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신문의 가로짜기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가로짜기 도입이유

3. 우리나라 신문의 가로짜기 도입과정

4. 우리나라 신문의 가로짜기 현황

5. 문제점 및 해결책

6. 세로짜기와 영미 신문에서 배울 점

7. 결론

본문내용

독서의 방향축이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어가는 눈의 자연스러운 운동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러한 눈의 움직임은 독서중력과 중력역행의 원리에 의해서도 뒷받침된다.
독서중력이론에서 독자들은 독서중력 이외의 지역에는 눈을 덜 돌리게 된다. 그러나 눈은 그 대각선만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며 그 밖의 지역으로도 갈 수 있다. 따라서 지면 곳곳에 독자의 눈을 끌어들이기 위한 읽을거리를 배치해야 하며, 특히 가로짜기 신문이라면 오른쪽 상단과 왼쪽 하단 코너는 읽을거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 CTS (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컴퓨터식자시스템):
인쇄에서 문선(文選)ㆍ식자ㆍ교정ㆍ조판의 작업을 전자계산기에 의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구성한 것. 전산사진식자시스템이라고도 한다. 구미(歐美)에서는 독일의 디지셋(Digiset), 미국의 라이노트론(Linotron)ㆍ비디오콤프(Videocomp) 등이 출현함으로써 1960년대에 이미 실용화되었다. 컴퓨터 식자 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것은 신문ㆍ잡지 종류부터 각종 사전ㆍ명부 등 다종다양하다. 따라서 이에 대처하는 소프트웨어도 다종다양한 형식(format)을 제어할 수 있는 복잡한 기능을 요구하게 된다. 컴퓨터 식자 시스템은 인쇄공장에서 수많은 활자 재고와 핫메탈(hot metal)을 추방하였고, 편집상으로도 사전ㆍ명부 등의 인쇄물에서 종래의 입고(入稿) → 편집 → 문선의 공정에서, 입고 → 편집이 가능하게 되고,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쌍방향 편집을 함으로써 조판이 더 간편해지고 제작기간도 단축된다. 또한, 색인(索引)의 자동편집도 가능하게 되고, 개정할 경우에도 개정데이터만을 입력하면 된다.
- 레이아웃 (layout):
디자인ㆍ광고ㆍ편집에서 문자ㆍ그림ㆍ기호ㆍ사진 등의 각 구성요소를 제한된 공간 안에 효과적으로 배열하는 일, 또는 그 기술. 레이아웃의 구성요소를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것만으로는 미흡하고, 기본조건인 주목성ㆍ가독성ㆍ명쾌성ㆍ조형성ㆍ창조성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또한 새로운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종합적인 구성력과 조합능력도 요구된다. 조합에 있어서는 각 구성요소의 독자적인 역할과 동시에 전체로서의 통일된 질서 감각이 있는 레이아웃, 또 목적에 알맞은 것이 될 수 있도록 시각적인 효과를 고려하는 일이 중요하다.
- breaking news: 긴급발생 뉴스라는 뜻으로, 보도성 기사를 말한다.
- column line: 단과 단을 구분하는 세로 경계선. column rule이라고도 한다.
- feature: 객관적인 사실만 보도하는 straight news가 아닌 soft news를 말한다. 비 뉴스 면에 소개되는 개인 프로필이나 세태 묘사 등 읽을거리와 논평ㆍ의견ㆍ평가 등 일반 기 획기사도 이에 포함된다. hard news의 반대 개념.
- flush right/left: 기사나 제목의 오른쪽/왼쪽 끝 맞추기. 제목에서는 별로 안 쓰고 본문 속의 특별한 문장을 별도로 처리할 때 많이 쓰인다. ragged left/right의 다른 말.
- hard news: 일반적으로 말하는 뉴스 즉, 시간 개념이 중시되는 정보를 뜻한다.
- initial cap: 문단 처음에 나오는 글자를 대형으로 나타낸 문자.
- kicker: 상표 형 어깨 제목. 주(主)제목 위에 붙는 두세 마디의 작은 서체의 작은 제목. 보통 주 제목과 flush left로 나타나는데, 주제의 주어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 straight news: 기자의 감정이나 불필요한 수식 없이 사실(fact) 그 자체만을 언급하는 것을 말한다.
- typography: 좁은 의미로는 서체를 뜻하나 넓게는 지면 배치, 제목 형식 등 인쇄물의 사 용에 관한 기본 철학까지 포함된다. 활판 인쇄술이라는 개념도 있다.
■참고문헌■
김상현 (1997). 『신문종사자들의 가로짜기에 대한 의식 연구 : 편집부 종사자를 중심으 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훈 (1997). 『가로짜기 신문의 편집방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지용 (1990). 『가로짜기 신문의 레이아웃정립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나종경 (2002). 『가로짜기 신문 편집디자인과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안정배 (1981). 『한글 타이포그라피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10포인트 활자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유의순 (1998). 『가로짜기 신문 편집스타일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이배영, 임준수, 맹태균, 한경석, 강상대 (2001). 『멋진 편집 좋은 신문 : 가로짜기 시대의 정보요리 가이드』. 서울 : 한울.
임용규 (2000). 『뉴미디어시대의 신문 편집디자인의 방향: 가로쓰기와 레이아웃을 중심으 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임준수 (1998). 『신문을 아름답게 : 비주얼 시대의 가로짜기 디자인』. 서울 : 중앙M&B
정재우 (1997). 『영상매체에 구현되는 한글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 PC모니터에서 표현된 한글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윤호, 한국편집기자협회 (2002). 매체환경 변화에 따른 올바른 편집방향,
Available: http://edit.or.kr/html/index.html?view=Notice_View&C=2&id=6&start=0
한국 언론연구원 (1989). 『신문 가로짜기』. 서울 : 한국언론연구원.
하동원, 한국편집기자협회 (2002). 일관성 중시한 세계일보 가로쓰기,
Available: http://edit.or.kr/html/index.html?view=Notice_View&C=2&id=11&start=0
홍남규, 영남대 한글물결 (1998). 신문의 가로쓰기,
Available: http://chunma.yu.ac.kr/%7Ehangeul/html/study/newspaper.html
Edmund C. Arnold (1981). Designing the Total Newspaper. New York, NY: Harper & Row.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12.25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