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였던 점이 가장 아쉬운 점으로 남았고 외암리 마을은 자연에 모자라는 거를 채우고 넘치는 것은 삶의 지혜로 극복하여 현재까지 마을을 이루고 있는 듯했다.
내가 전통마을을 답사하면서 마을사람들이 공동체 의식으로 살아가는 과정을 실제로 현장에서 보고 느끼고 마을의 축제 현장을 직접 확인하고 싶다는 생각은 수업시간에 ‘삶의 터전’ 마을 이라는 자료를 보고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위도면 대지 마을의 정월 초사흘에 마을 뒷산에서 원당 굿을 한다. 이는 풍요를 기원하는 행위이다. 또한 위도 띠뱃굿은 띠로 배를 만들어 마을 전체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여 깃발이나 소원문을 작성해 띠배에 마을의 액을 담아 실어 보낸다. 이는 바다에 감사하고 서로 마을사람들이 한 몸이라는 것을 확인하기도 한다. 이러한 마을 고유의 축제나 시제를 보면서 과거부터 전해 내려오는 행위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싶었던 것이다. 외암리 마을은 현재 장승제와, 달집태우기, 쥐불놀이를 행사를 하고 있으며 떡메치기 체험학습장이 따로 있다. 답사를 이러한 행사가 있는 날에 왔었더라면 더욱 마을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고 다른 마을들과 비교학습 또한 가능했을 것이다. 또한 주거와 문화라는 과목을 수강하면서 이러한 전통마을 체험학습을 통해 학습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었고 다음에 기회가 되면 민속마을로 지정되지 않은 일반 마을을 답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볼 것이다.
(참 고 자 료)
한국 전통 마을을 가다 “외암마을”
외암 민속 마을(http://www.oeammaul.co.kr/)
문화재정보센터(http://www.cha.go.kr)
내가 전통마을을 답사하면서 마을사람들이 공동체 의식으로 살아가는 과정을 실제로 현장에서 보고 느끼고 마을의 축제 현장을 직접 확인하고 싶다는 생각은 수업시간에 ‘삶의 터전’ 마을 이라는 자료를 보고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위도면 대지 마을의 정월 초사흘에 마을 뒷산에서 원당 굿을 한다. 이는 풍요를 기원하는 행위이다. 또한 위도 띠뱃굿은 띠로 배를 만들어 마을 전체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여 깃발이나 소원문을 작성해 띠배에 마을의 액을 담아 실어 보낸다. 이는 바다에 감사하고 서로 마을사람들이 한 몸이라는 것을 확인하기도 한다. 이러한 마을 고유의 축제나 시제를 보면서 과거부터 전해 내려오는 행위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싶었던 것이다. 외암리 마을은 현재 장승제와, 달집태우기, 쥐불놀이를 행사를 하고 있으며 떡메치기 체험학습장이 따로 있다. 답사를 이러한 행사가 있는 날에 왔었더라면 더욱 마을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고 다른 마을들과 비교학습 또한 가능했을 것이다. 또한 주거와 문화라는 과목을 수강하면서 이러한 전통마을 체험학습을 통해 학습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었고 다음에 기회가 되면 민속마을로 지정되지 않은 일반 마을을 답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볼 것이다.
(참 고 자 료)
한국 전통 마을을 가다 “외암마을”
외암 민속 마을(http://www.oeammaul.co.kr/)
문화재정보센터(http://www.cha.go.kr)
추천자료
안동하회마을을 다녀와서 -문화탐방, 역사의 고장 안동-
한국문화체험마을 해운대너울 마케팅
주거생활양식의 의미와 주거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한국적 주거생활양식의 특징에...
충남의 마을 신앙으로 보고 (충청지방의 역사와 문화)
전통민속마을의 관광자원 활성화 방안
[북한문화][북한 주거형태][북한 명절][북한 민속놀이][북한 교육기관][북한 교육행정][북한 ...
[홍콩]홍콩의 기본정보, 홍콩의 경제, 홍콩의 공공주거, 홍콩의 대중국투자, 홍콩의 영화산업...
크리스마스(성탄절)의 유래, 크리스마스(성탄절)의 전통문화, 세계 각국의 크리스마스(성탄절...
[문화체험] 맥주축제 - 독일의 옥토버페스트(Octoberfest) & 남해의 독일마을
다문화 사회의 이해 - 북한이탈주민(北韓離脫住民)에 대한 제도적 고찰 {초기 정착금 지급제...
[문화교양학과 공통] 일반적인 축제와 다른, 지역축제가 갖는 특성이나 의의에 대하여 설명...
[다문화사회복지] 이주노동자들의 욕구(이주노동자들이 겪는 문제들을 중심으로) - 노동권과 ...
[마을 만들기] 마을 만들기 사업의 성공사례 ; 마을 만들기의 개념과 필요성 분석
[열린사회와21세기 B형] 위에 제시한 추천도서를 활용하여 ① 지속가능한 발전과 마을만들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