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암리 마을 답사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하였던 점이 가장 아쉬운 점으로 남았고 외암리 마을은 자연에 모자라는 거를 채우고 넘치는 것은 삶의 지혜로 극복하여 현재까지 마을을 이루고 있는 듯했다.
내가 전통마을을 답사하면서 마을사람들이 공동체 의식으로 살아가는 과정을 실제로 현장에서 보고 느끼고 마을의 축제 현장을 직접 확인하고 싶다는 생각은 수업시간에 ‘삶의 터전’ 마을 이라는 자료를 보고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위도면 대지 마을의 정월 초사흘에 마을 뒷산에서 원당 굿을 한다. 이는 풍요를 기원하는 행위이다. 또한 위도 띠뱃굿은 띠로 배를 만들어 마을 전체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여 깃발이나 소원문을 작성해 띠배에 마을의 액을 담아 실어 보낸다. 이는 바다에 감사하고 서로 마을사람들이 한 몸이라는 것을 확인하기도 한다. 이러한 마을 고유의 축제나 시제를 보면서 과거부터 전해 내려오는 행위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싶었던 것이다. 외암리 마을은 현재 장승제와, 달집태우기, 쥐불놀이를 행사를 하고 있으며 떡메치기 체험학습장이 따로 있다. 답사를 이러한 행사가 있는 날에 왔었더라면 더욱 마을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고 다른 마을들과 비교학습 또한 가능했을 것이다. 또한 주거와 문화라는 과목을 수강하면서 이러한 전통마을 체험학습을 통해 학습효과를 더욱 더 높일 수 있었고 다음에 기회가 되면 민속마을로 지정되지 않은 일반 마을을 답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볼 것이다.
(참 고 자 료)
한국 전통 마을을 가다 “외암마을”
외암 민속 마을(http://www.oeammaul.co.kr/)
문화재정보센터(http://www.cha.go.kr)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1.18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