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개발> 낙동강보호를 위한 김해매리공단설립 저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개발> 낙동강보호를 위한 김해매리공단설립 저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역개발과 환경보전 방향
2. 김해매리공단 설립
3. 부산지역 환경문제
4. 개선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마실 수 없으며, 가끔은 씻을 때에도 물에서 약품 냄새가 나는 걸 느낄 때가 있다. 이는 환경오염의 정도와 그 심각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알려주는 사례이다.
오늘 아침 뉴스(7일자)에서 부산시와 환경시민단체가 연합하여 매리공단설립 반대를 강력하게 추진할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부산시가 시민단체와 함께 나선다면 부산시는 원고자격에 타당하기 때문에 원고부적격문제는 해결 될 것이다.
물론 무조건 매리공단을 설립을 반대하는 것은 어리석다. 지역개발이라는 토대에는 발전, 개발이라는 말이 함축되어 있기 때문에 적정한 입지에 공장을 설립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최소한 그 공장 설립단계에 있어서 부산시의 건강을 해치는 것인가 아닌가의 환경평가와 전문가의견을 들어보는 과정은 반드시 거쳐야 한다.
최근 부산인구가 계속 줄어든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이런 대도시에서 나타나는 역도시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부산과 가까운 김해, 양산과 같은 지역으로 유출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주로 부산지역의 일자리가 없어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부산의 환경오염 문제도 또 다른 요인 중 하나이다.
도시는 기본적으로 인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구를 유인하는 것이 지역개발의 핵심이다. 이에 부산은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어서 인구를 끌어들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환경보전에 유의하여 지역발전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참고 문헌- 『 지역개발과 환경 보전』,박영미 저. 학현사 1998, 25~26 쪽, 340~360쪽.
- 『 부산시 생활환경의 쾌적성에 평가에 대한 연구』, 양진우 저.
1998, 부산발전연구원.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2.22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