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전원도시론에 대한 고찰
1. 전원도시론 등장의 배경
2. 전원도시론의 내용
3. 전원도시론의 발전
Ⅲ. 전원도시론 실현 도시사례 및 분석
1. 레치워드 전원도시 : Letchworth Garden City
2. Birds Hill 주거단지
3. 웰윈 전원도시 : Welwyn Garden City
4. 밀턴킨즈 신도시 : Milton Keynes Newtown
Ⅳ. 결 론
Ⅱ. 전원도시론에 대한 고찰
1. 전원도시론 등장의 배경
2. 전원도시론의 내용
3. 전원도시론의 발전
Ⅲ. 전원도시론 실현 도시사례 및 분석
1. 레치워드 전원도시 : Letchworth Garden City
2. Birds Hill 주거단지
3. 웰윈 전원도시 : Welwyn Garden City
4. 밀턴킨즈 신도시 : Milton Keynes Newtown
Ⅳ. 결 론
본문내용
우 경제적으로 자급자족을 할 수 있는 많은 도시가 시민생활 환경악화로 큰 도시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것과 크게 대조를 이룬다. 이 도시의 세부설계는 주택집단별로 다양한 구성과 설계로 계획하였다. 그 예로서 루이스, 언윈, 파커등은 식재와 조경의 미적 강조를 충분히 고려한 전원도시계획에서 조경기법을 발전시켰다. 이는 그 후 산업도시계획에서의 계획기준으로 설정되었다.
2. Birds Hill 주거단지
Birds Hill 주거단지는 언윈과 파커에 의해 기획된 레치워쓰 전원도시 계획안의 하나로서 1906년에 계획된 전원주거단지의 원형에 해당된다. Birds Hill 주거단지는 2층으로 연립된 주택에 개인 정원과 cul-de-sac의 진입방식, 공동의 놀이터 등이 계획되고 재완충지대에 의해 공장용지와 분리되어 있다. 9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초기 계획안대로 잘 보전되어 있으며 이 주거단지에서의 환경친화형 접근은 환경보존차원보다는 보다 자연과 많이 접촉하고자 하는 친자연적 High Contact 개념이 강한 주거단지이다.
주택의 앞마당은 이와같은 개념에 따라 이상적인 전원 주택의 풍광을 연출하고 있다.
3. 웰윈 전원도시 : Welwyn Garden City
영국의 제1위성도시라고도 부르는 이 도시는 런던에서 20마일 떨어진 Hartport주에 있다. Letchworth Garden City 조성실패 후 하워드가 Welwyn에 다시 자족적인 전원도시의 꿈을 갖고 자비 5000 파운드로 조성하기 시작한 신도시이다. 그러나 이 이상적인 전원 신도시 역시 재정 파탄으로 중단되고 말았지만 이 전원도시건설 시도는 많은 정부인사들의 관심을 끌게 되어 영국의 New Town 법 제정과 향후 많은 세계 신도시 개념의 하나로 영향을 주었다. 레치워드 신도시에 이어 계획인구 약 5만 명으로 1920년에 건설되기 시작한 이 뉴타운이 레치워드와 다른 점은 계획과정에서 근린주구 개념이 도입된 점이라 하겠다. 즉 도시의 구성 단위에 있어 상주인구의 활동에 따른 서비스기준-주택, 시장, 문화시설 등의 규모와 배치의 기준-을 미리 산출하여 여기에 활동거리와 경제규모 등을 감안하여 토지이용계획을 마련하였고 운영면에서는 신도시의 자족성을 추구한 점이라 하겠다.
웰윈의 경우에 대도시 외곽에 위치하며 경공업 등을 유치 발전시킴으로써 대도시의 인구분산효과를 얻는데 개발정책목표가 주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 도시개발을 위해서 정부는 공익기관으로 개발공사를 설립하여 건설을 맡게 하였고 행정구역 안의 토지는 전부 경영제로 개발하였다.
4. 밀턴킨즈 신도시 : Milton Keynes Newtown
밀턴킨즈 신도시는 영국 런던 북부 밀턴킨즈에서 1967년부터 1992년까지 건설된 신도시이다. 총 면적은 8,804 ha이고 총밀도는 28.4인/ha로써 250,000명의 인구규모를 지니는 밀턴킨즈는 런던의 과밀화를 해소하는 방안으로서의 위성도시로서 개발되었으나 많은 상업을 유치함으로써 자족적인 도시기능을 가지는 신도시이다. 밀턴킨즈 개발의 이념은 기회와 선택의 자유, 용이한 통행과 접근, 양호한 근린관계, 균형과 다양성, 매력있는 도시, 공고의 참여 등이고 이를 위하여 오픈 매트릭스의 도시구조를 선택하였다. 밀턴킨즈 신도시는 모든 위치에 똑같은 가능성을 주기 위해서 가능한 한 균질적이고 포괄적이며 비서열적인 도시공간의 창출을 겨냥하였으며 중심도 편심도 없는 비구심적인 패턴으로 노선선택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하여 1,000m간격의 격자형 네트워크가 채택되었다. 각각의 노선은 지형의 변화, 랜드마크, 중앙분리대, 연도의 건축 등을 통하여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공간구성을 배제하는 등 섬세하고 치밀한 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신도시 각 주거단지는 격자형 도로로 에워싸인 단위를 근린주구라 부르지 않고 세포(Cell)나 거주환경단위(Environmental Unit)로 표현하고 있으며 간선보행자전용도로와 간선도로의 결절점에 근린주심을 배치하여 종래의 근린주구가 지닌 폐쇄성을 배제하려고 하였다. 즉 근린중심을 주요한 간선도로를 사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다시 양중심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가로의 폭을 가능한 한 축소시키고 있으며 그 일체성을 높이기 위하여 입체교차를 고려했다.
밀턴킨즈는 전원도시로서의 면모를 강조하여 기존의 녹지, 하천을 보존하고 신도시계획과정에서 모든 녹지의 네트웍을 조성하였으며 특히 동쪽지역에 신도시 남북을 관통하는 대규모 자연환경축을 설정하고 이곳에 모든 자연환경과 녹지띠를 연결하였다.
주거단지차원에서는 기존의 지형과 자연환경을 최대한 고려하여 주택 및 단지계획을 함으로써 신도시는 농촌과 다름없는 자연환경과 경관을 갖게 되었다.
Ⅳ. 결 론
도시는 하나의 조직체이다. 조직체는 원래 한정된 범위와 그 조직체를 구성하는 요소 그리고 이들 요소들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시는 한정된 지리적 공간과 이 공간을 구성하는 활동 그리고 그 활동을 수용하는 시설 및 이들 활동에 관련된 의사결정과정 등으로 이루어지며, 조직체를 구성하고 있는 활동과 활동 간의 상호작용은 계속 변화되고 있다. 이것은 도시 조직체가 동적이며, 도시공간구조의 형성이 역사적인 변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시공간구조의 연구는 도시가 역사적, 시대적, 공간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즉 도시공간구조의 연구가 단기보다는 장기에 거쳐 일어나는 활동의 결과로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에 의해 발생되는 각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고 보다 나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이론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인 전원도시론을 이해하여 실제 도시계획에 접목함으로서 문제를 해결 할 수가 있다. 앞서 살펴본 이론과 사례를 통하여 전원도시론의 목적과 의의를 제대로 파악하여 도시계획 시에 이용할 수 있어야겠다.
<참고문헌>
1. 도시계획사: 공간구성의 원리와 기법, 김철수, 1997, 기문당
2. 도시구조론, 주종원ㆍ하재명ㆍ박찬규, 1998, 동명사
3. 도시계획의 이해, 김영모, 1999, 보성각
4. http://urban.cau.ac.kr/jryu/essay/전원도시.htm
2. Birds Hill 주거단지
Birds Hill 주거단지는 언윈과 파커에 의해 기획된 레치워쓰 전원도시 계획안의 하나로서 1906년에 계획된 전원주거단지의 원형에 해당된다. Birds Hill 주거단지는 2층으로 연립된 주택에 개인 정원과 cul-de-sac의 진입방식, 공동의 놀이터 등이 계획되고 재완충지대에 의해 공장용지와 분리되어 있다. 9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초기 계획안대로 잘 보전되어 있으며 이 주거단지에서의 환경친화형 접근은 환경보존차원보다는 보다 자연과 많이 접촉하고자 하는 친자연적 High Contact 개념이 강한 주거단지이다.
주택의 앞마당은 이와같은 개념에 따라 이상적인 전원 주택의 풍광을 연출하고 있다.
3. 웰윈 전원도시 : Welwyn Garden City
영국의 제1위성도시라고도 부르는 이 도시는 런던에서 20마일 떨어진 Hartport주에 있다. Letchworth Garden City 조성실패 후 하워드가 Welwyn에 다시 자족적인 전원도시의 꿈을 갖고 자비 5000 파운드로 조성하기 시작한 신도시이다. 그러나 이 이상적인 전원 신도시 역시 재정 파탄으로 중단되고 말았지만 이 전원도시건설 시도는 많은 정부인사들의 관심을 끌게 되어 영국의 New Town 법 제정과 향후 많은 세계 신도시 개념의 하나로 영향을 주었다. 레치워드 신도시에 이어 계획인구 약 5만 명으로 1920년에 건설되기 시작한 이 뉴타운이 레치워드와 다른 점은 계획과정에서 근린주구 개념이 도입된 점이라 하겠다. 즉 도시의 구성 단위에 있어 상주인구의 활동에 따른 서비스기준-주택, 시장, 문화시설 등의 규모와 배치의 기준-을 미리 산출하여 여기에 활동거리와 경제규모 등을 감안하여 토지이용계획을 마련하였고 운영면에서는 신도시의 자족성을 추구한 점이라 하겠다.
웰윈의 경우에 대도시 외곽에 위치하며 경공업 등을 유치 발전시킴으로써 대도시의 인구분산효과를 얻는데 개발정책목표가 주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 도시개발을 위해서 정부는 공익기관으로 개발공사를 설립하여 건설을 맡게 하였고 행정구역 안의 토지는 전부 경영제로 개발하였다.
4. 밀턴킨즈 신도시 : Milton Keynes Newtown
밀턴킨즈 신도시는 영국 런던 북부 밀턴킨즈에서 1967년부터 1992년까지 건설된 신도시이다. 총 면적은 8,804 ha이고 총밀도는 28.4인/ha로써 250,000명의 인구규모를 지니는 밀턴킨즈는 런던의 과밀화를 해소하는 방안으로서의 위성도시로서 개발되었으나 많은 상업을 유치함으로써 자족적인 도시기능을 가지는 신도시이다. 밀턴킨즈 개발의 이념은 기회와 선택의 자유, 용이한 통행과 접근, 양호한 근린관계, 균형과 다양성, 매력있는 도시, 공고의 참여 등이고 이를 위하여 오픈 매트릭스의 도시구조를 선택하였다. 밀턴킨즈 신도시는 모든 위치에 똑같은 가능성을 주기 위해서 가능한 한 균질적이고 포괄적이며 비서열적인 도시공간의 창출을 겨냥하였으며 중심도 편심도 없는 비구심적인 패턴으로 노선선택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하여 1,000m간격의 격자형 네트워크가 채택되었다. 각각의 노선은 지형의 변화, 랜드마크, 중앙분리대, 연도의 건축 등을 통하여 획일적이고 단조로운 공간구성을 배제하는 등 섬세하고 치밀한 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신도시 각 주거단지는 격자형 도로로 에워싸인 단위를 근린주구라 부르지 않고 세포(Cell)나 거주환경단위(Environmental Unit)로 표현하고 있으며 간선보행자전용도로와 간선도로의 결절점에 근린주심을 배치하여 종래의 근린주구가 지닌 폐쇄성을 배제하려고 하였다. 즉 근린중심을 주요한 간선도로를 사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하고 다시 양중심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가로의 폭을 가능한 한 축소시키고 있으며 그 일체성을 높이기 위하여 입체교차를 고려했다.
밀턴킨즈는 전원도시로서의 면모를 강조하여 기존의 녹지, 하천을 보존하고 신도시계획과정에서 모든 녹지의 네트웍을 조성하였으며 특히 동쪽지역에 신도시 남북을 관통하는 대규모 자연환경축을 설정하고 이곳에 모든 자연환경과 녹지띠를 연결하였다.
주거단지차원에서는 기존의 지형과 자연환경을 최대한 고려하여 주택 및 단지계획을 함으로써 신도시는 농촌과 다름없는 자연환경과 경관을 갖게 되었다.
Ⅳ. 결 론
도시는 하나의 조직체이다. 조직체는 원래 한정된 범위와 그 조직체를 구성하는 요소 그리고 이들 요소들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시는 한정된 지리적 공간과 이 공간을 구성하는 활동 그리고 그 활동을 수용하는 시설 및 이들 활동에 관련된 의사결정과정 등으로 이루어지며, 조직체를 구성하고 있는 활동과 활동 간의 상호작용은 계속 변화되고 있다. 이것은 도시 조직체가 동적이며, 도시공간구조의 형성이 역사적인 변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시공간구조의 연구는 도시가 역사적, 시대적, 공간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를 검토해야 한다. 즉 도시공간구조의 연구가 단기보다는 장기에 거쳐 일어나는 활동의 결과로서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에 의해 발생되는 각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고 보다 나은 도시를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이론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인 전원도시론을 이해하여 실제 도시계획에 접목함으로서 문제를 해결 할 수가 있다. 앞서 살펴본 이론과 사례를 통하여 전원도시론의 목적과 의의를 제대로 파악하여 도시계획 시에 이용할 수 있어야겠다.
<참고문헌>
1. 도시계획사: 공간구성의 원리와 기법, 김철수, 1997, 기문당
2. 도시구조론, 주종원ㆍ하재명ㆍ박찬규, 1998, 동명사
3. 도시계획의 이해, 김영모, 1999, 보성각
4. http://urban.cau.ac.kr/jryu/essay/전원도시.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