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사회를 이끌어가는 기업가정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이 전략을 사용하는 기업가는 새로운 시장이나 새로운 산업의 지배자까지는 아니더라도, 주도권을 누린다. 총력 전략은 많은 사람들이 기업가적 전략으로서는 매우 뛰어난 전략으로 간주하는 접근방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전략은 기업가적 전략 가운데서 가장 큰 도박이다. 이것은 실패를 허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재차 시도해 볼 기회도 주지 않는다.
사실, 이 전략은 아주 규모가 작은 혁신에 적합하다. 그것은 심층적인 분석을 필요로 하며, 혁신의 원천과 그 동력에 대해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그것은 노력과 실질적 자원이라는 측면에서 극도의 집중을 필요로 한다.
2. 게릴라 전략 : "적이 약한 곳을 공격하라" 이 전략은 ‘창조적 모방’과 ‘기업가적 유도’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창조적 모방은 다른 누군가가 새로운 것을 만들 때 까지 그러나 그것을 거의 완성에 가까울 정도로 만들 때까지 기다린다. 그 다음 창조적 모방 전략가는 혁신을 추진한다. 그러고는 짧은 기간 내에 진실로 고객을 만족 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혁신 제품을 공급하고 고객이 원하고 또한 대가를 지불하려 하는 과업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혁신 제품을 제공한다. 그렇게 되면 창조적 모방은 표준이 되고, 시장을 지배하게 된다. 요약하자면 창조적 모방은 제품이 아니라 시장으로부터, 생산자가 아니라 고객으로부터 출발한다. 그것은 시장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시장지향적인 전략인 것이다. 기업가적 유도전략은 처음에는 해안에 교두보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는, 그 다음 기존의 선두주자들이 전혀 방어하지 않거나 전력을 기울이지 않는 곳을 노린다. 다시 말해 신규 참가자가 적절한 시장과 적절한 수입원을 손에 넣게 되면 그 다음 그들은 해안의 다른 지역으로 진출하고는 드디어 섬 전체를 장악한다. 세분시장으로 진출할 때마다 같은 전략을 되풀이해 사용한다. 그렇게 되면 기존의 주도적 기업들은 이 전쟁에서 그들을 좀처럼 이기지 못하게 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11.17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372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