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심폐소생술에 사용되는 기구와 약물
1. 심폐소생술에 사용되는 기구
2. 심폐소생술에 사용되는 약물
※기관내 삽관
1. 심폐소생술에 사용되는 기구
2. 심폐소생술에 사용되는 약물
※기관내 삽관
본문내용
로가 된다.
ⅱ) 적응증
mouth to mouth, mouth to mask 등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무의식 환자를 환기시킬 수 없을 때
환자가 기도를 유지할 능력이 없을 때(coma, areflexia, cardiac arrest)
기계적 환기가 요구되는 경우
전신마취를 요하는 경우
2) 구강삽입
ⅰ) 장점
비강삽입과 관련된 비강합병증을 피할 수 있다.
구경이 큰 관을 사용할 수 있어서 공기가 부드럽게 흐르도록 한다. 또한 분비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fibroptic bronchoscope를 통과시킬 수 있다.
비관보다 꼬이는 일이 드물다.
ⅱ) 단점
목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에게는 시행할 수 없다.
불안정하고 불편하다. 불의의 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세심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구강간호에 어려움이 있다.
의사소통과 연하능력이 상실된다.
구토반사가 자극된다.
타액 등의 분비물로 고정 테이프가 헐거워질 수 있다.
3) 비강삽입
ⅰ) 장점
일단 삽입되고 나면 환자의 불편감과 불안감이 덜하다.
구강간호 시행이 용이하다. 구강합병증의 발생이 적고 구토 반사 자극도 적다.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분비물이나 소량의 용액을 삼킬 수 있다.
비교적 적은 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후두의 손상이 적다.
ⅱ) 단점
구강삽입보다 어렵다.
삽입 중 비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수일 내에 화농성 비분비물 또는 부비강염이 생길 수 있다.
비공통과를 위해 비교적 적은 관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기도저항이 커지며 관이 꼬일 수 있다.
관이 길어서 흡인 시 제한을 받는다.
4) 필요한 기구
ⅰ) 후두경 : 성대를 노출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Handle, blade).
ⅱ) 기관내관 : 기관내 튜브는 35~37cm의 유연한 튜브이며 원위부에 5~10ml 팽창 가능한 커프가 있으며 이 커프는 기관에 위치하게 된다. 튜브에는 내경이 mm로 표시되어 있다.
그 외 필요한 기구 : 10cc주사기(cuff팽창용), 수용성 윤활제, 흡인기구, 청진기, 탐침
<기관내관>
5) 삽입 과정(구강삽입 기준)
100% 산소공급
기구 준비를 마친 후 적절한 크기의 관을 선택한다.-보통 여성은 7.0-8.0, 남성은 8.0-8.5ID를 사용한다.(응급시 7.5ID를 사용, 어린이는 새끼손가락 크기). balloon cuff를 확인한다.
탐침을 튜브 안에 밀어 넣어 후인두부의 모양대로 구부려 놓는다.
수용성 윤활제를 관에 바른다.
머리의 자세를 적절히 취한다.(Sniffing position-머리는 신전, 목은 굴곡). 환자의 입, 인두, 기관이 일직성상에 놓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오른손으로 finger cross technique을 이용해 입은 연다.
왼손에 후두경을 들고 blade를 입의 오른쪽으로 넣어 혀를 왼쪽으로 민다. Blade를 가운데로 움직이면서 혀의 아래쪽으로 진행시킨다. 동시에 오른 쪽 집게손가락을 이용해 아랫입술이 blade에 끼이지 않도록 한다. 후두경을 부드럽게 다루어서 입술과 이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관을 입의 오른쪽을 통해 직접적으로 성대를 지나 밀어 넣는다. 커프의 원위부가 성대수준에서 보이면 관을 1-2.5cm 더 밀어 넣는다. 이 때 탐침을 제거한다.
커프를 팽창한 후 환자를 환기시키고 산소화 시킨다. 양쪽 폐음을 모두 청진하여 관의 위치를 확인한다. 상복부에서 gargling sound가 들리면 식도에 삽입된 것을 의미하므로 즉시 빼고 환기, 산소화 시킨 후 재시도한다.
청진으로 위치를 확인한 후 고정한다.
관의 길이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흉부 X-ray을 찍어 관의 위치를 재확인한다.
ⅱ) 적응증
mouth to mouth, mouth to mask 등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무의식 환자를 환기시킬 수 없을 때
환자가 기도를 유지할 능력이 없을 때(coma, areflexia, cardiac arrest)
기계적 환기가 요구되는 경우
전신마취를 요하는 경우
2) 구강삽입
ⅰ) 장점
비강삽입과 관련된 비강합병증을 피할 수 있다.
구경이 큰 관을 사용할 수 있어서 공기가 부드럽게 흐르도록 한다. 또한 분비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fibroptic bronchoscope를 통과시킬 수 있다.
비관보다 꼬이는 일이 드물다.
ⅱ) 단점
목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에게는 시행할 수 없다.
불안정하고 불편하다. 불의의 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세심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구강간호에 어려움이 있다.
의사소통과 연하능력이 상실된다.
구토반사가 자극된다.
타액 등의 분비물로 고정 테이프가 헐거워질 수 있다.
3) 비강삽입
ⅰ) 장점
일단 삽입되고 나면 환자의 불편감과 불안감이 덜하다.
구강간호 시행이 용이하다. 구강합병증의 발생이 적고 구토 반사 자극도 적다.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분비물이나 소량의 용액을 삼킬 수 있다.
비교적 적은 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후두의 손상이 적다.
ⅱ) 단점
구강삽입보다 어렵다.
삽입 중 비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수일 내에 화농성 비분비물 또는 부비강염이 생길 수 있다.
비공통과를 위해 비교적 적은 관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기도저항이 커지며 관이 꼬일 수 있다.
관이 길어서 흡인 시 제한을 받는다.
4) 필요한 기구
ⅰ) 후두경 : 성대를 노출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Handle, blade).
ⅱ) 기관내관 : 기관내 튜브는 35~37cm의 유연한 튜브이며 원위부에 5~10ml 팽창 가능한 커프가 있으며 이 커프는 기관에 위치하게 된다. 튜브에는 내경이 mm로 표시되어 있다.
그 외 필요한 기구 : 10cc주사기(cuff팽창용), 수용성 윤활제, 흡인기구, 청진기, 탐침
<기관내관>
5) 삽입 과정(구강삽입 기준)
100% 산소공급
기구 준비를 마친 후 적절한 크기의 관을 선택한다.-보통 여성은 7.0-8.0, 남성은 8.0-8.5ID를 사용한다.(응급시 7.5ID를 사용, 어린이는 새끼손가락 크기). balloon cuff를 확인한다.
탐침을 튜브 안에 밀어 넣어 후인두부의 모양대로 구부려 놓는다.
수용성 윤활제를 관에 바른다.
머리의 자세를 적절히 취한다.(Sniffing position-머리는 신전, 목은 굴곡). 환자의 입, 인두, 기관이 일직성상에 놓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오른손으로 finger cross technique을 이용해 입은 연다.
왼손에 후두경을 들고 blade를 입의 오른쪽으로 넣어 혀를 왼쪽으로 민다. Blade를 가운데로 움직이면서 혀의 아래쪽으로 진행시킨다. 동시에 오른 쪽 집게손가락을 이용해 아랫입술이 blade에 끼이지 않도록 한다. 후두경을 부드럽게 다루어서 입술과 이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관을 입의 오른쪽을 통해 직접적으로 성대를 지나 밀어 넣는다. 커프의 원위부가 성대수준에서 보이면 관을 1-2.5cm 더 밀어 넣는다. 이 때 탐침을 제거한다.
커프를 팽창한 후 환자를 환기시키고 산소화 시킨다. 양쪽 폐음을 모두 청진하여 관의 위치를 확인한다. 상복부에서 gargling sound가 들리면 식도에 삽입된 것을 의미하므로 즉시 빼고 환기, 산소화 시킨 후 재시도한다.
청진으로 위치를 확인한 후 고정한다.
관의 길이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흉부 X-ray을 찍어 관의 위치를 재확인한다.
추천자료
신생아소생술
약물남용 치료제도의 실태와 대책
급성후두세기관지염
위장관 삽관과 간호 및 영양보조
기관절개술
기관절개술, 동맥혈 가스 빼내기, 모세혈관가스, 맥박산소계측, 산소요법
호흡기(호흡기관, 호흡계통) 구조, 호흡기(호흡기관, 호흡계통) 질환, 호흡기(호흡기관, 호흡...
약물 합법화에 대하여
향정신성 약물 구분에 근거하여 각 유형별로 1)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약물들과 간...
약물 중독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하부기도 문제 1.크룹증후군 1) 급성후두개염 2) 급성후두기관기...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1. 크룹증후군 1) 급성후두개염 2) 급성후두기관기관지염 3) 급성...
응급약물CPR사용약물ppt
응급약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