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환경학 상수도 설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상수도
○상수도의 의의
○상수도의 효과
○상수도시설의 구성
△수 원
△취 수
△도 수
△정 수
△배 수
△급 수

□대구상수도
○ 정수처리의 흐름
○고산정수사업소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3분여 동안 물에 섞여 있던 유해 세균 상당수를 인체에 들어가도 질병을 일으키지 못할 정도로 약화(불활성화)시킨다. 염소는 이와 함께 자신의 전자를 내놓으면서(환원) 물속에 녹아 있는 다른 유해물질의 전자를 빼앗는(산화) 반응을 일으킨다. 이 산화작용을 통해 유해물질들의 결합구조는 독성을 발휘할 수 없거나, 이후 정수과정에서 제거하기 쉬운 형태로 바뀐다.
<혼화지>
<혼화기>
■ 혼화지 : 착수정을 벗어난 우리는 수처리제를 원수에 혼합하는 시설인 혼화지를 통과하며 응집제와 섞여졌다. 물속에 녹아 있는 유무기물질들은 대부분 음(-)전하를 띤 채 서로 반발하고 있다. 이런 물속에 양(+)전하를 띤 응집제가 투입되면 유무기물질 표면의 전위차가 없어지면서(중화) 반발력이 줄어 서로 뭉쳐진다. 이 과정은 물속의 각종 유해물질을 가라앉게 하기 위한 준비단계인 셈이다. 정수장에는 보통 알루미늄계 응집제가 쓰이고 있는데, 수지정수장 혼화지에서 우리에게 투입된 것은 최근 응집제로 개발된 폴리수산화염화알루미늄이다. 최대의 응집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원수의 수질에 따라 응집제의 투입량이 최적화돼야 한다. 과다하면 응집효과가 떨어질 뿐더러 응집제 자체가 유해물질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응집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응집제가 최대한 짧은 시간 안에 확산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혼화지에서는 프로펠러나 터빈 등이 동원돼 강력한 물결을 일으켜 응집제를 확산시킨다.
<약품투입기>
<약품투입기내부>
<약품투입>
■ 특 징
기존 약품투입기(소석회,활성탄등)의 용해 및 응고의 모든 문제를 혁신적으로 개선한 분체 약품투입기로 3단용해 장치에 의한 투입기이다.
개선된 3단 용해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성된다.
◈ 1차 용해지
피더에서 정량 공급된 분체는 용해통으로 투입되며 통의 주벽 상측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과 약품이 혼합되어 용해된 후 나선형의 안내판을 회돌아 배출되도록 한 달팽이 용해 기의 구조 이다. 공급되는 용해기 급수배관에는 용해율을 높일 수 있도록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가 설치되며, 분체가 닿는 나선형 안내판은 하부 원추형으로 물이 맴도는 현상이 위에서 아래로 진행되어 분체와 물의 혼합을 원활하게 하는 구조이다.
◈ 2차 용해지
1차 용해장치인 달팽이형 용해기에서 배출되는 1차 용해수는 이젝터와 횡방향으로 결 합된 2차 용해통에 유입 되어 이젝터 속으로 용해수를 흡입하여 2차로 용해 되도록 한이 젝터 용해기로 구성된다. 1차 용해장치와 용해탱크 사이에 설치되며 이젝터의 용량 및 분사압력은 설계수량의 분체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용량으로 펌프에서 주 급수 배관을 통하여 급수를 공급받는다.
◈ 3차 용해지
2차 용해장치인 이젝터형 용해기를 거친 용해수는 용해조 하부 중앙부로 유입되어 교반기에 의하여 3차로 혼합 용해시켜 투입지점에 투입되는 구조이다.
◈ 폴리백 해체장치
폴리백 해체장치는 소석회,활성탄 등의 분체약품을 안전하고 주위환경의 오염없이 해체하여 약품투입 호퍼에 투입될수 있도록 특별히 고안된 장치이다
<응집지>
<침전지>
<슬러지수집기>
■ 응집지 및 침전지 : 1분여 만에 혼화지를 빠져나온 우리는 응집지로 흘러갔다. 중화가 돼 반발력을 잃어버린 유무기물질 입자들은 이곳에서 서로 뭉쳐지면서 점점 커진다. 이때 응집지 수면에는 마치 콩비지를 풀어놓은 것 같은 누런 덩어리들이 둥둥 뜨고, 물속에는 희끄무레한 작은 알갱이들이 무수히 보여 물이 더 더러워진 것이 아닌가 생각할 수도 있다. 물론 그렇지 않다. 눈에 보이지 않던 미세한 입자들이 커져서 보이게 된 것일 뿐이다. 우리는 이들 오염물질 덩어리(플록)가 물에 쉽게 가라앉을 만큼 충분히 크고 무거워질 수 있도록 30여분에 걸쳐 천천히 응집지를 통과한 뒤 침전지로 보내졌다.
물 속에 떠다니던 플록은 침전지에서 서서히 바닥으로 가라앉는다. 침전효율은 침전지의 표면적, 체류시간 등에 좌우된다. 따라서 침전지는 정수장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또 물 흐름의 속도도 분당 40㎝ 이하가 되도록 설계돼 있어, 침전지를 통과하는 데 3시간 이상 걸렸다. 정수장 쪽은 이 단계를 지나면 각종 세균을 포함한 유해물질이 99% 이상 제거되고, 정수장에 처음 들어올 때 4NTU였던 탁도도 0.3NTU까지 낮아진다고 한다.
<여과지>
<여과지 단면도>
■ 여과지 : 여과지는 침전과정을 통해 다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플록을 걸러내는 시설이다. 수지정수장의 여과지 바닥은 맨 위에 굵은 모래 크기의 활성탄의 일종인 안트라사이트가 50㎝ 높이로 깔리고, 그 아래에 25㎝ 두께의 가는 모래층, 모래층을 지지하기 위한 자갈층으로 이뤄져 있다. 우리는 이 여과지를 10분여에 걸쳐 천천히 통과해 정수 공정의 마지막 시설인 지하 정수지로 흘러갔다. 침전지를 용케 벗어난 미세한 부유물질도 여과지 바닥의 안트라사이트와 모래층을 빠져나가기는 쉽지 않다. 여과단계를 거치고 나면 물속의 유해물질은 99.99%까지 제거되고, 탁도도 0.04NTU까지 떨어진다는 게 정수장 쪽의 설명이다
<정배수지>
<배출수 처리 계통도>
■ 정수지 : 그래도 우리를 그냥 마시기는 이르다. 일부 유해세균이 제거되지 않았을 가능성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정수지로 흘러들어 가면서 다시한번 염소가스 희석액과 섞여졌다. 염소는 살균력이 뛰어나지만, 물속에 들어 있는 자연유기물질과 반응해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을 비롯한 소독부산물질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에 따라 오존소독 등 염소소독을 대체할 방법이 강구되고는 있으나 오존도 부산물을 만들어내기는 마찬가지다. 따라서 대다수 전문가들은 염소를 소독제로 계속 사용하면서, 원수에 소독부산물을 만드는 전구물질인 자연유기물질이 많을 경우 고도응집으로 제거하는 것이 경제적인 동시에 효과적이라고한다.
□ 참고문헌 및 인터넷사이트
http://cafe.naver.com/gurum0507.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767
http://water.daegu.go.kr/index.htm
건축 설비, 일광, 건축설비연구회 편저
수질 및 수자원 관리, 대학서림, 옥치당 외 4명저

키워드

상수도,   수원,   취수,   도수,   정수,   배수,   급수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2.20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