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③ 하나의 폭로 요인에 대해 다수의 결과(질병)를 동시에 연구할 수 있다.
④ 질병의 발생을 폭로군과 비폭로군에서 직접 측정할 수 있다.
7. 코호트 연구의 단점
① 전향적으로 수행되므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
② 시간이 흐름에 따라 폭로 상태와 진단기준이 변하게 되어 대상자 분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③ 대상자의 폭로 상태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는 결과의 확인에 영향을 줄 수 있다(정보 비뚤림).
④ 추적관찰 누락으로 선택 비뚤림이 개입될 수 있다.
8. 단점의 개선방법
암역학 연구에 있어서 코호트 연구는 일반적으로 오랜 기간 많은 수의 대상자를 추적;관찰하게된다. 따라서 매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연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① 후향적으로 적절한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폭로에 대한 정보를 얻되 기존의 자료나 생체시료를 이용한다(후향적 코호트 연구).
② 사망자료나 암 등록자료와 같이 이용 가능한 조사체계를 추적;관찰하는데 이용한다.
③ 국가나 지역 인구의 질병 비율을 비폭로군으로 삼아 비교한다.
④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를 수행한다.
③ 하나의 폭로 요인에 대해 다수의 결과(질병)를 동시에 연구할 수 있다.
④ 질병의 발생을 폭로군과 비폭로군에서 직접 측정할 수 있다.
7. 코호트 연구의 단점
① 전향적으로 수행되므로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
② 시간이 흐름에 따라 폭로 상태와 진단기준이 변하게 되어 대상자 분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③ 대상자의 폭로 상태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는 결과의 확인에 영향을 줄 수 있다(정보 비뚤림).
④ 추적관찰 누락으로 선택 비뚤림이 개입될 수 있다.
8. 단점의 개선방법
암역학 연구에 있어서 코호트 연구는 일반적으로 오랜 기간 많은 수의 대상자를 추적;관찰하게된다. 따라서 매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긴 시간이 소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연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① 후향적으로 적절한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폭로에 대한 정보를 얻되 기존의 자료나 생체시료를 이용한다(후향적 코호트 연구).
② 사망자료나 암 등록자료와 같이 이용 가능한 조사체계를 추적;관찰하는데 이용한다.
③ 국가나 지역 인구의 질병 비율을 비폭로군으로 삼아 비교한다.
④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를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