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관한 보고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장애인의 정의와 유형
1) 장애인이란?
2) 장애인 현황
2. 공공 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1) 장애인 서비스의 필요성
2)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의 현황
-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
- 공공도서관 장애인 열람실 설치현황
3) 장애인 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법령
4) 도서관별 이용헌장 내용
3. 구체적 사례
1)대구시립 효목도서관
2) 대구 시립 중앙도서관
3) 장애인을 위한 국립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4.외국의 장애인 도서관 운영
5. 공공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1) 공공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의 문제점
2) 공공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의 개선방안

Ⅲ.결론

Ⅳ.참고문헌

Ⅴ.질의응답

본문내용

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수준이 상승되기 어려운 것이다. 장애인 이용자를 일반 이용자보다 수준이 낮은 이용자라고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고 도서관을 이용하려하는 장애인 이용자들의 숫자 또한 경감시키게 되는 현상을 가져오고 있다.
일반인 이용자의 숫자에 비해 장애인 이용자가 적은 숫자라고는 하나 사회의 소외계층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용자들에 대한 서비스가 더 확대 될 때 진정한 의미의 도서관의 모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도서관을 이용하는 모든 이용자가 불편함 없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 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다.
Ⅳ.참고문헌
* 장애인에 대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 한국문헌정보학회. 전재봉. 2002
* 정보소외계층(장애인)을 위한 인터넷 전자 도서관.한국디지틀 도서관 포럼, 홍경순. 2003
* 공공도서관 서비스 개발을 위한 IFLA/UNESCO 가이드라인, K. G. Saur 저, 장혜란 역,
한국도서관협회. 2002
* 장애인 문화복지 증진방안 연구, 정갑영 외,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6
*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점자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안라희.이범준 2002
* 시각장애자를 위한 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의 점자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지현.2002
* 공공도서관 시각장애인실 서비스에 관한 조사연구 .김영신 .2003
* 연세한국어사전
*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http://www.kosis.kr/domestic/research/do02_index.jsp?tab=09&listid1=I000)
* 하사가 장애인 http://www.gktkrk.net
*http://hsnwel.or.kr/gnuboard4/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750&page=
* 한국점자도서관 http://infor.kbll.or.kr/
* 에이블뉴스 http://www.ablenews.co.kr/
* 법제처 http://www.moleg.go.kr/
*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
* 한국점자도서관 http://infor.kbll.or.kr/
* 호산나 복지재단 http://www.hsnwel.or.kr/
* 장애인 도서관서비스 개발을 위한 정책 제안
http://cafe.naver.com/eduabl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89
*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장애인 편의시설 및 정보서비스 최근 동향 연구
http://cafe.naver.com/gau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22291
Ⅴ.질의응답
Q.비시각장애인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 해주셨으면 합니다.
A.장애인의 도서관 정보서비스 방법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는 여러 가지매체를 통해 제공된다. 비장애인이 받는 정보서비스는 책자자료, CD자료, 인터넷자료, 전자자료 등 그 매체가 다양하며 다양한 멀티미디어 형태의 정보서비스를 제공받는다. 하지만 장애인에 대한 정보서비스는 다른 형태이다.
도서관에서 장애를 가지고 있는 이용자에게 효과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안한다.(Kishore 1999).
① 목록을 이용할 수 없는 장애인에게 개가예약자료(open reservation)로 보관중인 자료 중 많이 이용되는 자료와 강의 테이프를 제공.
② 도서관 서가에 있는 자료 배달.
③ 부분적으로 시력 장애를 보이는 이용자를 위해서 도서관 자료를 크게 확대 복사.
④ 서가 내 위치한 자료의 특정 부분 정보서비스.
⑤ 장애인에 따라서 대여 기간을 연장하거나 대여 규정을 수정.
⑥ 전화 문의를 허용하고 참고정보서비스 제공.
⑦ 도서관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안내를 하며 정보 습득 방법 지도.
⑧ 오디오, 비디오 시설 제공CD-ROM, 디스크 등 컴퓨터로 지원되는 학습 도구들의 사용 지원.
⑨ 크고, 단순하면서도 분명한 내용으로 적절한 소장위치에 대한 표시를 해두어 이용의 편리 도모하고 각 장애 유형에 따라 특수화된 정보서비스를 제공.
ㆍ시각장애인 : 도서관정보서비스는 점자용 프린터, 테이프 복사기, 크주웰판독기(Kuzweil, 문자를 동시에 말로 출력) 등과 같은 기기를 준비해두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자료의 내용을 크게 확대할 수 있는 TV, 소리 인식 및 소리로 내용을 알려주는 컴퓨터 기기 등을 비치해둔다.
ㆍ언어 및 청각 장애인 : 전화로 응답을 원하는 장애인의 요구에 대해서 TTD 의사소통기(TTY-문자전화로 알려진 기기)를 보유한다. 사서는 수화에도 익숙해야한다.
ㆍ신체장애인 : 신체적 불편으로 도서관에서 휠체어 및 기타 도구를 사용하는 이용자를 위해서 이용하기 편리하도록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문을 열고 닫는 것 등 도서관 설비를 이용함에 있어 어려움이 없어야한다.
ㆍ정신지체장애인 : 정신적인 장애로 고통 받고 있는 사람도 도서관 정보서비스를 받아야 한다. 독서하는 데는 지장이 없으며, 도서관은 자료의 위치나 검색을 돕는다. 자료가 인쇄형태인지 전자적인 형태인지 등을 알려줄 수도 있고 목록 카드를 찾거나 컴퓨터에 입력하는 명령어 등에 대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병이 있는 장애인은 독서를 통해서 자기개발을 할 수 있으며 우울증을 극복하는데 도서관 자료가 도움이 된다. 도서관과 사서는 이들 장애인들의 어둠을 극복하고 희망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위에서 나타난 시각, 언어 및 청각, 신체, 정신지체 장애인들 중 시각을 제외하고는 모두다 눈으로 책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시각을 제외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일반 공공도서관에서 시설이 좀 더 그들에게 맞게 잘 갖춰지고 조금 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일반 공공도서관에서의 정보이용은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은 눈으로 책을 읽을 수 없기에 눈을 대신 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정보서비스를 받아야 하며, 공공도서관은 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7.12.24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