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에 대한 민족주의적 재구성에 대한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의식 -박정희 그는 민족주의자인가?-

Ⅱ. 기존의 주장들과 문제점
1. 박정희에 대한 엇갈린 평가와 문제점
2. 불가능한 완전성을 지향한 맹목의 민족주의의 문제점

Ⅲ 한계성을 가진 제한적 민족주의에 대해
-어떤 부분이 민족주의자 인가? (제한적 부분에 관해서)-

Ⅳ. 새로운 민족주의에 대해서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에 없는 국가의 건설은 그가 분명 이루었으며 경제적으로는 민족을 위해 앞장 선 인물이라는 점에서 동의해야 할 것이다.
Ⅳ. 새로운 민족주의에 대해서
앞서 필자는 박정희 그는 과연 민족주의자 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를 시작으로 한국의 민족주의에 대한 문제를 잠깐 언급하고 이를 토대로 불가능한 완전성을 통한 맹목적 민족주의 경계하면서 한계성을 인정하며 들어가서 그를 다시금 보자고 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새롭게 바라 본 그의 모습은 분명 제한적은 부분에서 분명 민족주의자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것은 세계는 벌써 새로운 민족주의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이 시점에서 아직도 과거에 매달려 있는 우리의 모습을 보았기 때문이다. 민족주의는 아마도 하나의 국가 단위가 정치적 최소 단위로 인정되는 한 영원히 존재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민족의 개념이 과거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초기 민족국가의 시작 단계에서 민족은 그 개념에서 현재보다는 작은 범위에서 쉽게 이해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모습은 그렇게 쉽게 정의 내리기 어려운 면이 있다. 이는 세계화, 탈근대를 지나오면서 과학이 발전하면서 정착민이 유목화 되는 현상과도 맞물려 있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자크 아퀼리는 미래의 사회는 발전된 과학 기술로 유목화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치적인 문제는 이제 자국의 문제만을 처리하던 과거와는 달리 점차적으로 세계적인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민족에 대한 개념은 새롭게 정의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각 국가간에 가지고 있는 특수한 상황은 언제나 존재함을 또 무시 할 수도 없다. 예를 들어 우리의 경우 분단과 통일이라는 근대 민족 개념이 필요한 특수한 상황에 노여 있으며 캐나다의 경우 거대한 이민 국가 들 중 하나의 통합된 민족의 개념이 정립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호주의 경우 경제적인 문제로 보편적인 언어, 인류학, 문화적으로 서양사회에 속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시아에 속하길 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독특한 문제의 특이성을 무시 할 수 없다는 점에서 새로운 개념 정의의 민족주의는 앞으로 우리 민족이 살아가기 위해 혹은 이 지구촌에 속해 더불어 살기 위해 필수적인 요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많은 부분 미흡한 부분이 보이는 보고서이지만 처음 문제로 제시하였던 민족에 대한 새로운 정의 문제를 다시금 문제의식으로 남기면서 끝맺고자 한다.
※ 참고 문헌
『건국과 부국 현대한국정치사 강의』, 김일영 지음, (주)생각의 나무, 2004
『21세기 사전』, 자크 아탈리 지음, 중앙 M&B, 1999
『민족주의』, 브루노 레온 지음, 인간 사랑, 1993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임지현 지음, 소나무. 1999
『현대 민족주의론의 이론구조』, 진덕규 지음, 지식 산업사, 1986
『세계화시대의 민족과 민족주의』, 안소니 D. 스미스, 남지, 1997
『문명의 충돌』, 샤무얼 헌팅턴, 김영사, 2000
『문명의 공존』, 하랄트 뮐러, 푸른숲, 2000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11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15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