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목적
2. 시험장비
3. 시험방법
4. 시험사진
5. 시험결과 및 정리
6. 관련자료
2. 시험장비
3. 시험방법
4. 시험사진
5. 시험결과 및 정리
6. 관련자료
본문내용
다.
2. 시험 장비
◎ 체 분석
① 체 1세트(#4, #10, #20, #40, #60, #100, #200)
② 저울 (시료무게의 0.1% 의 정밀도를 가진 것)
③ 건조기
④ 체 진동기 (본 시험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⑤ 캔, 증류수
◎ 비중계 분석
① 비중계(hydrometer)
② 메스실린더
③ 분산장치 - 교반날개, 분산용기, 10,000rpm 이 가능한 장치
④ 온도계
⑤ 비커
⑥ 저울 - 0.01g 의 감도
3. 시험 방법
◎ 체 분석
(1) 체분석 1세트의 각각의 체의 무게를 측정한다.
(2) 건조시킨 흙을 약간의 물을 넣고 무게를 측정한다.
(3) #4 ~ #200 체를 순서대로 쌓는다.
(4) #4체에 시료를 붓고 물로서 씻어낸다. (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주의함)
(5) 각 체에 남은 흙을 증류수를 약간씩 부어 각각의 캔의 무게를 측정하여 캔에 흙을 담아 무게를 측정한다.
(6) 각각의 캔을 건조기에 넣어 24시간 후 건조된 캔+마른흙의 무게를 측정한다.
◎ 비중계 분석
(1) 메스실린더와 비중계의 관계가 측정된 것으로 짝을 맞추고 스포이드, 증류수, 항온수조를 준비한다.
(2) 분산시킨 내용물을 메스실린더에 넣는다.
(3) 메스실린더 내용물이 980cc 정도 되게 한다.
(4) 항온수조에 넣어 내용물이 항온수조 온도와 같게 한다.
(5) 꺼내어 손바닥이나 고무마개로 막아 1분간 30회 반전시킨다.
(6) 30회가 끝나는 시간을 기록하고 비중계로 수조에 넣어 1분, 2분일 때의 비중계 눈금을 읽는다.
(7) 비중계를 꺼내어 옆에 붙은 것을 씻어 내리고 1,2,5,15,30,60,120,240 분에 비중계 눈금을 읽는다. 그리고 이때의 온도를 측정한다.
4. 시험 모습사 진
비 고
체에 남은 자갈
손으로 부드럽게 문질러
흙을 체로 걸러내는 모습
체에 남은 흙을 물로 씻어내어
통과시키는 모습
5. 시험결과 및 정리
① 입도분석용 체
체번호
No.4
No.10
No.20
No.40
No.60
No.100
No.200
mm
4.76
2.00
0.841
0.420
0.250
0.149
0.074
용기중량(g)
536.26
471.78
413.73
383.27
375.26
317.14
339.34
② 체분석 (시험시의 마른 흙 중량 = 211g)
체번호 (No.)
체지름
(mm)
용기중량
(gf)
용기+흙
(gf)
잔류량
(gf)
잔류율
(%)
누가잔류율
(%)
통과백분율
(%)
4
4.76
536.26
554.13
17.87
8.62
8.62
91.38
10
2.00
471.78
478.47
6.69
3.58
12.2
87.8
20
0.841
413.73
422.36
8.63
4.54
16.74
83.26
40
0.420
383.27
389.11
5.84
3.15
19.89
80.11
60
0.250
375.26
383.72
8.46
4.35
24.24
75.76
100
0.149
317.14
330.72
13.58
6.68
30.9
69.1
200
0.074
339.34
381.18
41.84
19.54
50.46
49.54
pan
1028.45
1136.54
108.09
49.54
100
0
③ 그래프
점토 C
실트 M
모래 S
자갈 G
0.005 0.075
(※ 비중계 시험은 생략하였기에 입도분포곡선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임으로 그린다.)
그래프를 토대로 균등계수와 곡률 계수를 구한다.
,
이 흙을 통일분류법으로 분류하면
종합하면, 이흙의 분류기호는 SW 이고 이므로 입도분포가 좋은 모래이다.
표1. 통일분류법에 의한 자갈의 분류
6. 관련자료
표2. 통일분류법에 의한 모래의 분류
·
표3. 통일분류법에 의한 세립토의 분류
2. 시험 장비
◎ 체 분석
① 체 1세트(#4, #10, #20, #40, #60, #100, #200)
② 저울 (시료무게의 0.1% 의 정밀도를 가진 것)
③ 건조기
④ 체 진동기 (본 시험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⑤ 캔, 증류수
◎ 비중계 분석
① 비중계(hydrometer)
② 메스실린더
③ 분산장치 - 교반날개, 분산용기, 10,000rpm 이 가능한 장치
④ 온도계
⑤ 비커
⑥ 저울 - 0.01g 의 감도
3. 시험 방법
◎ 체 분석
(1) 체분석 1세트의 각각의 체의 무게를 측정한다.
(2) 건조시킨 흙을 약간의 물을 넣고 무게를 측정한다.
(3) #4 ~ #200 체를 순서대로 쌓는다.
(4) #4체에 시료를 붓고 물로서 씻어낸다. (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주의함)
(5) 각 체에 남은 흙을 증류수를 약간씩 부어 각각의 캔의 무게를 측정하여 캔에 흙을 담아 무게를 측정한다.
(6) 각각의 캔을 건조기에 넣어 24시간 후 건조된 캔+마른흙의 무게를 측정한다.
◎ 비중계 분석
(1) 메스실린더와 비중계의 관계가 측정된 것으로 짝을 맞추고 스포이드, 증류수, 항온수조를 준비한다.
(2) 분산시킨 내용물을 메스실린더에 넣는다.
(3) 메스실린더 내용물이 980cc 정도 되게 한다.
(4) 항온수조에 넣어 내용물이 항온수조 온도와 같게 한다.
(5) 꺼내어 손바닥이나 고무마개로 막아 1분간 30회 반전시킨다.
(6) 30회가 끝나는 시간을 기록하고 비중계로 수조에 넣어 1분, 2분일 때의 비중계 눈금을 읽는다.
(7) 비중계를 꺼내어 옆에 붙은 것을 씻어 내리고 1,2,5,15,30,60,120,240 분에 비중계 눈금을 읽는다. 그리고 이때의 온도를 측정한다.
4. 시험 모습사 진
비 고
체에 남은 자갈
손으로 부드럽게 문질러
흙을 체로 걸러내는 모습
체에 남은 흙을 물로 씻어내어
통과시키는 모습
5. 시험결과 및 정리
① 입도분석용 체
체번호
No.4
No.10
No.20
No.40
No.60
No.100
No.200
mm
4.76
2.00
0.841
0.420
0.250
0.149
0.074
용기중량(g)
536.26
471.78
413.73
383.27
375.26
317.14
339.34
② 체분석 (시험시의 마른 흙 중량 = 211g)
체번호 (No.)
체지름
(mm)
용기중량
(gf)
용기+흙
(gf)
잔류량
(gf)
잔류율
(%)
누가잔류율
(%)
통과백분율
(%)
4
4.76
536.26
554.13
17.87
8.62
8.62
91.38
10
2.00
471.78
478.47
6.69
3.58
12.2
87.8
20
0.841
413.73
422.36
8.63
4.54
16.74
83.26
40
0.420
383.27
389.11
5.84
3.15
19.89
80.11
60
0.250
375.26
383.72
8.46
4.35
24.24
75.76
100
0.149
317.14
330.72
13.58
6.68
30.9
69.1
200
0.074
339.34
381.18
41.84
19.54
50.46
49.54
pan
1028.45
1136.54
108.09
49.54
100
0
③ 그래프
점토 C
실트 M
모래 S
자갈 G
0.005 0.075
(※ 비중계 시험은 생략하였기에 입도분포곡선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임으로 그린다.)
그래프를 토대로 균등계수와 곡률 계수를 구한다.
,
이 흙을 통일분류법으로 분류하면
종합하면, 이흙의 분류기호는 SW 이고 이므로 입도분포가 좋은 모래이다.
표1. 통일분류법에 의한 자갈의 분류
6. 관련자료
표2. 통일분류법에 의한 모래의 분류
·
표3. 통일분류법에 의한 세립토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