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8.2.1. 훈민정음
8.2.2. <용비어천가>
8.2.3. <월인천강지곡>
8.2.4. <석보상절>
8.2.5. 언해
8.2.2. <용비어천가>
8.2.3. <월인천강지곡>
8.2.4. <석보상절>
8.2.5. 언해
본문내용
해를 돕고자 하였으나 널리 반포되지 못하였다. 또한 세조가 세상을 떠나자 불교를 배척하고 유학을 기본 이념으로 삼는 노선이 재확인되고, 간경도감의 폐지로 불경 언해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시 작품의 언해도 국가사업으로 추진했다. 난세에 어려운 생애를 보내면서도 임금과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이 절실히 나타내어 고려 때부터 애독된 두보의 시가 언해되어 1481년 <두시언해>로 나왔는데, 서문에서 시를 공부하고자 하면서도 두보의 시를 어렵게 여기는 사람들을 위해서 주석도 달고 번역도 한다고 했다. 원문과 번역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언해하면서, 우리말의 어법에는 맞지 않을 정도까지 직역하였고, 원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 외에도 국가 차원의 한시언해는 <연주시격>과 <황산곡시집>이 있으나 전하지 않고 있다.
한시 언해를 학자 개인이 하기도 했는데, 김인후의 <백련초해>는 한 자마다 새김과 독음을 국문으로 단 뒤에 그 구의 번역을 붙였으나 이는 입문자에게 한시를 가르치기 위한 교재이고 번역 자체가 의의를 가지는 것은 아니었다.
조선시대에는 당나라의 양대 시인 중 두보보다 이백을 낮추어 보는 경향이 있어, 이백 시의 언해는 조선후기에 비로소 이루어지고 간행되지 못한 채 필사본으로 전하고 있다.
조선초기의 언해는 국문 사용을 확대한 점에서 획기적인 의의를 가지지만, 번역이 원문을 대신할 수 있게 하지 못했으며 널리 보급되지도 않았다. 원문을 읽지 못하는 독자를 위해 의역을 한 것도 더러 있으나, 번역문학의 작품으로 평가할 것을 마련하지 못하였으며, 자유로운 번역이 이루어진 것은 조선후기의 일이다.
한시 작품의 언해도 국가사업으로 추진했다. 난세에 어려운 생애를 보내면서도 임금과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이 절실히 나타내어 고려 때부터 애독된 두보의 시가 언해되어 1481년 <두시언해>로 나왔는데, 서문에서 시를 공부하고자 하면서도 두보의 시를 어렵게 여기는 사람들을 위해서 주석도 달고 번역도 한다고 했다. 원문과 번역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언해하면서, 우리말의 어법에는 맞지 않을 정도까지 직역하였고, 원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 외에도 국가 차원의 한시언해는 <연주시격>과 <황산곡시집>이 있으나 전하지 않고 있다.
한시 언해를 학자 개인이 하기도 했는데, 김인후의 <백련초해>는 한 자마다 새김과 독음을 국문으로 단 뒤에 그 구의 번역을 붙였으나 이는 입문자에게 한시를 가르치기 위한 교재이고 번역 자체가 의의를 가지는 것은 아니었다.
조선시대에는 당나라의 양대 시인 중 두보보다 이백을 낮추어 보는 경향이 있어, 이백 시의 언해는 조선후기에 비로소 이루어지고 간행되지 못한 채 필사본으로 전하고 있다.
조선초기의 언해는 국문 사용을 확대한 점에서 획기적인 의의를 가지지만, 번역이 원문을 대신할 수 있게 하지 못했으며 널리 보급되지도 않았다. 원문을 읽지 못하는 독자를 위해 의역을 한 것도 더러 있으나, 번역문학의 작품으로 평가할 것을 마련하지 못하였으며, 자유로운 번역이 이루어진 것은 조선후기의 일이다.
추천자료
시에서 대화 관계의 형성과 화자의 역할
시인 신동엽의 연혁
서정시 양식에 대한 정의
서정시의 장르적 특성에 대해서
시에 있어서의 리얼리즘문제에 관한 시론
시에서의 시간과 공간
(한문고전강독)한국 한시 중에서 오언절구와 오언율시, 칠언절구와 칠언율시를 각각 한편씩(...
현대시에 수용된 춘향전의 패러디 양상
시와 자연
[문예문][시][소설][수필][희곡][구조주의문예론][형식주의문예론][작품내제적문예론]문예문(...
[텍스트]텍스트의 개념, 텍스트의 구조, 상호텍스트성의 이론, 상호텍스트성과 이어성, 상호...
현대시의 흐름
[1930년대][한의학][과학담론][현대시][소설]1930년대의 한의학, 1930년대의 과학담론, 1930...
[세기전환기][고전시가][고전희곡][문학][구비문학][문학비평][한시]세기전환기의 고전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