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그러나 소외된 계층인 서자들의 문제와 관리들의 부패상을 비판, 고발하며 주제의 사실성을 높이고, 비교적 사실적인 묘사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대 소설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홍길동전의 내용 구성에 있어서 가장 핵심요소라 할 수 있는 서얼들의 지위향상주장과 군도들의 의적활동 및 도술행사 등은 모두 당시 사회적 배경에 영향을 입어 작품의 핵심요소로 등장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고대 소설이 소재와 인물, 배경 등을 중국에서 취해 온 반면, 이 작품은 순수하게 우리나라를 무대로 삼고 있으며, 작품을 한글로 표기함으로써 한문을 읽지 못하는 서민들에게까지 독자층을 확대시킨 점에서 진정한 한글 소설의 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후에 "구운몽","사씨남정기" 등에 영향을 주었다.
추천자료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한국고전문학]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연정표출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 교재연구를 읽고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4단원 고전문학의 감상 기출문제(교사용)
고전문학감상문- 구운몽,홍길동전,심훈의상록수,손창섭의비오는날 감상문
고전문학 각색 - 선녀와 나무꾼-
고전문학의 이해 - 민담 발표
고전문학의 흐름 - 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고전문학 - 방한림전 ; 작품론 중심으로 논하기
고전문학속의 한국의 여성-홍계월전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고전문학강독-세상속의 삶의 방향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