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이더넷
2.패스트 이더넷
3.기가비트이더넷
2.패스트 이더넷
3.기가비트이더넷
본문내용
은 FastEthernet에서도 마찬가지다.
라. Ethernet과의 차이점
데이터 전송이 10배 증가하게 되면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물리적인 부분에 어떤 차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3가지의 중요한 차이가 있다.
A) 100BASE-T4로 바꾸면 100Mbps의 속도로 카테고리 3또는 4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B) 물리 층의 변화로 인하여 동선으로부터 전자기적 방사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FCC요구를 여전히 만족시키면서 ool고속의 전송을 보장한다.C) Cable Budget(케이블 거리와 리피터의 수)
마. 케이블링 규칙
Ethernet과는 달리, Fast Ethernet은 2개 클래스의 리피터를 가진다. Class I 리피터는 Class II 리피터보다 느린데 각 벤더들이 Class I리피터에 특별한 기능들을 부가하도록 허용했기 때문에 처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Class I 리피터의 예.
단일 Class I리피터로 동작하는 stacking된 Hub혼합되어 구성된 T4와 TX 또는 T4와 FX Hub단일 T4 Hub
Class II 리피터의 예
단일 100BASE-TX Hub단일 100BASE-FX Hub혼합된 100BASE-TX와 100BASE-FX Hub
Q> 이런 케이블링 규칙을 기반으로 하여 Delay time에 대한 최대 Collision domain을 살펴보자.Fast Ethernet Cable 길이 계산A) 조건1. 모든 Copper segment는 100m 이하여야 한다2. Fiber segment 는 412m 이하이다(half-duplex인경우)3 모든 Delay time(Round Trip Delay Time)은 합산하여 512bit time을 넘어서는 안된다. 또한 512에 0-4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 각 장비의 delay time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B) 각각의 Delay time Catagory 5 Tx Cable meter 당 1.112Fiber Optic Cable meter 당 1Class I repeater 140Class II repeater 922 TX/FX DTE 100Category 3 TX meter 당 1.14 1 T4와 1 TX/FX DTE 127
A,B =>미터당 최대 Collision domain
리피터 타입 Copper Fiber Copper와 Fiber Copper와 Fiber (T4와 FX) (TX와 FX)
D) TE-DTE 1 Seg 100 412 N/A N/A 1 Class I 리피터 200 272 230b 260.8b 1 Class II 리피터 200 320 N/Ac 308.8b 2 Class I 리피터 205 228 N/Ac 216.2d
b: 100meter copper link와 1 fiber linkc: 적용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T4와 FX는 Class II 리피터와 같이 연결될 수 없음d: 105 meter의 copper연결과 1 fiber 연결이라 가정하라
위에 명기된 조건과 Delay Time으로 계산한 결과, 미터당 최대 Collision domain을 계산할 수 있었다. 이는 기본 네트웍 케이블링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바. 패스트 이더넷의 장점
똑같은 CSMA/CD 액세스 방법을 사용하고 같은 프레임구조와 MAC 기능을 사용함.허브기반의 아키텍쳐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Unshielded Twisted-pair(UTP)케이블 위에서 실행됨. 똑같은 네트웍 관리 툴을 사용할 수 있다.기존 MIS 프로그램과 경험을 활용60개 벤더를 포함한 폭 넓은 지원
2.3 기가빗 이더넷
가. 정의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표준은 1000Mbps의 대용량 대역폭을 제공하며 기존의 10/100 이더넷 표준과 완벽하게 호환되며 패스트 이더넷(Fast Ethernet)에 비해 비용은 겨우 2-3배 비싼데 비해 성능은 10배 이상 뛰어나다. 또한, 대역폭을 거의 100배 가까이 증가시킴으로써 지나친 부담을 지고 있거나 날로 커지는 네트웍 기반구조의 문제를 갖고 있는 조직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기가비트 처리율은 사용자들이 데이터 집중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생산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확장성과 속도를 모두 제공하면서 LAN 백본의 부담을 크게 덜어준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802.3(CSMA/CD)과 이더넷 표준 프레임 포맷은 물론 802.3 매니지드 객체 규격을 보존하므로 각 조직은 기존의 애플리케이션과 운영 시스템, IP, IPX, 애플토크와 같은 프로토콜과 네트웍 관리 플랫폼 및 툴을 유지하면서 기가비트 속도로 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들은 서버스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기가비트 이더넷을 네트웍에 구축할 수 있으며, 신기술은 사용자 들에게 전적으로 투명하게 제공된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본래 이더넷 표준의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를 계속 지원할 것이며 반이중 모드 뿐 아니라 전이중(full duplex) 운영 모드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최초의 기가비트 이더넷 표준 셋은 멀티모드와 단일모드 광섬유 케이블은 물론 단거리 동선(동축)도 지원한다.
즉, 기가비트 이더넷은 인터넷/인터라넷의 환경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LAN의 고속화와 광역화 요구에 대해 기가빗 이더넷이 급부상하였다1000Mbps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한편, 이더넷과 동일한 CSMA/CD프로토콜, 프레임 크기를 채택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기가빗 이더넷은 기준 프레임 기반의 네트웍을 확장 시켜 주며, ATM 백본과 WAN애플리케이션을 보안 하여 준다.
다. 이행 가능 솔루션 스위치간 접속: 스위치간 연결 업그레이드에 기가빗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패스트 이더넷 스위치 혹은 리피터간을 연결스위치-서버간의 연결 : 기가빗 이더넷 NIC를 삽입한 서버와 기가빗 이더넷을 스위치를 접속하는 방법기가빗 이더넷 백본: 복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패스트 이더넷을 기가빗 이더넷 스위치로 변환하고, 동시에 주변 장비도 기가빗 이더넷 인터페이스 혹은 업링크가 가능한 허브나 라우터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라. Ethernet과의 차이점
데이터 전송이 10배 증가하게 되면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물리적인 부분에 어떤 차이점을 기대할 수 있다. 실제로 3가지의 중요한 차이가 있다.
A) 100BASE-T4로 바꾸면 100Mbps의 속도로 카테고리 3또는 4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B) 물리 층의 변화로 인하여 동선으로부터 전자기적 방사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FCC요구를 여전히 만족시키면서 ool고속의 전송을 보장한다.C) Cable Budget(케이블 거리와 리피터의 수)
마. 케이블링 규칙
Ethernet과는 달리, Fast Ethernet은 2개 클래스의 리피터를 가진다. Class I 리피터는 Class II 리피터보다 느린데 각 벤더들이 Class I리피터에 특별한 기능들을 부가하도록 허용했기 때문에 처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Class I 리피터의 예.
단일 Class I리피터로 동작하는 stacking된 Hub혼합되어 구성된 T4와 TX 또는 T4와 FX Hub단일 T4 Hub
Class II 리피터의 예
단일 100BASE-TX Hub단일 100BASE-FX Hub혼합된 100BASE-TX와 100BASE-FX Hub
Q> 이런 케이블링 규칙을 기반으로 하여 Delay time에 대한 최대 Collision domain을 살펴보자.Fast Ethernet Cable 길이 계산A) 조건1. 모든 Copper segment는 100m 이하여야 한다2. Fiber segment 는 412m 이하이다(half-duplex인경우)3 모든 Delay time(Round Trip Delay Time)은 합산하여 512bit time을 넘어서는 안된다. 또한 512에 0-4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 각 장비의 delay time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B) 각각의 Delay time Catagory 5 Tx Cable meter 당 1.112Fiber Optic Cable meter 당 1Class I repeater 140Class II repeater 922 TX/FX DTE 100Category 3 TX meter 당 1.14 1 T4와 1 TX/FX DTE 127
A,B =>미터당 최대 Collision domain
리피터 타입 Copper Fiber Copper와 Fiber Copper와 Fiber (T4와 FX) (TX와 FX)
D) TE-DTE 1 Seg 100 412 N/A N/A 1 Class I 리피터 200 272 230b 260.8b 1 Class II 리피터 200 320 N/Ac 308.8b 2 Class I 리피터 205 228 N/Ac 216.2d
b: 100meter copper link와 1 fiber linkc: 적용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T4와 FX는 Class II 리피터와 같이 연결될 수 없음d: 105 meter의 copper연결과 1 fiber 연결이라 가정하라
위에 명기된 조건과 Delay Time으로 계산한 결과, 미터당 최대 Collision domain을 계산할 수 있었다. 이는 기본 네트웍 케이블링의 중요한 자료가 된다.
바. 패스트 이더넷의 장점
똑같은 CSMA/CD 액세스 방법을 사용하고 같은 프레임구조와 MAC 기능을 사용함.허브기반의 아키텍쳐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Unshielded Twisted-pair(UTP)케이블 위에서 실행됨. 똑같은 네트웍 관리 툴을 사용할 수 있다.기존 MIS 프로그램과 경험을 활용60개 벤더를 포함한 폭 넓은 지원
2.3 기가빗 이더넷
가. 정의
기가비트 이더넷(Gigabit Ethernet)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표준은 1000Mbps의 대용량 대역폭을 제공하며 기존의 10/100 이더넷 표준과 완벽하게 호환되며 패스트 이더넷(Fast Ethernet)에 비해 비용은 겨우 2-3배 비싼데 비해 성능은 10배 이상 뛰어나다. 또한, 대역폭을 거의 100배 가까이 증가시킴으로써 지나친 부담을 지고 있거나 날로 커지는 네트웍 기반구조의 문제를 갖고 있는 조직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기가비트 처리율은 사용자들이 데이터 집중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생산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확장성과 속도를 모두 제공하면서 LAN 백본의 부담을 크게 덜어준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802.3(CSMA/CD)과 이더넷 표준 프레임 포맷은 물론 802.3 매니지드 객체 규격을 보존하므로 각 조직은 기존의 애플리케이션과 운영 시스템, IP, IPX, 애플토크와 같은 프로토콜과 네트웍 관리 플랫폼 및 툴을 유지하면서 기가비트 속도로 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들은 서버스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기가비트 이더넷을 네트웍에 구축할 수 있으며, 신기술은 사용자 들에게 전적으로 투명하게 제공된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본래 이더넷 표준의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를 계속 지원할 것이며 반이중 모드 뿐 아니라 전이중(full duplex) 운영 모드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최초의 기가비트 이더넷 표준 셋은 멀티모드와 단일모드 광섬유 케이블은 물론 단거리 동선(동축)도 지원한다.
즉, 기가비트 이더넷은 인터넷/인터라넷의 환경이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LAN의 고속화와 광역화 요구에 대해 기가빗 이더넷이 급부상하였다1000Mbps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한편, 이더넷과 동일한 CSMA/CD프로토콜, 프레임 크기를 채택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기가빗 이더넷은 기준 프레임 기반의 네트웍을 확장 시켜 주며, ATM 백본과 WAN애플리케이션을 보안 하여 준다.
다. 이행 가능 솔루션 스위치간 접속: 스위치간 연결 업그레이드에 기가빗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패스트 이더넷 스위치 혹은 리피터간을 연결스위치-서버간의 연결 : 기가빗 이더넷 NIC를 삽입한 서버와 기가빗 이더넷을 스위치를 접속하는 방법기가빗 이더넷 백본: 복수의 포트를 지원하는 패스트 이더넷을 기가빗 이더넷 스위치로 변환하고, 동시에 주변 장비도 기가빗 이더넷 인터페이스 혹은 업링크가 가능한 허브나 라우터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