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과학혁명의 구조(토마스S.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책 선정의 이유

2. 어떤 내용이길래

3. 토마스S.쿤

4. 패러다임(paradigm)

5. 과학사를 제대로 바라보자

6. 이 책을 읽고

본문내용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패러다임은 다른 과학자들에게도 영향을 줬으며 다른 과학자들이 그 뒤를 이어 대통일장 이론을 완성시키기 위해 노력하며 끈 이론 등 우회적으로 우주 현상들을 하나의 이론으로 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통일장 이론은 완성되지 못했다. 완성되었다면 교과서에 실릴 것이다. 하지만 이 패러다임은 아직 진행 중이며 아인슈타인에게만 국한된 패러다임이 아니라 아인슈타인이 죽고 없는 지금에도 연구되고 풀어야 할 수수께끼이며 과학자들에게는 일종의 숙제처럼 남겨져 있다. 즉 패러다임을 무시한 채로 결과만 이야기하는 지금의 과학접근 방식은 바른 과학역사의 전달이 아니라는 것이다.
<6> 이 책을 읽고
사실 요즘 읽고 싶던 책은 '삼국지'와 '마시멜로 이야기'였다. 미루며 안 읽고 있었는데, 이 과제로 인해 예상치 못한 '과학혁명의 구조'란 책을 읽게 되었다. 내용이 어려워 대충의 맥만 따라 읽어서 대략적 내용 말곤 잘 떠오르지 않는다. 읽게 전에 나는 '패러다임'이란 단어를 들었을 뿐, 그게 어떤 의미인지 깊게 생각해 본적이 없다. 이 책을 통해 나는 앞으로 과학역사를 바라볼 때 껍데기만이 아닌 알맹이도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12.0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