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실험 제목
Ⅱ. 실험 일자, 목적
Ⅲ. 실험 이론
Ⅳ. 실험 기기 및 방법
Ⅴ.예비고찰
Ⅱ. 실험 일자, 목적
Ⅲ. 실험 이론
Ⅳ. 실험 기기 및 방법
Ⅴ.예비고찰
본문내용
관에 조사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몇 가지 투과율을 갖는 중성 필터를 쓴다.
ⓕ 광전관 : 광전관의 음극-양극간에는 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은 연산증폭기에 의한 1배의 증폭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 전압계 : ⓕ에서 발생되는 저지전압 값을 바로 읽을 수 있는 DMM등 (측정 범위는 4V 이내)
2. 실험 방법
① plank 상수 측정 장치를 그림 3와 같이 장치한다.
② 파장이 알려진 색 셀로이드의 slit를 장치하고 빛을 조사한다.
③ Coarse, Fine 스위치를 조절하여 검류계의 눈금이 zero가 되게 하고 이 때의 전압을 기록한다.
④ 파장이 다른 slit으로 바꾸고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⑤ 측정된 저지전압과 Filter 진동수 사이의 graph를 그려서 그 기울기로써 plank 상수를 구해 내거나 Einstein의 광전 효과 방정식을 이용하여 plank 상수를 계산한다.
색
파장
진동수
노랑
578.0nm
5.19 x 1014Hz
녹색
546.0nm
5.49 x 1014Hz
파랑
435.8nm
6.88 x 1014Hz
보라
404.7nm
7.41 x 1014Hz
Ⅴ.예비고찰
1. 이번 실험은 광전효과 실험 장치를 통하여 Plank's constant "h"를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매뉴얼의 지시에 따라 실험 장치를 올바르게 설치한 후 각 파장별 저지전압을 정확히 측정한다면 Plank's constant는 거의 정확한 값으로 측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저지전압 V를 보다 정확히 구하기 위해서, 우선 전압 V-광전류 A 의 그래프를 작성하여, 과연 전압과 광전류의 관계가 비례하는 일차함수의 관계인지 살펴본 후, 그래프를 토대로 하여 저지전압 를 구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저지전압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저지전압을 구한 후에 각 빛의 파장별 진동수-저지전압과의 관계 그래프를 작성하여 그래프(위의 관계식 (3)에서 보여지듯이 일차함수의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쉽게 Plank's constant를 구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상수 값의 결정은 진동수에 따른 보다 정확한 저지전압의 측정에 달려있다. 이는 여러 번의 측정을 통하여 실험 결과와의 영향을 통해서 그래프를 분석하여 정확한 저지전압의 값을 선택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결국 빛은 파동과 입자라는 양면성을 갖고 있는데, 광전효과는 빛이 입자라는 걸 처음 증명하게 된 실험이다. 금속판에 빛을 쬐어 주면 그 금속판에서 전자가 튀어 나온다는 것인데, 그것을 직접 해보고 플랑크 상수도 구해 볼 것이다.
플랑크 상수를 구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먼저 금속판의 일함수를 알 경우 광전효과 방정식에 대입해 구하는 것과, 일함수를 모르더라도 이론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플랑크 상수를 구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으로 플랑크 상수를 구하면 역으로 금속판의 일함수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①『현대물리시험』정기수 정순영 공저, 탐구당 p.31~37 : 실험방법참고
②『물리학총론』Halliday,Resnick 원저, 김종오 역, 교학사 p.1109~1114
③『현대물리학』Eisberg,Resnick 원저, 김종오,송희성,이민호 공역, 교학사 p.30,33
④『새대학물리Ⅱ』서울대학교 물리교재 편찬위원회, 교문사 p.394
⑤ http://physica.gsnu.ac.kr/PhysEdu/modexp/Pelect2/main.htm
⑥ http://www.sejon.or.kr/simpl/si_c/11_yamamodo/11y04_02.shtml
⑦ http://www.mathtown.pe.kr/Dk/D1067.htm
ⓕ 광전관 : 광전관의 음극-양극간에는 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은 연산증폭기에 의한 1배의 증폭회로가 내장되어 있고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이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 전압계 : ⓕ에서 발생되는 저지전압 값을 바로 읽을 수 있는 DMM등 (측정 범위는 4V 이내)
2. 실험 방법
① plank 상수 측정 장치를 그림 3와 같이 장치한다.
② 파장이 알려진 색 셀로이드의 slit를 장치하고 빛을 조사한다.
③ Coarse, Fine 스위치를 조절하여 검류계의 눈금이 zero가 되게 하고 이 때의 전압을 기록한다.
④ 파장이 다른 slit으로 바꾸고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⑤ 측정된 저지전압과 Filter 진동수 사이의 graph를 그려서 그 기울기로써 plank 상수를 구해 내거나 Einstein의 광전 효과 방정식을 이용하여 plank 상수를 계산한다.
색
파장
진동수
노랑
578.0nm
5.19 x 1014Hz
녹색
546.0nm
5.49 x 1014Hz
파랑
435.8nm
6.88 x 1014Hz
보라
404.7nm
7.41 x 1014Hz
Ⅴ.예비고찰
1. 이번 실험은 광전효과 실험 장치를 통하여 Plank's constant "h"를 결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매뉴얼의 지시에 따라 실험 장치를 올바르게 설치한 후 각 파장별 저지전압을 정확히 측정한다면 Plank's constant는 거의 정확한 값으로 측정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저지전압 V를 보다 정확히 구하기 위해서, 우선 전압 V-광전류 A 의 그래프를 작성하여, 과연 전압과 광전류의 관계가 비례하는 일차함수의 관계인지 살펴본 후, 그래프를 토대로 하여 저지전압 를 구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저지전압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일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저지전압을 구한 후에 각 빛의 파장별 진동수-저지전압과의 관계 그래프를 작성하여 그래프(위의 관계식 (3)에서 보여지듯이 일차함수의 직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쉽게 Plank's constant를 구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상수 값의 결정은 진동수에 따른 보다 정확한 저지전압의 측정에 달려있다. 이는 여러 번의 측정을 통하여 실험 결과와의 영향을 통해서 그래프를 분석하여 정확한 저지전압의 값을 선택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결국 빛은 파동과 입자라는 양면성을 갖고 있는데, 광전효과는 빛이 입자라는 걸 처음 증명하게 된 실험이다. 금속판에 빛을 쬐어 주면 그 금속판에서 전자가 튀어 나온다는 것인데, 그것을 직접 해보고 플랑크 상수도 구해 볼 것이다.
플랑크 상수를 구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먼저 금속판의 일함수를 알 경우 광전효과 방정식에 대입해 구하는 것과, 일함수를 모르더라도 이론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플랑크 상수를 구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으로 플랑크 상수를 구하면 역으로 금속판의 일함수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①『현대물리시험』정기수 정순영 공저, 탐구당 p.31~37 : 실험방법참고
②『물리학총론』Halliday,Resnick 원저, 김종오 역, 교학사 p.1109~1114
③『현대물리학』Eisberg,Resnick 원저, 김종오,송희성,이민호 공역, 교학사 p.30,33
④『새대학물리Ⅱ』서울대학교 물리교재 편찬위원회, 교문사 p.394
⑤ http://physica.gsnu.ac.kr/PhysEdu/modexp/Pelect2/main.htm
⑥ http://www.sejon.or.kr/simpl/si_c/11_yamamodo/11y04_02.shtml
⑦ http://www.mathtown.pe.kr/Dk/D1067.htm
키워드
추천자료
기기분석
전구의 밝기와 회로에 걸리는 전류와 전압
자연과학개론
반도체기술
태양광 발전
반도체의 제조공정
태양에너지(태양열, 태양광)의 특징, 태양에너지(태양열, 태양광)의 원리, 태양에너지(태양열...
반도체 소자의 특성 곡선
태양열에너지
전자선 편향 결과re
태양광 시스템 설명 및 사례 - 송도SC호텔 태양광 시스템 (BIPV 시공법).pptx
UPS (Ultraviolet Photoelectron spectroscopy) : UPS의 원리를 이해한다, 실험을 통해 유기...
실험 5 예비(태양광에너지)
아이슈타인 상대성이론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