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효소와 분해효소의 검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Title /

Date

Purpose

Introduction

Materials

Methods

Results

Discussion

본문내용

(골고루 퍼지게 끔)
3. 점적된 배지를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뚜껑을 덮음)
4. 배지 상에 스며들지 않은 Congo red시약을 버림
5. 흐르는 수돗물로 수세(수돗물은 약하게)
6. 1N NaCl로 1회 정도 가볍게 수세
7. 다시 1N NaCl를 배지위에 충분히 점적
8. 10분동안 실온 방치(뚜껑을 덮음)
9. 1N NaCl를 버린 후 태양에 비추어 봄(or phone의 광원을 이용)
10. 미리 표시해 놓은 생장하 부위 주변에 투명한 환이 존재하는지를 확인
Proteinase & Lipase 확인
1. 배지 가운데에 positive & negative control을 picking 한다.
2. 위와 아래 부분 4군데에 배양한 colony를 picking한다.
3. 37℃ incubator에 1일 동안 배양한다.
4. clear zone을 관찰한다.
Results
1. 산화효소
picking한 곳에서 거품이 일어난다.
2. 분해효소
(1) Proteinase 확인
A조의 결과
1번 colony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B조의 결과
2번, 4번 colony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2) Cellulase 확인
A조의 결과
1번, 4번 colony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B조의 결과
2번(A조에서 배양한 colony)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3) Lipase 확인
A조의 결과
배지가 심하게 오염되어 확인이 불가능했다.
B조의 결과
교수님께서 배양한 배지
Remark
첫 번째 실험인 산화효소 반응 실험에서 거품이 일었다. 이때 picking한 균주는 에어콘 근처에서 접종하여 배양한 균주로 호기성균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실험인 분해효소의 검사 실험은 각각 세 개의 실험결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단백질분해효소 검사실험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A조의 1번, B조의 2번 colony는 동일 colony로 clear zone이 생긴 것으로 보아 단백질 분해효소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조 결과의 4번 colony는 다른 조(1조)의 colony로 이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였다. 셀룰로오스 분해효소 검사 실험에서 A조의 1번과 B조의 2번 colony는 동일 colony로 clear zone이 생기는 양성반응을 보였다. 이도 역시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 지질 분해효소의 검사는 앞의 두 실험과는 달리 3일을 배양하여 관찰하는 실험이다. 하지만 교수님께서 배양한 표준 균주와는 달리 clear zone이 생기지 않는 전혀 다른 반응을 보였다. 이로서 지질분해 효소인 리파아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조가 배양한 배지는 균이 심하게 오염되었는지 한 colony가 거의 2/3정도를 덮어버려 확인이 불가능했다.
이번 실험으로 우리는 공기 중 접종한 세균 중에서 단백질, 셀룰로오스, 지질을 분해할 수 있는 로또형 세균을 찾지 못했다. 다만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는 colony와 셀룰로오스를 분해할 수 있는 colony를 찾을 수 있을 뿐이었다.
Reference
네이버 백과사전 / 야후 백과사전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06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