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식품의 전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기능성 식품의 정의

2. 기능성식품의 신소재

3. 기능성 식품의 세계적 동향
(1) 영양소 강화
(2) 젊은 층을 겨냥한 제품 개발
(3) 건강식이면서도 소비자 기호에 맞는 식품
(4) 소비자 맞춤 제품
(5) 삶의 질 향상
(6) 기능성 식품
(7) 처방약/OTC와의 공유 영역

4. 기능성식품의 국내 동향
(1)건식 업체들, 전문점에 총력 기울여
(2)연이은 대기업 진출로 기대되는 홍삼 시장
(3)코엔자임, 건식 원료 인정을 통해 시장 확대 기대
(4)어린이 영양제 시장 쑥쑥

5. 앞으로 두각을 나타낼 기능성 식품의 소재

6. 제품별 기능성 식품의 전망

7. 기능성 식품의 기술별 전망

8. 관련 보도자료

9.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해한 용액행태나 용해한 후 분말화한 것이 있지만 칼슘함량이 너무 적거나 산성음료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느 ㄴ한계가 잇었다. 뿐만 아니라 천연칼슘 속의 다른 미네랄은 용해가 되지 않아 결국 어느 정도의 침전 현상은 감수하거나 아니면 칼슘 외의 다른 미네랄은 여과해서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 아일랜드의 해조미네랄 전문 생산공급업체인 마리고(Marigor Ltd)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한물에서도 투명하게 녹는 해조칼슘 분말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전 세계적으로 부는 투명음료의 인기에 발맞추어 수용성 해조칼슘은 이러한 음료의 트렌드에 꼭 맞는 소재로서 스포츠음료, 미네랄워터 등 투명 기능성 음료에 적합한 소재이다. 도한 수용성 해조칼슘은 수용화 하는 과정에서 흡수가 높은 독특한 칼슘염으로 변할 뿐 아니라 해조 칼슘이 가지고 있는 70여 가지 다양한 미네랄을 그대로 함유하고 있어서 인체 내 독특한 생리기능을 발취할 것으로 싸이클 선수 등을 통한 임상시험에 들어갔다.
먹는 화장품으로 대별되는 미용식품이 앞으로 더욱 세분화 될 전망이다. 최근 방송 등 언론매체에서 다크써클에 대한 내용을 다루면서 우리나라 여성들도 다크써클에 대한 관심이 높아 가는 가운데 이에 대한 기능성 소재가 개발되어 일본과 유럽에서는 그 시장이 상당하게 형성되어 가고 있다.
이는 과일에서 추출한 고농도의 안소시아닌(35%)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은 Delphinidin류가 주성분이다. 일본의 병원에서 5명의 환자를 선발하여 (이중 다크써클이 있는 환자는 3명)이 제품 150mg을 1일 1회 섭취하게 한 결과, 1개월 후 3명 모두 다크써클이 없어졌다.
일본의 콩 전문회사인 후직코사가 검정콩 종피추출 안소시아닌 소재를 개발하였다. 일본에서는 주로 중국제품이 판매되고 있었는데,
검정콩 특유의 안소시아닌 C3G(Cyanidin-3-glucoside)의 정확한 함량분석에 의문을 갖게 되면서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는데, 폴리페놀 함량이 70%이상, C3G함량이 7-15%인 고순도의 검정콩종피추출물을 개발하여 특허를 출원했다. 이 회사는 이를 이용하여 하메타볼릭신드롬소재로서 특정보건용식품수준의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어서 앞으로 이 소재가 일본 건강식품시장에서의 돌풍을 예고하고 있다. 왜냐하면 후직코는 대두 이소플라본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세계보건기구(WTO)와 공동 연구를 진행하는가 하면 일본에서도 유일하게 특정 보건용식품(소재)로 인정받으면서 일본의 이소플라본 시장을 만들어 낸 장본이인이어서 이 회사의 연구 역량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2007. 5 식품저널-
9. 결론
가까운 미래에 얻게 될 성과와 생산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기능서 식품의 품질은 상당히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들은 더 나은 영양물과 신체기능의 개선, 질병에 대한 강한 저항력을 얻기 위해 고품질의 기능성 식품을 원한다. 21세기는 기능성 식품이 급속히 발전하는 황금시대가 될 것이다.
기능성 식품의 시장 규모는 급속히 팽창하고 있다. 20세기 말까지 기능성 식품 총 판매액은 중국에서 200억 위안, 저 세계에서 220~240억불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21세기까지 총 판매액은 매년 15~20%의 비율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의 한 연구 기관에서는 건강 기능식품 산업의 성장 당위성을 언급하면서 그 이유를 아래와 같이 언급한 적이 있다. 첫째는 ‘고령화의 진행’으로 2025년 인구의 25%가 65세 이상이 된다는 것이고, 둘째는 ‘생활습관 병의 증가’로서 식이에 의한 1차 예방의 중요성 인식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셋째는 의료비의 자기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self care’ 의식이 증대 하고, 넷째는 ‘기능연구의 진전’으로 농학, 약학, 의학계 등도 천연물에 의한 기능 연구 활발화를 통한 소재 개발이 활성화되며, 다섯째는 대체의학이 강력히 대두되어 근대의학, 약의 한계와 약가차익 축소에 의해 관심이 고조된다는 것이다. 여섯째는 건강기능식품을 둘러 싼 규제의 완화와 시장의 글로벌화를 통해 특히 비타민, 미네랄, 허브는 식품으로 이용이 증가하며, 일곱째는 건강기능식품을 둘러싼 법, 규제의 개정으로 여러 가지 형상의 규제가 완화되고, 정보 규제 역시 완화될 것이라는 점이다. 마지막으로는 식품, 약품, 화장품 등 기존 시장의 성숙화와 함께 대부분의 기업들이 건강산업으로의 참입이 예측되어 시장이 확대되리라는 예측이다.
이러한 예측은 국내에서도 마찬가지로 진행되고 있으며, 점차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의식이 달라지고 있기 때문에 올바른 건강기능식품의 연구 개발과 제조 판매를 통해 국민의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는 건강긴으식품 산업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제조업체는 꾸준히 새로운 기능을 보유한 소재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검증 등을 해야 할 것이고, 소비자에게 올바른 교육을 통해 건강기능식품이 바르게 전달할 수 잇도록 하는 업계의 노력이 뒤따라야 하며, 산업의 발전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조속히 마련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자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인터넷포털사이트 네이버
건강식품연감2006
기능식품신문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식품저널
http://video.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vdetail&query=%C7%D8%B9%D9%C5%E6&detail_type=1&vid=240269&qt=vid
*목차
1. 기능성 식품의 정의
2. 기능성식품의 신소재
3. 기능성 식품의 세계적 동향
(1) 영양소 강화
(2) 젊은 층을 겨냥한 제품 개발
(3) 건강식이면서도 소비자 기호에 맞는 식품
(4) 소비자 맞춤 제품
(5) 삶의 질 향상
(6) 기능성 식품
(7) 처방약/OTC와의 공유 영역
4. 기능성식품의 국내 동향
(1)건식 업체들, 전문점에 총력 기울여
(2)연이은 대기업 진출로 기대되는 홍삼 시장
(3)코엔자임, 건식 원료 인정을 통해 시장 확대 기대
(4)어린이 영양제 시장 쑥쑥
5. 앞으로 두각을 나타낼 기능성 식품의 소재
6. 제품별 기능성 식품의 전망
7. 기능성 식품의 기술별 전망
8. 관련 보도자료
9. 결론
*참고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11.20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