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절 원초적 역사의 발생
1. 인간의 출현
2. 원초적 역사의 발생
2절 ‘서술로서의 역사’ 의 발생
1. 문자의 발생
2. 역사의식
3. 역사서술의 발생과 그 후
3주차 강의 (비평)
1. 인간의 출현
2. 원초적 역사의 발생
2절 ‘서술로서의 역사’ 의 발생
1. 문자의 발생
2. 역사의식
3. 역사서술의 발생과 그 후
3주차 강의 (비평)
본문내용
탕이 되었고 이로 인해 역사는 발생되었을 것이다.
과거의 역사를 서술하여 기록하고 또 편찬을 한 기록들의 역사적 사실로 인해 우리는 우리의 과거를 알 수 있고, 또한 발자취를 통한 흔적으로 인해 우리는 역사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거를 돌이켜 보며 옛 과거의 실수를 밑바탕으로 미래를 개선해 나 갈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내가 생각하는 것은 이러한 과거의 역사적 기록들이 사실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그것을 기록한 편찬자의 주관적인 생각이 깃들인 기록들인지 알 수 없다는데 있다. 아마도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들 중에도 조금이나마 허구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강의 내용에서 들은 것처럼 일본인의 고대사 시작에 대한 날조가 역사적 서술의 한계점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것은 진실이 아니기 때문이다. 허구의 역사를 통해서 제대로 된 역사적인 시야가 확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이것은 역사의식의 소산이라고 본다. 역사의식은 다른 의식과 달리 객관적이면 객관적일 수록 논리적 설득력을 얻고, 우리의 진정한 역사 지식의 바탕이 될 된다고 한다. 또 시간의 변화에 끊임없는 호기심을 발동하고, 과거를 인식하려는 것은 과거가 단순한 과거가 아니라 현재와 연결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실에 한걸음씩 다가서기 위해 바람직한 역사의식이 필요 할 것이다.
진실이 아닌 역사적 서술 또한 역사의 일부가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바람직한 역사적 서술의 기록이 필요 할 것이다. 그래야 우리 미래의 후손들이 제대로 된 역사적 기록을 보며, 제대로 된 역사의식을 가지고, 또한 발전해 나갈 수 있지 않을 까 생각한다.
과거의 역사를 서술하여 기록하고 또 편찬을 한 기록들의 역사적 사실로 인해 우리는 우리의 과거를 알 수 있고, 또한 발자취를 통한 흔적으로 인해 우리는 역사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거를 돌이켜 보며 옛 과거의 실수를 밑바탕으로 미래를 개선해 나 갈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내가 생각하는 것은 이러한 과거의 역사적 기록들이 사실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그것을 기록한 편찬자의 주관적인 생각이 깃들인 기록들인지 알 수 없다는데 있다. 아마도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들 중에도 조금이나마 허구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강의 내용에서 들은 것처럼 일본인의 고대사 시작에 대한 날조가 역사적 서술의 한계점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것은 진실이 아니기 때문이다. 허구의 역사를 통해서 제대로 된 역사적인 시야가 확보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이것은 역사의식의 소산이라고 본다. 역사의식은 다른 의식과 달리 객관적이면 객관적일 수록 논리적 설득력을 얻고, 우리의 진정한 역사 지식의 바탕이 될 된다고 한다. 또 시간의 변화에 끊임없는 호기심을 발동하고, 과거를 인식하려는 것은 과거가 단순한 과거가 아니라 현재와 연결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실에 한걸음씩 다가서기 위해 바람직한 역사의식이 필요 할 것이다.
진실이 아닌 역사적 서술 또한 역사의 일부가 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바람직한 역사적 서술의 기록이 필요 할 것이다. 그래야 우리 미래의 후손들이 제대로 된 역사적 기록을 보며, 제대로 된 역사의식을 가지고, 또한 발전해 나갈 수 있지 않을 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