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당뇨
1)정의
2)원인
3)임상적 특성
4)병태생리
5)치료와 간호중재
2.뇌하수체 장애
1).시상하부
2)뇌하수체
3)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4)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3.갑상선 장애
1) 갑상샘 기능 항진증 - T3,T4증가 특징
2) 갑상샘 기능저하증
4.부갑상샘 기능장애
1)부갑상샘 기능항진증
2)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5.성조숙증
6.K.linefelter 증후군
7.Tuner 증후군
8.다운 증후군
1)정의
2)원인
3)임상적 특성
4)병태생리
5)치료와 간호중재
2.뇌하수체 장애
1).시상하부
2)뇌하수체
3)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4) 뇌하수체 기능저하증
3.갑상선 장애
1) 갑상샘 기능 항진증 - T3,T4증가 특징
2) 갑상샘 기능저하증
4.부갑상샘 기능장애
1)부갑상샘 기능항진증
2)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5.성조숙증
6.K.linefelter 증후군
7.Tuner 증후군
8.다운 증후군
본문내용
,혼수 등
*간호-신석의 가능성: 하루 3000-4000ml 수분 섭취. 저칼슘 식이. 고산성 식이(토마토,옥 수수,포도,생선,계란,아스파라거스)
-변비 가능성: 섬유질 식이
-골절 가능성: 안전 배려
-우울 가능성: 휴식과 안정을 줄 수 있는 환경 조성
-고혈압 가능성: 규칙적으로 활력증상 측정.심부전 증상 관찰
2.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 증상-저칼슘혈증.(신경근육계,심맥관계,피부,위장계의 기능 손상)
-급성시 증상은 근육경련, 불안증가, 호흡곤란, 수명, 복시, 배뇨곤란, 복부경련, 오심, 구토, 설사, 변비 등
-만성시 증상은 무기력하고 성격변화, 불안, 정신적인 변화, 시야 흐릿
* 간호-피부가 건조하면 로숀과 윤활제 사용, 식이는 우유 증가, 섬유소와 수분섭취 권장. 발작을 예상하고 침대난간을 올리고 베게는 주지 않는 등 발작에 대비하고 관찰, 호흡 기 폐색의 증상과 증후 관찰, 혈청 칼슘과 인의 수준 점검 등
부신기능 장애
기능항진증 기능저하증
갈색세포종
쿠싱증후군 피 질
원발성알도스테론증 수질 에디슨씨병
1) 구조: 좌우 한쌍. 후복막강내의 신장 상단을 모자처럼 싸고 있다. 피질과 수질로 구성
2) 기능
① 부신피질-당류피질호르몬(cortisol), 염류피질호르몬(aldosterone), 성호르몬 분비
(androgen,estrogen,progesterone)
구 분
작 용
당류피질호르몬
탄,단,지 대사에 작용.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반응. 정신적인 안녕감에 중요
(코디졸)
혈압유지. 수분과 전해질 균형 근육의 정상기능. 조혈기능. 면역효과 등
염류피질호르몬
소듐의 재흡수와 칼륨의 배설 증가
(알도스테론)
전해질 균형과 혈량 조절
Renin-Angiotensin체제는 알도스테론의 중요한 조절인자
②부신수질-epinephrine,norepinephrine: 정서적.생리적 스트레스에 영향받음
구 분
작 용
에피네프린
체내대사 증가. 혈당증가. 인슐린분비 억제, 심장근육과 골격근의 혈관 이완. 피부 창백
노르에피네프린
혈관수축. 혈압상승. 동공확대. 심근수축. 박동수 증가
3)쿠싱증후군-cortisol의 과도한 분비로 발생
① 원발성:일측성 부신 신생물이 당류피질호르몬을 과도하게 분비시킴으로써 발생.부신성 쿠싱 증후군이라 함
속발성:뇌하수체 의존성 쿠싱증후군으로 쿠싱질환이라 함. 가장 일반적
ACTH의 과잉분비가 원인
삼차성:위장관,폐,여러기관의 암으로 발생
② 증상- 탄,단,지 대사 장애, 염증과 면역 반응 장애, 수분과 전해질 대사 장애(소듐정체, 저칼륨혈증), 정서적 불안정, 적혈구와 혈소판 장애
- 전형적인 쿠싱모양: 가는 모발,얼굴홍조,둥근얼굴,체모증가,여드럼,경부비만,가느 다란 사지,쉽게 멍듬,자색의 선 등
③ 간호-고단백,고칼륨,저칼로리,저소듐 식이
-활력증상 측정, 혈압 상승시 즉시 보고
-매일 체중 측정
-정서적지지
-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예방
-골다공증이 올 수 있으므로 외상이나 상처 받기 않게 보호
-당뇨병 유무 사정(소변 검사)
**쿠싱질환: ACTH 과잉분비, 코디졸의 과잉생산, 양측부신의 증식 나타남
4) 에디슨씨 병 - cortisol,aldosterone 저하(부신피질부전)
① 증상: 정신적.정서적 변화-우울,불안,기면,집중력 상실,무감동
저혈당,근육강도 변화,위장관 장애, 수분과 전해질 장애(저나트륨혈증,고칼륨혈증
->근육경련
심부정맥)
성적특성변화(월경변화,액와 모발상실,발기불능)
** 부신위기: 신체적, 정서적 긴장을 경험하거나 부적절한 약물치료로 인해 심한 저혈압, 혼수, 오심,구토, 복부경련, 설사, 청색증 증상 옴(에디슨씨 질병 악화시킴)
②간호-활력증상 잘 측정
-체중 측정
-고단백,고칼로리 식이
-전신쇠약과 권태감 사정.여러차레 휴식함
-정신상태와 신체활동 정도 사정
-감염의 증상,징후 관찰
5) 알도스테론증-부신피질에서 알도스테론 과잉분비. 부신피질 종양
-고혈압, 소변을 통한 칼륨 상실, 소듐 정체 특징
6) 갈색세포종-부신수질 종양. catecholamine을 분비. 크롬친화성 세포로 구성
-epinephrine,norepinephrine 생산
① 증상: 고혈압, 불안, 발한, 오심, 구토, 심계항진, 두통 등
② 간호: 혈압 주의깊게 측정.침상휴식.하지에 혈액 고이는 것 예방위해 탄력 스타킹 신음
<성조숙증>
* 제2차 성 특징이 8,10세 이전에 나타난다.
1) 병태생리: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음. 여아의 경우 난소종양에 의한 에스트로젠분비로 나타날 수 있음. 남아는 대뇌의 병변,부신생식기 증후군,Androgen의 과다분비 로 나타남
2) 사정:여-가슴 발달,치모 생김,월경시작
남-고환 커짐,치모 생김,여드름,발기 시작
신체적 성장은 정상아동보다 작다
3) 간호:신체적 모양의 변화와 정서의 변화에 대해 도움이 필요. 임신에 대한 성교육 실시
* 성염색체인 X 염색체가 하나 더 많음(47, XXY)
-고환이 위축되어 작아져 있고, 무정자증 등으로 인해 생식능력이 결여됨.
-여성형 유방 발달
-긴 팔과 다리를 갖고 있으며 손과 발이 크고 가슴 부위가 발달.
- 어머니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위험도 증가
- 치료: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결핍되어 치료에 이 호르몬을 이용
*정상 여아들의 핵형은 44XX로 표시. 성염색체 부전으로 난소발육 부전 있음
터너 증후군을 가진 여아들의 핵형은 45XO이거나 45X 및46XX
1)증상-몸집이 작고 손가락 짧음. 키도 짤막. 팔꿈치의 외반주 증상(뒤로 젖혀짐).어깨와 목이 익상경
-지능지수 정상 또는 이하. 2차성징이 또래보다 늦음. 월경하지 않음
2)치료-에스트로젠 투여(월경 하도록 함->후에는 에스트로젠,프로제스테론 투여)
-선천성 신장,심장기형 다른 기형이 생기나 관찰
-성장호르몬 투여
-정신적 지지
<다운 증후군>
*21번째 염색체에 이상. 47개의 염색체 가짐. 지능적인 면의 발달이 지체됨. 약 90%는 어 머니쪽 원인
*특징-머리는 작고, 코가 작으며 짧음. 눈과 눈 사이가 조금 떨어져 있음. 혀가 커 입을 벌 리기 쉬우며 혀를 자주 내밈. 귀는 대체로 작고 귓바퀴가 접힘
*간호-신석의 가능성: 하루 3000-4000ml 수분 섭취. 저칼슘 식이. 고산성 식이(토마토,옥 수수,포도,생선,계란,아스파라거스)
-변비 가능성: 섬유질 식이
-골절 가능성: 안전 배려
-우울 가능성: 휴식과 안정을 줄 수 있는 환경 조성
-고혈압 가능성: 규칙적으로 활력증상 측정.심부전 증상 관찰
2.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 증상-저칼슘혈증.(신경근육계,심맥관계,피부,위장계의 기능 손상)
-급성시 증상은 근육경련, 불안증가, 호흡곤란, 수명, 복시, 배뇨곤란, 복부경련, 오심, 구토, 설사, 변비 등
-만성시 증상은 무기력하고 성격변화, 불안, 정신적인 변화, 시야 흐릿
* 간호-피부가 건조하면 로숀과 윤활제 사용, 식이는 우유 증가, 섬유소와 수분섭취 권장. 발작을 예상하고 침대난간을 올리고 베게는 주지 않는 등 발작에 대비하고 관찰, 호흡 기 폐색의 증상과 증후 관찰, 혈청 칼슘과 인의 수준 점검 등
부신기능 장애
기능항진증 기능저하증
갈색세포종
쿠싱증후군 피 질
원발성알도스테론증 수질 에디슨씨병
1) 구조: 좌우 한쌍. 후복막강내의 신장 상단을 모자처럼 싸고 있다. 피질과 수질로 구성
2) 기능
① 부신피질-당류피질호르몬(cortisol), 염류피질호르몬(aldosterone), 성호르몬 분비
(androgen,estrogen,progesterone)
구 분
작 용
당류피질호르몬
탄,단,지 대사에 작용.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반응. 정신적인 안녕감에 중요
(코디졸)
혈압유지. 수분과 전해질 균형 근육의 정상기능. 조혈기능. 면역효과 등
염류피질호르몬
소듐의 재흡수와 칼륨의 배설 증가
(알도스테론)
전해질 균형과 혈량 조절
Renin-Angiotensin체제는 알도스테론의 중요한 조절인자
②부신수질-epinephrine,norepinephrine: 정서적.생리적 스트레스에 영향받음
구 분
작 용
에피네프린
체내대사 증가. 혈당증가. 인슐린분비 억제, 심장근육과 골격근의 혈관 이완. 피부 창백
노르에피네프린
혈관수축. 혈압상승. 동공확대. 심근수축. 박동수 증가
3)쿠싱증후군-cortisol의 과도한 분비로 발생
① 원발성:일측성 부신 신생물이 당류피질호르몬을 과도하게 분비시킴으로써 발생.부신성 쿠싱 증후군이라 함
속발성:뇌하수체 의존성 쿠싱증후군으로 쿠싱질환이라 함. 가장 일반적
ACTH의 과잉분비가 원인
삼차성:위장관,폐,여러기관의 암으로 발생
② 증상- 탄,단,지 대사 장애, 염증과 면역 반응 장애, 수분과 전해질 대사 장애(소듐정체, 저칼륨혈증), 정서적 불안정, 적혈구와 혈소판 장애
- 전형적인 쿠싱모양: 가는 모발,얼굴홍조,둥근얼굴,체모증가,여드럼,경부비만,가느 다란 사지,쉽게 멍듬,자색의 선 등
③ 간호-고단백,고칼륨,저칼로리,저소듐 식이
-활력증상 측정, 혈압 상승시 즉시 보고
-매일 체중 측정
-정서적지지
-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예방
-골다공증이 올 수 있으므로 외상이나 상처 받기 않게 보호
-당뇨병 유무 사정(소변 검사)
**쿠싱질환: ACTH 과잉분비, 코디졸의 과잉생산, 양측부신의 증식 나타남
4) 에디슨씨 병 - cortisol,aldosterone 저하(부신피질부전)
① 증상: 정신적.정서적 변화-우울,불안,기면,집중력 상실,무감동
저혈당,근육강도 변화,위장관 장애, 수분과 전해질 장애(저나트륨혈증,고칼륨혈증
->근육경련
심부정맥)
성적특성변화(월경변화,액와 모발상실,발기불능)
** 부신위기: 신체적, 정서적 긴장을 경험하거나 부적절한 약물치료로 인해 심한 저혈압, 혼수, 오심,구토, 복부경련, 설사, 청색증 증상 옴(에디슨씨 질병 악화시킴)
②간호-활력증상 잘 측정
-체중 측정
-고단백,고칼로리 식이
-전신쇠약과 권태감 사정.여러차레 휴식함
-정신상태와 신체활동 정도 사정
-감염의 증상,징후 관찰
5) 알도스테론증-부신피질에서 알도스테론 과잉분비. 부신피질 종양
-고혈압, 소변을 통한 칼륨 상실, 소듐 정체 특징
6) 갈색세포종-부신수질 종양. catecholamine을 분비. 크롬친화성 세포로 구성
-epinephrine,norepinephrine 생산
① 증상: 고혈압, 불안, 발한, 오심, 구토, 심계항진, 두통 등
② 간호: 혈압 주의깊게 측정.침상휴식.하지에 혈액 고이는 것 예방위해 탄력 스타킹 신음
<성조숙증>
* 제2차 성 특징이 8,10세 이전에 나타난다.
1) 병태생리: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음. 여아의 경우 난소종양에 의한 에스트로젠분비로 나타날 수 있음. 남아는 대뇌의 병변,부신생식기 증후군,Androgen의 과다분비 로 나타남
2) 사정:여-가슴 발달,치모 생김,월경시작
남-고환 커짐,치모 생김,여드름,발기 시작
신체적 성장은 정상아동보다 작다
3) 간호:신체적 모양의 변화와 정서의 변화에 대해 도움이 필요. 임신에 대한 성교육 실시
* 성염색체인 X 염색체가 하나 더 많음(47, XXY)
-고환이 위축되어 작아져 있고, 무정자증 등으로 인해 생식능력이 결여됨.
-여성형 유방 발달
-긴 팔과 다리를 갖고 있으며 손과 발이 크고 가슴 부위가 발달.
- 어머니의 나이가 많아질수록 위험도 증가
- 치료: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결핍되어 치료에 이 호르몬을 이용
*정상 여아들의 핵형은 44XX로 표시. 성염색체 부전으로 난소발육 부전 있음
터너 증후군을 가진 여아들의 핵형은 45XO이거나 45X 및46XX
1)증상-몸집이 작고 손가락 짧음. 키도 짤막. 팔꿈치의 외반주 증상(뒤로 젖혀짐).어깨와 목이 익상경
-지능지수 정상 또는 이하. 2차성징이 또래보다 늦음. 월경하지 않음
2)치료-에스트로젠 투여(월경 하도록 함->후에는 에스트로젠,프로제스테론 투여)
-선천성 신장,심장기형 다른 기형이 생기나 관찰
-성장호르몬 투여
-정신적 지지
<다운 증후군>
*21번째 염색체에 이상. 47개의 염색체 가짐. 지능적인 면의 발달이 지체됨. 약 90%는 어 머니쪽 원인
*특징-머리는 작고, 코가 작으며 짧음. 눈과 눈 사이가 조금 떨어져 있음. 혀가 커 입을 벌 리기 쉬우며 혀를 자주 내밈. 귀는 대체로 작고 귓바퀴가 접힘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 아동 심장 질환에 관해서[선천성 심질환, 후천성 심질환]
[아동간호학Ⅰ] NICU의 간호중재 원칙과 방법 {고위험 신생아 분류에 따른 간호중재 원칙과 방...
[노인간호] 심혈관계의 노화 (정상적 노화과정, 심혈관계질환, 치료단계, 심혈관질환에 대한 ...
(2016 간호이론B형) 오렘 8개 보편적 자기간호필수요소 적용/ 오렘 자가간호이론 간략히 정리...
고 빌리루빈혈증과 간호(용혈성 질환) 1) 신생아 용혈성 질환의 정의 2) 혈액부적합증 3) 임...
갑상샘 질환의 치료와 간호(갑상샘 질환의 치료와 간호 1) 갑상샘기능항진증 hyperthyroid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