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 서 론
Ⅱ. 퇴비란 무엇인가?
Ⅲ. 성공적인 퇴비의 조건
1. 수분
2. 산소
3. 온도
4. 알맞은 재료 혼합
Ⅳ. 퇴비의 4단계
1. 중온성 단계
2. 고온성 단계
3. 냉각단계
4. 숙성단계
Ⅴ. 퇴비의 기적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서 론
Ⅱ. 퇴비란 무엇인가?
Ⅲ. 성공적인 퇴비의 조건
1. 수분
2. 산소
3. 온도
4. 알맞은 재료 혼합
Ⅳ. 퇴비의 4단계
1. 중온성 단계
2. 고온성 단계
3. 냉각단계
4. 숙성단계
Ⅴ. 퇴비의 기적
Ⅵ.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토양 속에 있는 경우라도 전체 식물이 저항성을 갖게 된다. 시험포장에 심어 둔 고추가 고추시듬병을 이겨내고, 콩의 회색줄기마름병, 호박의 점질줄기마름병과 묘잘룩병이 억제된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이 같은 식물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이 퇴비 안에 들어있는 소수 미생물이기 때문에 다시 한번 퇴비의 생물 다양성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실감하게 된다.
퇴비는 질병을 막아줄 뿐 아니라, 지렁이를 끌어들이고 식물이 생장촉진제를 생산하도록 도와주며 병원성 선충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4. 퇴비는 죽은 자를 재순환시킨다.
모든 동물사체는 크기와 종류에 관계없이 퇴비화를 통하여 재순환될 수 있다. 미국에서 사육되는 730억마리의 닭, 오리, 칠면조 가운데 매년 3,700만마리가 사육도중에 질병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죽는데, 이것들은 간단히 퇴비화될 수 있다. 퇴비화 과정은 사체를 퇴비로 변환시킬 뿐 아니라 병원균이나 기생충을 사멸시킬 수 있으므로, 병든 동물을 다른 곳으로 옮겨 병을 전염시킬 위험이 없이 바로 그 농장에서 퇴비로 만드는 것이 좋다. 3일 이상 55℃를 유지하면 병원균을 가장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퇴비화는 동물사체를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사체를 퇴비더미에 넣고 동물의 크기와 기후조건에 따라 2개월에서 길게는 12개월 동안 퇴비더미에서 분해시키면 된다. 과거에는 사체를 땅속에 묻었지만 지하수를 오염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안된다. 퇴비화하면 냄새도 없고, 파리는 물론 동물사체를 찾아다니는 새종류나 동물을 피해서 안전하게 재순환시킬 수 있다.
동물사체를 퇴비화할 때 일어나는 생물반응도 다른 유기물을 퇴비화할 때와 같다. 풀, 짚, 톱밥과 같은 것이 공기가 통하기 쉽도록 공간을 마련해주는 탄수화물재료인 반면, 동물사체는 질소분과 수분을 공급한다.
Ⅵ. 맺음말
지금까지 인간의 배설물의 처리에서 시작해서 퇴비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인간의 몸에서 나온 인분과 자연에서 나오는 풀, 짚 등을 이용하여 퇴비를 만든다면 환경의 오염도 막고, 이미 오염된 토양이나 공기, 물 등을 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퇴비의 유용성을 짚어보면 ‘ ① 토양을 비옥하게 한다. ② 오염을 방지한다. ③ 기존의 오염을 퇴치한다. ④ 땅을 회복시킨다. ⑤ 병원균을 사멸한다. ⑥ 폐기물 처리 등의 비용을 절약한다. ’ 등의 장점을 발견 할 수 있다.
우리는 지구환경이라는 이 틀 안에서 살아 갈 수 밖에 없다. 자연으로부터 취한 것은 결국 다시 돌려주어야 한다. 취한 것을 자연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되돌려 주어야 하며 쓰레기 형태로 되돌려 주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자연과 함께 살기 위해서는 모든 것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땅을 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땅을 살리고 자연이 다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되돌려 주는 것에 퇴비가 큰 역할을 하리라 생각한다.
◎ 참고문헌
- ‘똥살리기 땅살리기’, 조셈 젠킨스, 녹색평론사, 2004
- ‘똥이 자원이다 ; 인류학자의 환경론’, 전경수, 통나무출판, 1992
퇴비는 질병을 막아줄 뿐 아니라, 지렁이를 끌어들이고 식물이 생장촉진제를 생산하도록 도와주며 병원성 선충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4. 퇴비는 죽은 자를 재순환시킨다.
모든 동물사체는 크기와 종류에 관계없이 퇴비화를 통하여 재순환될 수 있다. 미국에서 사육되는 730억마리의 닭, 오리, 칠면조 가운데 매년 3,700만마리가 사육도중에 질병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죽는데, 이것들은 간단히 퇴비화될 수 있다. 퇴비화 과정은 사체를 퇴비로 변환시킬 뿐 아니라 병원균이나 기생충을 사멸시킬 수 있으므로, 병든 동물을 다른 곳으로 옮겨 병을 전염시킬 위험이 없이 바로 그 농장에서 퇴비로 만드는 것이 좋다. 3일 이상 55℃를 유지하면 병원균을 가장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퇴비화는 동물사체를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사체를 퇴비더미에 넣고 동물의 크기와 기후조건에 따라 2개월에서 길게는 12개월 동안 퇴비더미에서 분해시키면 된다. 과거에는 사체를 땅속에 묻었지만 지하수를 오염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안된다. 퇴비화하면 냄새도 없고, 파리는 물론 동물사체를 찾아다니는 새종류나 동물을 피해서 안전하게 재순환시킬 수 있다.
동물사체를 퇴비화할 때 일어나는 생물반응도 다른 유기물을 퇴비화할 때와 같다. 풀, 짚, 톱밥과 같은 것이 공기가 통하기 쉽도록 공간을 마련해주는 탄수화물재료인 반면, 동물사체는 질소분과 수분을 공급한다.
Ⅵ. 맺음말
지금까지 인간의 배설물의 처리에서 시작해서 퇴비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인간의 몸에서 나온 인분과 자연에서 나오는 풀, 짚 등을 이용하여 퇴비를 만든다면 환경의 오염도 막고, 이미 오염된 토양이나 공기, 물 등을 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퇴비의 유용성을 짚어보면 ‘ ① 토양을 비옥하게 한다. ② 오염을 방지한다. ③ 기존의 오염을 퇴치한다. ④ 땅을 회복시킨다. ⑤ 병원균을 사멸한다. ⑥ 폐기물 처리 등의 비용을 절약한다. ’ 등의 장점을 발견 할 수 있다.
우리는 지구환경이라는 이 틀 안에서 살아 갈 수 밖에 없다. 자연으로부터 취한 것은 결국 다시 돌려주어야 한다. 취한 것을 자연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되돌려 주어야 하며 쓰레기 형태로 되돌려 주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자연과 함께 살기 위해서는 모든 것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땅을 살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땅을 살리고 자연이 다시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되돌려 주는 것에 퇴비가 큰 역할을 하리라 생각한다.
◎ 참고문헌
- ‘똥살리기 땅살리기’, 조셈 젠킨스, 녹색평론사, 2004
- ‘똥이 자원이다 ; 인류학자의 환경론’, 전경수, 통나무출판, 199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