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의의
1.당사자 간에 혼인의사의 합치가 있을 것(제 815조 1호)
2.당사자가 혼인연령에 달하였을 것(제 807 조)
3. 부모 등의 동의를 얻을 것(제 808조)
4.중혼이 아닐 것 (제810조)
1.당사자 간에 혼인의사의 합치가 있을 것(제 815조 1호)
2.당사자가 혼인연령에 달하였을 것(제 807 조)
3. 부모 등의 동의를 얻을 것(제 808조)
4.중혼이 아닐 것 (제810조)
본문내용
혈족 또는 검사 가 취소할 수 있다. 그러나 후혼이 취소되기 전에 전혼이 이혼으로 인하여 소멸된 경우에 는 하자가 치유된다.
②취소되기 전에는 이혼가능 : 혼인이 일단 성립되면 위법한 중혼이라고 하더라도 당연무효 가 되지 아니하고 법원의 판결에 의하여 취소되는 경우에 비로소 그 효력이 소멸될 뿐이기 때문에 아직 혼인취소의 확정판결이 없는 한 법률상 부부로서 재판상 이혼의 청구도 가능하다. 두 개의 유효한 혼인관계가 존재하므로 취소되기 전 상속할 수 있는 배우자가 둘이다.
4)실종선고가 취소된 경우에 전후양혼 의 관계 : 실종선고 후 취소 전에 한 혼인은 양당사자가 선의이면 유효이다. 그러나 당사자 일방 또는 쌍방의 악의로 재혼하였으나 후에 실종선고가 취소된 경우 중혼이 발생한다는 것이 통설, 판례이다.
②취소되기 전에는 이혼가능 : 혼인이 일단 성립되면 위법한 중혼이라고 하더라도 당연무효 가 되지 아니하고 법원의 판결에 의하여 취소되는 경우에 비로소 그 효력이 소멸될 뿐이기 때문에 아직 혼인취소의 확정판결이 없는 한 법률상 부부로서 재판상 이혼의 청구도 가능하다. 두 개의 유효한 혼인관계가 존재하므로 취소되기 전 상속할 수 있는 배우자가 둘이다.
4)실종선고가 취소된 경우에 전후양혼 의 관계 : 실종선고 후 취소 전에 한 혼인은 양당사자가 선의이면 유효이다. 그러나 당사자 일방 또는 쌍방의 악의로 재혼하였으나 후에 실종선고가 취소된 경우 중혼이 발생한다는 것이 통설, 판례이다.
추천자료
법실증주의
중국에서의 예교파 법리파 논쟁
의료분쟁에 있어서 환자의보호
컴퓨터프로그램의 제조물책임에 관한 고찰
정보통신공간의 발달 및 정보통신법의 형성
동성동본 금혼
FTA와 의료법인
상속재산에 있어 적극재산 및 소극재산 분배의 문제
[주택임대차보호법] 주택임대차보호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법과 사법참여, 사법과 사법해석, 사법과 사법심사, 사법과 사법적 구조, 사법과 사법적 책...
로마형법 -범죄와 형벌을 중심으로-
[권리금] [부동산법제 4 공통] 상가건물임대차의 권리금의 문제점과 법제화 방안에 대해 논하...
[세법 C형] 신의성실의 원칙정의와 납세자에게 적용되는 신의칙요건과 효과 및 사례에 대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