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제회의 산업이란?
-국제회의 정의
-국제회의 기준
-국제회의 분류
-국제회의 종류
-국제회의 개최목적
-국제회의 개최효과
-국제회의 정의
-국제회의 기준
-국제회의 분류
-국제회의 종류
-국제회의 개최목적
-국제회의 개최효과
본문내용
은 개최지의 기반 시설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향상시키며 개최국의 이미지 향상, 국제사회에서의 위상 확립 등 개최국의지명도 향상에도 큰 기여를 한다. 또한 지방으로의 컨벤션 분산 개최는 지방의 국제화와 지역 균형발전에도 큰 몫을 하게 된다.
다) 경제적 파급효과
컨벤션 산업은 종합 서비스 산업으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사회 각 산업분야에 미치는 승수 효과가 매우크다. 컨벤션은 개최국의 소득향상 효과 (회의 참가자의 지출 →서비스 산업 등 수입증가 →시민소득 창출), 고용효과 (서비스업 인구 등 광범위한인력 흡수), 세수 증가효과 (관련산업 발전→ 법인세→시민소득 증가 →소득세) 등 경제 전반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된다. 그 밖에도 참가자들이 직접 대면을 하게되므로 상호 이해 부족에서 올 수 있는 통상 마찰 등을 피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선진국의 노하우를 직접 수용함으로써 관련분야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산업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관광연구원에서 발간한 국제회의 산업 육성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국가 전체적으로 컨벤션 산업에 의한 지출액은 2001년 13,279억원, 2003년 14,972억원, 2005년 16,730억원으로 추정된다.
대전 컨벤션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대전광역시, 1999)에 의하면 컨벤션 개최에 따른 지출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에 보는 바와 같이 분석되었다.
컨벤션 개최관련 국가 경제적 파급효과
(단위: 억원, 명)
구 분
2001년
2003년
2005년
국제회의
생산유발 효과
4,628
5,338
6.048
소득창출 효과
863
996
1,128
세수증대 효과
116
133
151
고용창출 효과
5,874
6,775
7,676
전시회
생산유발 효과
13,165
14,724
16,369
소득창출 효과
3,291
3,681
4,092
세수증대 효과
329
368
409
고용창출 효과
16,708
18,687
20,775
자료: 대전광역시, "대전컨벤션 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1999
라) 관광산업적 파급효과
컨벤션 개최는 관광산업 측면에서 볼 때 관광 비수기 타개, 대량 관광객 유치 및 양질의 관광객 유치효과를 가져다 줄 뿐 아니라 컨벤션은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개최가가능하며, 참가자가 보통 100명에서 많게는 1,000명 이상에 이르므로 대량 관광객 유치의 첩경이 된다. 또한 컨벤션 참가자는 대부분 개최지를 최종 목적지로 하기 때문에 체재일수가 길며, 일반 관광객보다 1인당 소비액이 높아 관광수입 측면에서도 막대한 승수효과를 가져온다.
다시 말해서 컨벤션 개최는 숙박, 쇼핑, 수송 및 관광으로 이어지는 파급효과 (spill over)가 광범위하며, 개최지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매우 크다. 더욱이 컨벤션 산업은 비수기를 타지 않아 순수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는 비수기에도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bbey and Link, 1994).
마) 국민의 세계화 도모에 기여
지역사회 발전, 도시환경 개선, 국제 친선도모, 시민의식 국제화에 크게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다) 경제적 파급효과
컨벤션 산업은 종합 서비스 산업으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사회 각 산업분야에 미치는 승수 효과가 매우크다. 컨벤션은 개최국의 소득향상 효과 (회의 참가자의 지출 →서비스 산업 등 수입증가 →시민소득 창출), 고용효과 (서비스업 인구 등 광범위한인력 흡수), 세수 증가효과 (관련산업 발전→ 법인세→시민소득 증가 →소득세) 등 경제 전반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된다. 그 밖에도 참가자들이 직접 대면을 하게되므로 상호 이해 부족에서 올 수 있는 통상 마찰 등을 피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선진국의 노하우를 직접 수용함으로써 관련분야의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산업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관광연구원에서 발간한 국제회의 산업 육성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국가 전체적으로 컨벤션 산업에 의한 지출액은 2001년 13,279억원, 2003년 14,972억원, 2005년 16,730억원으로 추정된다.
대전 컨벤션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대전광역시, 1999)에 의하면 컨벤션 개최에 따른 지출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에 보는 바와 같이 분석되었다.
컨벤션 개최관련 국가 경제적 파급효과
(단위: 억원, 명)
구 분
2001년
2003년
2005년
국제회의
생산유발 효과
4,628
5,338
6.048
소득창출 효과
863
996
1,128
세수증대 효과
116
133
151
고용창출 효과
5,874
6,775
7,676
전시회
생산유발 효과
13,165
14,724
16,369
소득창출 효과
3,291
3,681
4,092
세수증대 효과
329
368
409
고용창출 효과
16,708
18,687
20,775
자료: 대전광역시, "대전컨벤션 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1999
라) 관광산업적 파급효과
컨벤션 개최는 관광산업 측면에서 볼 때 관광 비수기 타개, 대량 관광객 유치 및 양질의 관광객 유치효과를 가져다 줄 뿐 아니라 컨벤션은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개최가가능하며, 참가자가 보통 100명에서 많게는 1,000명 이상에 이르므로 대량 관광객 유치의 첩경이 된다. 또한 컨벤션 참가자는 대부분 개최지를 최종 목적지로 하기 때문에 체재일수가 길며, 일반 관광객보다 1인당 소비액이 높아 관광수입 측면에서도 막대한 승수효과를 가져온다.
다시 말해서 컨벤션 개최는 숙박, 쇼핑, 수송 및 관광으로 이어지는 파급효과 (spill over)가 광범위하며, 개최지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매우 크다. 더욱이 컨벤션 산업은 비수기를 타지 않아 순수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는 비수기에도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bbey and Link, 1994).
마) 국민의 세계화 도모에 기여
지역사회 발전, 도시환경 개선, 국제 친선도모, 시민의식 국제화에 크게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