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누리마루
2. 건물개요
3. 골조 형식
4. 안정성 확보
5. 구조설계의 주안점
2. 건물개요
3. 골조 형식
4. 안정성 확보
5. 구조설계의 주안점
본문내용
간 최대풍속은 기상청자료(1971~2003)를 통계분석(GUMBEL분포)한 값을 적용
건물배치를 영향범위 EL+6.93보다 높게 위치 시켜 해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함
표.1 빈도별 최대풍속과 그에 따른 파고, 파주기, Runup 및 Crest Elevation
5. 구조설계의 주안점
5-1. 주단면
횡력저항시스템으로는 보통모멘트골조방식을 적용하였으며, 지상 3층 연결통로와 주 건물간의 거동차이로 발생할 우려가 있는 구조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 조인트를 두었고, 2층 바닥의 활하중은 향후용도 변경의 가능성까지 고려하여 500㎏/㎡을 적용하였다. 기초는 암반굴착을 최소화한 지반성상에 따른 기초저면을 선정하여 지내력기초로 하였다.
5-2. 기초 구조평면
5-3. 2층 구조평면
2층의 골조는 원형평면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배치를 단순화하였고, 내염내식을 위하여 고로슬래그콘크리트를 사용하였으며, 100년기준 내구성을 위해 거더 및 보의 피복두께를 80㎜로 하였다.
5-4. 지붕층 구조평면
지붕층은 곡면지붕의 특성을 방영하여 모든 부재의 형상을 통일하고, 2차부재도 국부적인 풍압에도 안전하게 설계하였다.
※ 참고문헌 : 한국강구조학회지 2006년6월 호
건물배치를 영향범위 EL+6.93보다 높게 위치 시켜 해일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함
표.1 빈도별 최대풍속과 그에 따른 파고, 파주기, Runup 및 Crest Elevation
5. 구조설계의 주안점
5-1. 주단면
횡력저항시스템으로는 보통모멘트골조방식을 적용하였으며, 지상 3층 연결통로와 주 건물간의 거동차이로 발생할 우려가 있는 구조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 조인트를 두었고, 2층 바닥의 활하중은 향후용도 변경의 가능성까지 고려하여 500㎏/㎡을 적용하였다. 기초는 암반굴착을 최소화한 지반성상에 따른 기초저면을 선정하여 지내력기초로 하였다.
5-2. 기초 구조평면
5-3. 2층 구조평면
2층의 골조는 원형평면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배치를 단순화하였고, 내염내식을 위하여 고로슬래그콘크리트를 사용하였으며, 100년기준 내구성을 위해 거더 및 보의 피복두께를 80㎜로 하였다.
5-4. 지붕층 구조평면
지붕층은 곡면지붕의 특성을 방영하여 모든 부재의 형상을 통일하고, 2차부재도 국부적인 풍압에도 안전하게 설계하였다.
※ 참고문헌 : 한국강구조학회지 2006년6월 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