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Jean piaget의 생애
2. 인간관
3. 기본과정
4. 주요개념
1) 인지의 개념과 영역
2) 인지과정
3) 인지구조
5. 인지발달단계
1) 감각운동기
2) 전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6. 인지이론의 한계점
7.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1)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2) 치료 목표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 원칙
4) 치료적 기법
1. Jean piaget의 생애
2. 인간관
3. 기본과정
4. 주요개념
1) 인지의 개념과 영역
2) 인지과정
3) 인지구조
5. 인지발달단계
1) 감각운동기
2) 전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6. 인지이론의 한계점
7.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1)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2) 치료 목표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 원칙
4) 치료적 기법
본문내용
료(REBT)에서 달성해야 할 치료목표(13가지)
=>자기관심, 사회적 관심,자기지향,관용,융통성,불확실성의 수용, 창조적 추구, 과학적 사고,
자기수용,. 모험시도 ,장기적 쾌락, 반이상주의, 정서장애 대한 자기책임의 수용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 원칙
Ellis의 합리적 정서적 행동적 치료(REBT)-지시적 치료
치료자-권위적 인물, 다정한 교사 역할
-내담자는 금족적으로 실수할 수 있는 존재이며 전적으로 선하거나 악하기 만한 존재가 아닌 인간일 뿐.<무조건적 수용하는 자세>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지나치게 온화한 태도 절제-∴내담자의 애정적 지지욕구 승인
->오히려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 강화, 욕구 좌절된 것에 대한 인내심 약화 우려
<치료자의 구체적 기능과 역할>
-내담자에게 치료방법 강의, 설명하여 치료과정으로 이끈다.
-내담자의 문제점(비합리적 신념체계)에 대한 진단과 평가 실시
-비합리적 신념체계 구체적 내용 밝혀내어, 내담자가 지적, 정서적 통찰 얻도록 논박
-치료자가 따라야할 인지이론의 실무원칙(P.360 표-14-3)
4) 치료적 기법
합리적 정서적 행동적 치료- 내담자의 사고,감정,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법사용
-인지적 기법: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체계, 당위적 요구적 신념체계 인식->합리적 사고방식으로
-정서적 기법 : 내담자가 자신을 정직하게 표현, 정서적 모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자신개방 유도
-행동적 기법 : 내담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게 하여 그의 비합리적 신념체계를 변화시키고, 이 변화된 신념체계를 통해 정서적 장애에서 벗어나게 하며, 역기능적 증상에서 벗어나 보다 생산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기법
But. 다음과 같은 기법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주장.
① 지나치게 온화한 태도를 보임으로써 내담자의 의존성을 조장하는 기법
② 과도한 낙관적 사고와 같이 내담자를 현혹시키는 기법
③ 자유연상과 같은 장황하고 비능률적인 기법
④ 극적이고 정화적이지만 기저의 비합리적 사고를 표출시키지 못하는 기법
⑤ 이완 기법 등과 같이 비합리적 사고에 집중하지 못하고 다른 곳에 내담자 주의 집중시키는 기법
⑥ 체계적 둔감화와 같이 내담자의 욕구좌절 인내도를 오히려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는 기법
⑦ 신비주의와 같은 비과학적 사고를 포함하고 있는 기법
⑧ 비합리적인 사고의 변화과정을 보여 주지 않거나 사고 변화 이전에 선행사건 변화시키는 기법
⑨ 효과가 확증되지 않은 기법
=>자기관심, 사회적 관심,자기지향,관용,융통성,불확실성의 수용, 창조적 추구, 과학적 사고,
자기수용,. 모험시도 ,장기적 쾌락, 반이상주의, 정서장애 대한 자기책임의 수용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 원칙
Ellis의 합리적 정서적 행동적 치료(REBT)-지시적 치료
치료자-권위적 인물, 다정한 교사 역할
-내담자는 금족적으로 실수할 수 있는 존재이며 전적으로 선하거나 악하기 만한 존재가 아닌 인간일 뿐.<무조건적 수용하는 자세>
-치료자가 내담자에게 지나치게 온화한 태도 절제-∴내담자의 애정적 지지욕구 승인
->오히려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 강화, 욕구 좌절된 것에 대한 인내심 약화 우려
<치료자의 구체적 기능과 역할>
-내담자에게 치료방법 강의, 설명하여 치료과정으로 이끈다.
-내담자의 문제점(비합리적 신념체계)에 대한 진단과 평가 실시
-비합리적 신념체계 구체적 내용 밝혀내어, 내담자가 지적, 정서적 통찰 얻도록 논박
-치료자가 따라야할 인지이론의 실무원칙(P.360 표-14-3)
4) 치료적 기법
합리적 정서적 행동적 치료- 내담자의 사고,감정,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법사용
-인지적 기법: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체계, 당위적 요구적 신념체계 인식->합리적 사고방식으로
-정서적 기법 : 내담자가 자신을 정직하게 표현, 정서적 모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자신개방 유도
-행동적 기법 : 내담자에게 어떤 행동을 하게 하여 그의 비합리적 신념체계를 변화시키고, 이 변화된 신념체계를 통해 정서적 장애에서 벗어나게 하며, 역기능적 증상에서 벗어나 보다 생산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기법
But. 다음과 같은 기법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주장.
① 지나치게 온화한 태도를 보임으로써 내담자의 의존성을 조장하는 기법
② 과도한 낙관적 사고와 같이 내담자를 현혹시키는 기법
③ 자유연상과 같은 장황하고 비능률적인 기법
④ 극적이고 정화적이지만 기저의 비합리적 사고를 표출시키지 못하는 기법
⑤ 이완 기법 등과 같이 비합리적 사고에 집중하지 못하고 다른 곳에 내담자 주의 집중시키는 기법
⑥ 체계적 둔감화와 같이 내담자의 욕구좌절 인내도를 오히려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는 기법
⑦ 신비주의와 같은 비과학적 사고를 포함하고 있는 기법
⑧ 비합리적인 사고의 변화과정을 보여 주지 않거나 사고 변화 이전에 선행사건 변화시키는 기법
⑨ 효과가 확증되지 않은 기법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발달A)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한 비교(A+완성)
아동발달A+완성)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의 비교논의
아동발달)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의 비교 분석(공통점,차이점,한계점,시사점 분석)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유아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전조작기 유아의 사고특성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고...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
[인간과교육3공통]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한 설명과 교육적 시사점에 대한 ...
(인간과교육)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피아제의 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