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DVD란?
2. DVD의 동작원리와 동작과정
3. DVD 구조
4. DVD의 종류
1) DVD-비디오
2) DVD-ROM
3) DVD-오디오
4) DVD-RAM ( DVD-random access memory )
5) DVD-R ( DVD-recordable )
6) DVD-ROM ( digital versatile disc-read only memory )
7) DVD-R/W ( digital versatile disc-R/W )
5. DVD 장점
2. DVD의 동작원리와 동작과정
3. DVD 구조
4. DVD의 종류
1) DVD-비디오
2) DVD-ROM
3) DVD-오디오
4) DVD-RAM ( DVD-random access memory )
5) DVD-R ( DVD-recordable )
6) DVD-ROM ( digital versatile disc-read only memory )
7) DVD-R/W ( digital versatile disc-R/W )
5. DVD 장점
본문내용
있다. 이러한 캡션은 기존 VHS 테이프에서도 이용되고 있지만, DVD에서도 이용할 수 있기도 하다.
DVD는 시청 제한 기능인 페어런탈 코드((Parental Code)를 인지, 설정된 부분을 건너뛸 수 있다. 페어런탈 코드란 '미성년자 관람불가'에 관한 정보를 말하는데, 장면마다 X, G, R등급 식으로(중학생 관람가, 고교생 관람가, 성인용 등) 급을 매길 수 있어 해당 장면을 보고 싶지 않다고 코드 설정만 하면 문제의 장면이 방영되지 않는 것이다. 물론 멀티스토리로 제작된다면 역시 '낮은 등급'으로 스토리 전개를 바꿔 버려도 무방하다. 대부분의 경우 비밀번호로 보호되고 있는데, 부모 통제 수준이 PG-13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부모 통제 관리가 없는 DVD 디스크와 부모 통제 수준이 G, PG, PG-13인 DVD 디스크만 재생된다.
DVD는 16:9 비율로, 일반적인 TV 화면비율인 4:3보다 더욱 넓은 화면을 지원한다. 물론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와이드 화면의 TV 등이 있어야 되겠지만, 기존의 4:3 TV 등의 화면 사용자들을 위해 일반 TV 화면으로도 재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드 화면용인 방송과 4:3 비율로 나타나는 영화를 가능하게 하려면 와이드 화면의 영상은 윗부분과 밑부분에 검은 띠를 가지고 있다. 와이드 화면의 영상을 와이드 TV에서 표시하려면 영상은 윗부분과 밑부분이 검은 띠로 표시된다.
DVD가 CD보다 용량이 많은 이유
DVD에 사용하는 레이저의 파장이 더 짧기 때문에 CD보다 더 많은 자료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는 것이다. CD는 780nm의 적외선을 사용하지만 DVD는 635nm 파장의 붉은 빛 가시광선을 이용한다. 또한 CD롬은 개구율 0.45의 대물렌즈로 1.6um의 레이저를 사용하지만 DVD는 0.6의 개구율을 가진 렌즈에 1um의 미세한 레이저를 사용한다. 즉 디스크에 집광되는 빔의 크기를 작게하여 더 작은 디스크의 정보를 읽을 수 있다.이런 점 때문에 DVD의 트랙 피치는 CD보다 두 배 이상 촘촘하며, 피트와 랜드 사이도 훨씬 짧다. 이 때문에 저장용량이 CD보다 몇 배나 늘어나는 것이다.
◆ DVD 드라이브의 전송률 차이
DVD 드라이브는 CD-ROM 드라이브와 같이 CLV(일정 선 속도) 타입과 CAV(일정 각 속도) 타입이 있어 CLV 타입은 디스크 안쪽과 바깥쪽의 전송률이 일정하나 CAV 타입은 안쪽이 느리고 바깥쪽이 빠르다. CAV 타입이 표기하는 전송률은 가장 바깥쪽의 최대 전송률을 나타내므로 실제 평균 전송률은 낮은 편이다.
DVD-ROM 드라이브는 DVD와 audio CD/CD-ROM을 동시에 지원하며 미디어 종류에 따라서 전용 헤드를 사용하고 다른 회전 속도로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DVD 전송률이 CD-ROM 전송률보다 높으며 CD-ROM을 사용할때의 회전 속도가 더 빠르다.
참고문헌
DVD ( Digital Versatile Disk ) 기술현황 및 시장 전망 -이영우-
DVD의 현황과 전망 -삼성종합기술원, 김재영-
DVD는 시청 제한 기능인 페어런탈 코드((Parental Code)를 인지, 설정된 부분을 건너뛸 수 있다. 페어런탈 코드란 '미성년자 관람불가'에 관한 정보를 말하는데, 장면마다 X, G, R등급 식으로(중학생 관람가, 고교생 관람가, 성인용 등) 급을 매길 수 있어 해당 장면을 보고 싶지 않다고 코드 설정만 하면 문제의 장면이 방영되지 않는 것이다. 물론 멀티스토리로 제작된다면 역시 '낮은 등급'으로 스토리 전개를 바꿔 버려도 무방하다. 대부분의 경우 비밀번호로 보호되고 있는데, 부모 통제 수준이 PG-13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부모 통제 관리가 없는 DVD 디스크와 부모 통제 수준이 G, PG, PG-13인 DVD 디스크만 재생된다.
DVD는 16:9 비율로, 일반적인 TV 화면비율인 4:3보다 더욱 넓은 화면을 지원한다. 물론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와이드 화면의 TV 등이 있어야 되겠지만, 기존의 4:3 TV 등의 화면 사용자들을 위해 일반 TV 화면으로도 재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드 화면용인 방송과 4:3 비율로 나타나는 영화를 가능하게 하려면 와이드 화면의 영상은 윗부분과 밑부분에 검은 띠를 가지고 있다. 와이드 화면의 영상을 와이드 TV에서 표시하려면 영상은 윗부분과 밑부분이 검은 띠로 표시된다.
DVD가 CD보다 용량이 많은 이유
DVD에 사용하는 레이저의 파장이 더 짧기 때문에 CD보다 더 많은 자료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는 것이다. CD는 780nm의 적외선을 사용하지만 DVD는 635nm 파장의 붉은 빛 가시광선을 이용한다. 또한 CD롬은 개구율 0.45의 대물렌즈로 1.6um의 레이저를 사용하지만 DVD는 0.6의 개구율을 가진 렌즈에 1um의 미세한 레이저를 사용한다. 즉 디스크에 집광되는 빔의 크기를 작게하여 더 작은 디스크의 정보를 읽을 수 있다.이런 점 때문에 DVD의 트랙 피치는 CD보다 두 배 이상 촘촘하며, 피트와 랜드 사이도 훨씬 짧다. 이 때문에 저장용량이 CD보다 몇 배나 늘어나는 것이다.
◆ DVD 드라이브의 전송률 차이
DVD 드라이브는 CD-ROM 드라이브와 같이 CLV(일정 선 속도) 타입과 CAV(일정 각 속도) 타입이 있어 CLV 타입은 디스크 안쪽과 바깥쪽의 전송률이 일정하나 CAV 타입은 안쪽이 느리고 바깥쪽이 빠르다. CAV 타입이 표기하는 전송률은 가장 바깥쪽의 최대 전송률을 나타내므로 실제 평균 전송률은 낮은 편이다.
DVD-ROM 드라이브는 DVD와 audio CD/CD-ROM을 동시에 지원하며 미디어 종류에 따라서 전용 헤드를 사용하고 다른 회전 속도로 동작한다. 일반적으로 DVD 전송률이 CD-ROM 전송률보다 높으며 CD-ROM을 사용할때의 회전 속도가 더 빠르다.
참고문헌
DVD ( Digital Versatile Disk ) 기술현황 및 시장 전망 -이영우-
DVD의 현황과 전망 -삼성종합기술원, 김재영-
키워드
추천자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SDN(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종합서비스디지털망
저작권 관리기술(DRM - Digital Rights Management)
Digital TV의 개요 및 전송방식
디지털 영화의 기술적 변화
VOD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비디오방 사업계획서
[CPU][메인보드][램]CPU(중앙처리장치), 메인보드(Main Board, 마더보드), 주기억장치(RAM, R...
DVD(디지털비디오디스크)의 정의, DVD(디지털비디오디스크)의 구조, DVD(디지털비디오디스크)...
Digital Light Processing (기술동향 조사 및 예측)
DSP_main1 - EE505전기공학실험 Digital Image Processing - RGB to YCbCr Color Coordinate ...
[산업경쟁력][방송산업]산업경쟁력과 방송산업, 문화산업, 산업경쟁력과 출판산업, IT산업, ...
[거래][디지털정보거래][전자상거래][여행사거래][특허기술거래][토지거래][배출권거래]디지...
[영상물유통][영상물][유통][영상물유통 성과][디지털화]영상물유통의 성과, 영상물유통의 디...
[정보기술][IT]정보기술(IT)과 문헌정보제공서비스, 도서관, 정보기술(IT)과 정보사회, 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