한 역사적 기록과 객관성을 살피는 것도 중요하지만, 신비할 정도로 초월적인 신앙을 가진 시골 처녀가 겪어야 했던 냉혹한 상처와 증오, 그리고 두려움에 관해 생각해 볼 때 신의 부름을 받고 그리하여 가시밭길을 고독히 걸어야 하는 비극적 영웅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었다. 바로 잔같은 특별히 선택된 지도자만의 숙명. 그리고 그러한 숙명을 가진 자가 역사 속에 영원히 기억된다는 것.
*참고문헌
성백용, 「잔다르크-프랑스의 열정과 기억의 전투」, 서울대 인문학 연구원, 2003.
심재윤, 『서양 중세사의 이해』, 선인, 2005.
민석홍, 『서양사총론』, 삼영사, 2006.
헤르베르트 네테, 이은희 편, 『Jeanne d'Arc』,한길사, 1998.
마크 트웨인, 신현철 역, 『잔 다르크』, 박우사, 1998.
김태관, 장동한 역, 『마법으로 똑똑한 사고치기(마녀로 죽은 성녀, 잔 다르크)』, 한솔교육, 2006.
리차드 아머, 남경태 역, 『모든 것은 에우로파로부터 시작되었다.』, 시공사, 2001.
남경태, 『인간의 역사를 바꾼 전쟁 이야기』, 풀빛, 1998.
이명옥, 『꽃미남과 여전사』, 노마드북스, 2006.
타케미쓰 마코토, 이정환 역, 『세계 지도로 역사를 읽는다.』 황금가지, 2001.
*목차
1. 들어가며
2. 잔 다르크의 생애
3. 시대적 배경
(1) 백년전쟁
(2) 종교적 입장
4. 잔 다르크의 업적, 영향(시대와의 연관성)
(1) 백년전쟁에서의 활약
(2) 영향
1) 백년전쟁이라는 위급 상황
2) 백년전쟁을 통한 변화
5. 잔 다르크에 대한 평가
(1) 시대 변화에 따른 평가
(2) 성 차별적 평가
6. 나오며
*참고문헌
오늘날 잔 다르크는 프랑스 국민 모두의 것이다. 1964년 5월 30일, 문화부 장관 앙드레 말로는 말했다.
“모든 산 자들의 마음 속에 무덤도 없는 잔 다르크의 무덤이 있다.”
(2) 성 차별적 평가
잔 다르크를 정치적 동원수단으로 더욱 교묘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한 것은 정부였다. 정부는 잔의 이미지를 이상적 여성상으로, 잔의 경건성을 공식 교육에 도입시키며 남장한 여전사의 당돌한 이미지가 아닌, 스커트나 드레스 차림의 잔의 부드러운 여성적 이미지 부각에 힘썼다. 고통과 굴욕을 순순히 감내하고 체념할 줄 알고 희생할 줄 아는 여성. 단순하고, 경건하고, 순종적인 여성. 또한 그녀가 문맹이었다는 사실을 통해 여성 지식인을 폄하하고, 여이들에게 도덕 교육과 가정적 역할을 주입시켰다. 남녀 공학도 금지되었던 시기, 여성의 처녀성이 강조되는 것은 당연지사였다. 이들은 잔 다르크의 죽음을 통해 여성성과 모성마저 희생해 가며 싸웠던 잔이 성차별적 순응에 대항해 남성화되었을 때, 여성이 성을 뛰어넘어 남성적 영웅이 되기를 꿈꾸었을 때,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가를 보여줌으로써 여성의 여성성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중세 크리스트교를 거쳐 계속되었던 가부장적 체제 하에서의 여성에 대한 비하, 남성의 판타지에 오로지 충족되는 여성들의 모습 속에서 대지의 여신, 생명 잉태의 여신, 모신 가이아로서의 여성은 없다. 여성의 몰락. 그리고 그것이 바로 유럽이었다.
6. 나오며
무지한 농부의 딸인 순박한 시골처녀가 신의 계시를 받고 왕국을 위기에서 구원한 위대한 전쟁 지도자가 되었다. 그녀의 짧은 생애가 남긴 이 불가사의를 둘러싸고 수세기에 걸쳐 후세의 기억 속에서 그녀는 더욱 파란만장하고 기나긴 삶을 살았다.
잔 다르크. 그녀가 구원하고자 한 것은 신과 기독교 정의에 봉사하는 ‘세계 속의 위대한 프랑스’ 였다. 그녀에게 있어 프랑스 왕국은 곧 그리스도의 왕국이었고 프랑스 국왕은 곧 하나님의 사자였다. 그녀의 상징을 둘러싼 갈등의 역사 속에서 우리는 과거 프랑스인들의 열정과 시대정신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곧 민족주의 시대가 분비한 열정의 절정이었다.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은 그녀의 실체보다는 그녀를 통해 알 수 있는 그 시대의 역사이다. 당시의 일상과 의식세계, 종교적 관행, 민중문화, 애국심, 민족감정, 여론형성 등이 그것이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물론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이러한 역사적 기록과 객관성을 살피는 것도 중요하지만, 신비할 정도로 초월적인 신앙을 가진 시골 처녀가 겪어야 했던 냉혹한 상처와 증오, 그리고 두려움에 관해 생각해 볼 때 신의 부름을 받고 그리하여 가시밭길을 고독히 걸어야 하는 비극적 영웅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었다. 바로 잔같은 특별히 선택된 지도자만의 숙명. 그리고 그러한 숙명을 가진 자가 역사 속에 영원히 기억된다는 것.
*참고문헌
성백용, 「잔다르크-프랑스의 열정과 기억의 전투」, 서울대 인문학 연구원, 2003.
심재윤, 『서양 중세사의 이해』, 선인, 2005.
민석홍, 『서양사총론』, 삼영사, 2006.
헤르베르트 네테, 이은희 편, 『Jeanne d'Arc』,한길사, 1998.
마크 트웨인, 신현철 역, 『잔 다르크』, 박우사, 1998.
김태관, 장동한 역, 『마법으로 똑똑한 사고치기(마녀로 죽은 성녀, 잔 다르크)』, 한솔교육, 2006.
리차드 아머, 남경태 역, 『모든 것은 에우로파로부터 시작되었다.』, 시공사, 2001.
남경태, 『인간의 역사를 바꾼 전쟁 이야기』, 풀빛, 1998.
이명옥, 『꽃미남과 여전사』, 노마드북스, 2006.
타케미쓰 마코토, 이정환 역, 『세계 지도로 역사를 읽는다.』 황금가지, 2001.
*목차
1. 들어가며
2. 잔 다르크의 생애
3. 시대적 배경
(1) 백년전쟁
(2) 종교적 입장
4. 잔 다르크의 업적, 영향(시대와의 연관성)
(1) 백년전쟁에서의 활약
(2) 영향
1) 백년전쟁이라는 위급 상황
2) 백년전쟁을 통한 변화
5. 잔 다르크에 대한 평가
(1) 시대 변화에 따른 평가
(2) 성 차별적 평가
6. 나오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