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실험 결과 및 토의
실험을 통해 얻어낸 여러형상에 따른 유동현상 사진
그림 10 물체에 따른 유체유동의 형태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은 수소기포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흐르는 유체의 유동현상이 여러 다른 형상을 지날때에 어떠한 형태를 갖게 되는가 하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있는 실험이었다. 매우 간단한 실험이지만 이 실험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수 있다. 기본적인 유체의 흐름과 성질을 파악하게 되고 더 나아가 양력의 활용을 이용하면 테니스 야구, 골프 등의 스포츠뿐 아니라 비행기가 뜨는 원리, 스포츠카의 날개등 여러부분에서 이용할수 있다.
실험을 하면서 여러 가지 형상의 물체를 놓아 본결과 원형의 경우는 둥근 소용돌이 보다는 길게 늘어나는 형태를 보이고 사각형이나 각이진 물체의 경우는 소용돌이를 일으켰다. 수소 기포발생양에 관련하는 전류의 양도 원래는 22mA정도로 해야하지만 기포의 발생양이 적어서 확인하는데 어려움을 격어 22mA보다는 더 많은 전류의 양을 보내야 했다. 유속의 빠르기에 따라서도 변화가 일어났는데 유체의 속력이 커지면 후면의 소용돌이도 커진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더 확실하게 유동의 형태를 확인하려면 외부의 빛의 유입을 방지해야 할 것 같았다. 만약 다시 실험 하게 된다면 암실 같은곳에서 하면 더 좋은 유체의 유동 사진을 얻어 낼수 있을 것 같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이론으로만 배웠던 유선의 형태, 박리점, 와열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수 있는 실험이지만 아쉽게도 실험을 할때에 수소기포 발생장치 안에 유체에 녹이 너무 많이 발생하여 정확한 유체의 흐름을 파악하는데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실험에 임할때에 가장 기초적인 것인 실험장치의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해서 새삼 느끼게 된 실험이었던 것 같다.
5. 참고문헌
[유체역학] 김영득, 김성도, 이재우, 조일영 공저 대영사 (2004) p80
[유체역학] 김재원, 임효재, 장영철, 주영철, 하대홍 공저 문운당 (2005) p52
[essential 유체역학] 노병준, 박종호 공저 동명사 (2006) p119
[공학도를 위한 기본 유체역학] 유상신, 유정열, 박재형, 장근식, 서상호, 이병권, 이계한, 신세현공저 사이텍미디어 (2004) p44
http://blog.daum.net/pee20/7064809
http://blog.naver.com/qskyq22?Redirect=Log&logNo=40038161421
실험을 통해 얻어낸 여러형상에 따른 유동현상 사진
그림 10 물체에 따른 유체유동의 형태
※결과 및 토의
이번 실험은 수소기포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흐르는 유체의 유동현상이 여러 다른 형상을 지날때에 어떠한 형태를 갖게 되는가 하는 것을 눈으로 직접 확인 할 수 있는 실험이었다. 매우 간단한 실험이지만 이 실험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수 있다. 기본적인 유체의 흐름과 성질을 파악하게 되고 더 나아가 양력의 활용을 이용하면 테니스 야구, 골프 등의 스포츠뿐 아니라 비행기가 뜨는 원리, 스포츠카의 날개등 여러부분에서 이용할수 있다.
실험을 하면서 여러 가지 형상의 물체를 놓아 본결과 원형의 경우는 둥근 소용돌이 보다는 길게 늘어나는 형태를 보이고 사각형이나 각이진 물체의 경우는 소용돌이를 일으켰다. 수소 기포발생양에 관련하는 전류의 양도 원래는 22mA정도로 해야하지만 기포의 발생양이 적어서 확인하는데 어려움을 격어 22mA보다는 더 많은 전류의 양을 보내야 했다. 유속의 빠르기에 따라서도 변화가 일어났는데 유체의 속력이 커지면 후면의 소용돌이도 커진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더 확실하게 유동의 형태를 확인하려면 외부의 빛의 유입을 방지해야 할 것 같았다. 만약 다시 실험 하게 된다면 암실 같은곳에서 하면 더 좋은 유체의 유동 사진을 얻어 낼수 있을 것 같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이론으로만 배웠던 유선의 형태, 박리점, 와열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수 있는 실험이지만 아쉽게도 실험을 할때에 수소기포 발생장치 안에 유체에 녹이 너무 많이 발생하여 정확한 유체의 흐름을 파악하는데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실험에 임할때에 가장 기초적인 것인 실험장치의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가에 대해서 새삼 느끼게 된 실험이었던 것 같다.
5. 참고문헌
[유체역학] 김영득, 김성도, 이재우, 조일영 공저 대영사 (2004) p80
[유체역학] 김재원, 임효재, 장영철, 주영철, 하대홍 공저 문운당 (2005) p52
[essential 유체역학] 노병준, 박종호 공저 동명사 (2006) p119
[공학도를 위한 기본 유체역학] 유상신, 유정열, 박재형, 장근식, 서상호, 이병권, 이계한, 신세현공저 사이텍미디어 (2004) p44
http://blog.daum.net/pee20/7064809
http://blog.naver.com/qskyq22?Redirect=Log&logNo=4003816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