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술 cesarean section C/S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수술 대상자
-수술 전.중.후 간호
-간호과정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증, 공황)
② 불안의 원인 사정
③ V/S 주기적으로 확인
④ 합병증이 일어날 수 있는 요인 사정
① 환자의 불안수준을 정확히 알아야 그에 맞는 간호를 할 수 있다.
② 불안의 원인을 찾아야 정확한 간호를 할 수 있다.
③ V/S은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불안에 떨거나 불안정한 정서적상태는 V/S에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다.
④ 합병증이 불안의 요인이 되므로 예방을 철저히 한다.
교육적 중재
① 진단, 치료, 예후에 관한 실제적인 정보제공
② 처치 중에 경험하게 되는 모든 과정에 대해 설명
③ 가족이 참여하도록 지지
④ 불안감소를 위해 수술환경, 기구 등에 대 한 설명
① 허위정보는 환자에게 혼란을 가져오고 환자는 실제적인 정보를 알 권리가 있다.
② 무지한 상태보다는 전 과정을 알고 있는 상태가 불안을 덜어준다.
③ 가족이 참여함으로써 환자가 편안한 환경 에서 빠른 시간내에 안정을 찾을 수 있다.
④ 수술환경에 적응하여 편안감을 조성한다.
치료적 중재
① 안전하고 조용한 환경 제공
② 침착하고 확신감을 주는 간호 제공
③ 환자의 긴장상태 이해하기
④ 불안을 감소시키는 약물 투여
⑤ 프라이버시 유지
① 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은 환자가 안정을 찾는데 도움이 된다.
② 가장 가까이 있는 간호사가 초초하게 행동을 하면 환자는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
③ 환자를 이해하는 것은 환자의 정서상태에 도움이 된다.
④ 불안의 정도가 심해져 다른 방법이 효과가 없다면 약물로 불안정도의 감소를 유도한다.
⑤ 자신의 프라이버시가 노출됐다는 사실을 인식함으로써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
간호평가
환자는 안정을 되찾았다.
#3. 신체방어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O2, O3, O5)
간호목표 : 환자에게 감염이 발생하지 않는다.
환자는 감염위험요인과 특성, 예방법을 안다.
수술부위와 상처부위가 깨끗하고 배액이 없다.
환자는 예방접종을 받거나 성숙한 면역체계를 유지한다.
간호중재
합리적 근거
진단적 중재
① 감염에 대한 취약성 여부 사정
② 감염의 전신적, 국소적 증상과 징후 사정
③ 외과적 절개, 상처 시진
④ V/S 주기적으로 확인
① 감염에 취약한 부분은 미리 예방을 해야 한다.
② 환자를 잘 관찰함으로써 감염의 유무를 빠르게 파악해야 한다.
③ 절개, 상처부위가 벌어지면 감염의 위험이 큼으로 주기적인 시진이 필요하다.
④ V/S은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교육적 중재
① 환자와 가족에게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
②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교육하고 증상이 나타날 시 바로 보고하도록 교육
③ 되도록이면 절개, 상처 부위는 접촉하지 않도록 교육
① 감염이 일어나기 전에 미리 예방을 하여야 한다.
② 간호사가 계속 관찰하고 있을 수는 없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났을 시 바로 보고하도록 한다.
③ 잦은 접촉은 절개, 상처부위에 손상을 입혀 감염을 유발할 수도 있다.
치료적 중재
① 충분한 영양섭취 제공
② 적절한 상처간호 수행
③ 일반적인 예방조치 준수
④ 항생제 투여
⑤ 환경을 청결하게 하기
① 환자의 몸상태가 좋아야 면역력이 강화될 수 있다.
② 상처는 감염이 쉽게 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무균적이고 올바른 간호가 필요하다.
③ 간호사도 손씻기에서부터 일반적인 예방조치를 준수함으로써 환자의 감염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④ 항생제는 균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켜준다.
⑤ 주변환경이 깨끗하면 환자의 감염위험성이 줄어든다.
간호평가
환자에게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다.
#4. 수술과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목표 : 환자의 피부손상이 회복된다.
환자는 피부손상의 위험요인을 안다.
피부에 합병증이 없다.
환자는 정상적인 피부탄력성을 가진다.
간호중재
합리적 근거
진단적 중재
① 외과적 절개 상태 시진
② 절개부위 치유과정 시진
③ 발적, 부종, 열개 등의 증상이 있는지 절 개부위 시진
④ 조이는 옷을 입고 있는지 시진
① 절개부분은 완전히 아물 때까지 관찰을 해야 한다.
② 치유가 더딘지,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더디다면 그에 맞는 피부간호를 해야 한다.
③ 절개부위에 합병증이 없는지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④ 조이는 옷은 피부손상의 위험성이 있다.
교육적 중재
① 절개부위를 관리하는 방법 교육
② 환자나 가족에게 상처치료과정에 대해 교육
① 절개부위를 자가간호함으로써 빠른 치유를 도모한다.
② 환자나 가족이 빠르게 이루어 지지 않는 상처완화에 대해 불안감을 가질 수도 있다.
치료적 중재
① 적절한 간격으로 드레싱 교환하기
② 상처에 긴장을 주지 않는 체위 유지
③ 정맥주사 부위간호 시행
① 드레싱을 적절한 간격으로 갈아줌으로써 빠른 상처부위완화를 유도한다.
② 상처부위가 압박을 당하는 체위는 상처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
③ 절개부위 뿐만 아니라 정맥주사 부위도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세심한 간호가 필요하다.
간호평가
피부손상이 회복되고 합병증이 없다.
Ⅲ. 결론
본 조사자는 제왕절개에 대한 정의, 적응증, 수술절차, 기구, 간호 등을 한 사람의 환자를 대상으로 두고 전반적인 제왕절개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제왕절개는 다른 수술과는 달리 한 사람의 안위만 염두할 것이 아니라 산모와 태아 모두의 건강을 염두해야 한다. 간호사는 수술 중에 이루어지는 간호도 중요하지만 수술 전, 수술 후의 간호도 세심하게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정서적 불안이나 합병증을 감소시켜줘야 한다. 또한 환자에게 모든 수술의 과정과 자가관리 방법이 교육되어져야 한다. 제왕절개 뿐만 아니라 모든 수술은 사소한 반응에도 주의를 귀울이고 안전하고 성공적인 수술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 report에서 제왕절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했지만 제왕절개에 대한 모든 내용을 포괄적으로 조사하지 못 하였으므로 내용에도 한계가 있고 간호학생의 학습자료로 더 다양하고, 정확하고 실질적인 의학자료를 이용하여 더 깊은 지식을 통한 학습이 필요하다.
Ⅳ. 참고문헌
변영순 외(2004) 최신 수술 환자 간호. 수문사 p.431
윤혜상(2000) 개정 2판 수술실 환자 간호. 청구문화사 pp.296~298
정문숙 외(2005) 여성건강간호학 Ⅱ. 정담미디어 pp.663~669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1.20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