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영웅소설 방한림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영웅소설 방한림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방한림전>의 기본 모형

2. 주제찾기
1) 방한림전 줄거리
2) 인물의 갈등

3. 여성영웅소설 '방한림전'
1) 가정소설
2) 영웅소설
3) 여성영웅소설

4. 시대배경과 작가의식
1) 시대 배경
2) 작가의식

5. 더 생각해 볼 것

본문내용

나 바다에 투신한다. 이들의 삶은 조선 시대 여성의 삶이 얼마나 힘들었는가를 보여주며, 또한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자의식을 표출한 여성이 있었음을 말해준다.
조태억의 모친 남원 윤씨처럼 일가친척을 둘러싼 가문중심의 소설문화로 발전하고 있었고, 19세기 이후 상업적인 세책가의 번성이나 여성 전문작가의 당장으로 이 시기 여성들이 소설을 많이 읽었음을 알 수 있다.
2) 작가의식
방한림전이 다른 여성영웅소설과 차별화되는 것은 바로 \'동성혼\'이다. 작가는 \'동성혼\'을 여타 여성영웅소설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여성영웅소설은 여성의 생리적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한 남성의 여러 부인들 중 하나로 귀속될 수밖에 없으나 「방함림전」은 이러한 한계를 동성혼으로 극복하고 있다. 즉, 여성영웅소설이 인습에 대한 반발의식을 보여 주었다면 방한림전은 한 단계 나아가 동성혼으로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물론 결혼을 할 수 밖에 없는 당대 인습에 얽매어 있으며 동성혼이 진정한 해결책일 수는 없지만, 이성혼 만이 허용되던 시기에 동성혼은 그 자체만으로 반항일 수 있으며 해결책을제시하고자 한 작가의식은 뛰어나다.
그러나 \'동성혼\'을 단순히 동성 간의 혼인으로 볼 것이 아니라, 주체적인 삶을 사는 여성의 모습으로 이해 할 수도 있다. 주체적 인간인 여성은 반드시 가정을 이루어 한 남성에 얽매어 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위한 삶을 산다. 이것이 남녀차별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으로 본다면 \'방한림전\'은 다분히 근현대적인 여성의 자의식과 여성차별을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5. 더 생각해 볼 것
수많은 여성 독자들은 방한림전을 읽으면서 무엇을 느꼈을까?
양산백과 축영대 등 여화남장 소설에 빠짐없이 등장하며, 여성독자가 가장 부러움을 느끼는 장면을 꼽으라면 \'원유(遠遊)\'가 아닐까 생각한다. 이는 독자들의 심리적 만족감(카타르시스)과 동시에 실현될 수 없는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낸다.
방관주 슬하에 자녀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긴 서평후가 방관주에게 첩을 들일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방관주는 이를 거절한다. 물론 자신이 여성이기 때문에 아이가 당연히 생길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렇듯 첩들이기를 거절하는 모습에서 여성 독자들은 무엇을 느꼈겠는가. 방관주의 결단이 옳다는 것을 말하고 싶으나 투기를 칠거지악으로 여겨 불만도 하지 못하는 당대 인습에 대한 비판을 드러내는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04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