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3개의 채널이 필요하다. 하지만 형광체가 발광 다이오드의 팁에서 발열하여 열화되는 문제를 피할 수 있고, 각 발광 다이오드의 광량을 조절하여 임의의 빛깔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중 하나인 낮은 소비 전력으로 큰 빛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특징으로 조명용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조명으로 적당한 흰색의 고휘도 제품의 구현이 어렵고, 제조에 걸리는 비용이 흰색 전구나 형광등에 비교해 비싸기 때문에 현재에는 간단한 램프종류의 용도에 머물고 있다. 향후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서 기존의 조명기구를 대체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제조
발광 다이오드의 기본은 PN 접합이지만 실제로 발광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 이중 이질접합 구조나 양자 우물접합 구조를 이용하며 기술적으로 반도체 레이저와 공통점이 많다. 제조법은 기판위에 화학기상 성장법을 이용하여 박막을 겹쳐 쌓아가는 방식이 사용된다.
제품의 외형
7 세그먼트 2표시 발광 소자
가장 단순한 것은 발광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 부분과 2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여러가지 색을 내는 발광 다이오드를 내장한 것은 3개 이상의 단자를 가진다.
포탄형
팁형
다 세그먼트(영어: segment)형
7 세그먼트형
14 세그먼트형
매트릭스형
응용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역의 안내 표시 예시:유라코초선 (일본어: 有町線)이치가야 역 (일본어: 市ケ谷)
낮은 소비 전력과 긴 수명때문에 많은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1개의 소자로 여러가지 색을 낼 수 있는 구조의 발광 다이오드도 있다. 기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색을 바꿀 수 있는것은 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하였다.
초기에는 휘도가 낮았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동작 표시등이나 옥내 용도에 한정되었지만 빨강이나 녹색의 고휘도 종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용화되고 나서는, 역의 행선지 안내판같은 옥외용 디스플레이에도 사용되게 되었다. 게다가 고휘도의 파란색이나 흰색 발광 다이오드가 생산되고 나서는 경기장의 스크린같은 완전한 색의 대형 디스플레, 전구 대신한 손전등이나 신호기, 자동차의 방향 표시등이나 미등같은 다양한 조명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미등에 사용했을 경우 전구보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점등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철도, 버스의 방향 표시에도 안내판 대신에 사용되고 있다.
또 냉음극 형광 램프에서 발생되는 흰색빛을 컬러 필터에 투과해 얻을 수 있는색 (빨강, 녹색, 파랑)에 비해서 발광 다이오드가 발생하는 빛이 색순도가 높다. 그렇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냉음극 형광 램프에서 발광 다이오드로 변경하여서 색 재연 범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는 점광원이기 때문에 넓은 면적을 조사하려면 얼룩 번짐이 생기기 쉽고, 백라이트용으로는 휴대용 소형 디스플레이에 주로 이용되었다. 대형 디스플레이용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는 2004년 11월에 소니에서 액정 텔레비전이 실용화 되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수명은 길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서 수지의 열화에 의한 조도 저하의 진행이 빨리 되기도 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 교환이 필요한 정도까지 조도가 떨어졌을 때 기판의 교환을 포함하여 대규모 보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 향후의 과제이다.
DIY LED란...
여기서 DIY란.. Do It Yourself 의 약자로 한마디로 LED를 스스로 제작하는것을 말합니다.
자동차의 계기판, 브레이크 등, 컴퓨터, 집안 내부 인테리어 등등 전기가 들어가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응용하여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개인의 취향에 꼭 맞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요즘 자기만의 개성을 찾으려는 젊은 사람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중 하나인 낮은 소비 전력으로 큰 빛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특징으로 조명용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조명으로 적당한 흰색의 고휘도 제품의 구현이 어렵고, 제조에 걸리는 비용이 흰색 전구나 형광등에 비교해 비싸기 때문에 현재에는 간단한 램프종류의 용도에 머물고 있다. 향후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서 기존의 조명기구를 대체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제조
발광 다이오드의 기본은 PN 접합이지만 실제로 발광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 이중 이질접합 구조나 양자 우물접합 구조를 이용하며 기술적으로 반도체 레이저와 공통점이 많다. 제조법은 기판위에 화학기상 성장법을 이용하여 박막을 겹쳐 쌓아가는 방식이 사용된다.
제품의 외형
7 세그먼트 2표시 발광 소자
가장 단순한 것은 발광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 부분과 2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여러가지 색을 내는 발광 다이오드를 내장한 것은 3개 이상의 단자를 가진다.
포탄형
팁형
다 세그먼트(영어: segment)형
7 세그먼트형
14 세그먼트형
매트릭스형
응용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역의 안내 표시 예시:유라코초선 (일본어: 有町線)이치가야 역 (일본어: 市ケ谷)
낮은 소비 전력과 긴 수명때문에 많은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1개의 소자로 여러가지 색을 낼 수 있는 구조의 발광 다이오드도 있다. 기기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색을 바꿀 수 있는것은 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하였다.
초기에는 휘도가 낮았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동작 표시등이나 옥내 용도에 한정되었지만 빨강이나 녹색의 고휘도 종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용화되고 나서는, 역의 행선지 안내판같은 옥외용 디스플레이에도 사용되게 되었다. 게다가 고휘도의 파란색이나 흰색 발광 다이오드가 생산되고 나서는 경기장의 스크린같은 완전한 색의 대형 디스플레, 전구 대신한 손전등이나 신호기, 자동차의 방향 표시등이나 미등같은 다양한 조명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미등에 사용했을 경우 전구보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점등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기 때문에 안전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철도, 버스의 방향 표시에도 안내판 대신에 사용되고 있다.
또 냉음극 형광 램프에서 발생되는 흰색빛을 컬러 필터에 투과해 얻을 수 있는색 (빨강, 녹색, 파랑)에 비해서 발광 다이오드가 발생하는 빛이 색순도가 높다. 그렇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냉음극 형광 램프에서 발광 다이오드로 변경하여서 색 재연 범위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는 점광원이기 때문에 넓은 면적을 조사하려면 얼룩 번짐이 생기기 쉽고, 백라이트용으로는 휴대용 소형 디스플레이에 주로 이용되었다. 대형 디스플레이용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는 2004년 11월에 소니에서 액정 텔레비전이 실용화 되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자체의 수명은 길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서 수지의 열화에 의한 조도 저하의 진행이 빨리 되기도 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 교환이 필요한 정도까지 조도가 떨어졌을 때 기판의 교환을 포함하여 대규모 보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 향후의 과제이다.
DIY LED란...
여기서 DIY란.. Do It Yourself 의 약자로 한마디로 LED를 스스로 제작하는것을 말합니다.
자동차의 계기판, 브레이크 등, 컴퓨터, 집안 내부 인테리어 등등 전기가 들어가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응용하여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개인의 취향에 꼭 맞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요즘 자기만의 개성을 찾으려는 젊은 사람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