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호스피스의 정의
2. 호스피스의 유래
3. 호스피스의 역사적 발달
4.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역사적 발달
5. 호스피스의 철학
6. 호스피스의 기본원리
7. 외국의 호스피스 제도
(1) 호주의 호스피스
(2) 미국의 호스피스
(3) 일본의 호스피스
(4) 영국의 호스피스
(5) 대만
8. 호스피스의 유형
(1) 병원내의 호스피스
(2) 독립형 호스피스
(3) 가정 호스피스
9. 호스피스 대상자의 선정기준
10. 호스피스 환자의 정서적 특성
(1) 죽음에 대한 반응
① 부정
② 분노
③ 타협
④ 우울
⑤ 수용
(2) 사회심리적 요구
호스피스 간호
10.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기본적인 신체적 간호
(1) 통증이 있을 때
(2) 전신적 허약, 식욕부진이 있을 때
(3) 갈증을 호소하거나 입이 마를 때
(4) 기타 증상이 있을 때
참고자료
2. 호스피스의 유래
3. 호스피스의 역사적 발달
4.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역사적 발달
5. 호스피스의 철학
6. 호스피스의 기본원리
7. 외국의 호스피스 제도
(1) 호주의 호스피스
(2) 미국의 호스피스
(3) 일본의 호스피스
(4) 영국의 호스피스
(5) 대만
8. 호스피스의 유형
(1) 병원내의 호스피스
(2) 독립형 호스피스
(3) 가정 호스피스
9. 호스피스 대상자의 선정기준
10. 호스피스 환자의 정서적 특성
(1) 죽음에 대한 반응
① 부정
② 분노
③ 타협
④ 우울
⑤ 수용
(2) 사회심리적 요구
호스피스 간호
10.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기본적인 신체적 간호
(1) 통증이 있을 때
(2) 전신적 허약, 식욕부진이 있을 때
(3) 갈증을 호소하거나 입이 마를 때
(4) 기타 증상이 있을 때
참고자료
본문내용
적 의사소통이 어려울 때에는 눈이나 손을 사용하며 환자를 바라보고 손을 잡아줍니다.
(3) 감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 환자의 얼굴표정, 전체의 모양, 목소리 등에 주의하여 환자가 어떤 기분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환자의 말 이면의 감정을 알아차리도록 합니다.
(4)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 환자의 질문에 답을 회피하려는 태도나 평가적, 해석적, 조사적 태도는 호스피스 환자와의 관계에 단절을 가져오게 됩니다. 환자의 마음이나 기분,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자세가 요구되어집니다.
10.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기본적인 신체적 간호
(1) 통증이 있을 때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되, 암자체로 인한 경우에는 심해진 통증을 완화 시키기 보다는 통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돌보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의료팀과 의논하여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 투여, 신경차단방법, 전기적자극, 최면, 심리적 안정(기도와 말씀), 침술, 부항, 물리치료, 전신마찰, 규칙적인 진통제 또는 안정제 투여, 자연식이요법 등으로 도움을 줍니다. 암 자체로 인한 통증이 아닌 경우에는(충치, 변비, 치질 등)후원병원이나 의사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2) 전신적 허약, 식욕부진이 있을 때
균형있는 영양공급(음식물 섭취가 어려운 환자인 경우 현미죽을 공급합니다.) 적절한 운동 및 정신적인 안정, 약물투여로 도움을 줍니다.
(3) 갈증을 호소하거나 입이 마를 때
진통제 투여, 탈수, 구강 호흡 등이 원인이 되어 갈증을 느끼며 입이 마르게 됩니다. 소량의 물을 자주 주거나
얼음 조각을 입에 조금씩 넣어주어 빨아 먹게 합니다. 구강위생에 대하여 각별히 신경을 씁니다.
(4) 기타 증상이 있을 때
의료 팀과 의논하여 여러 증상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울 때(물과 영양물질을 소량씩 자주 투여), 오심과 구토, 변비(관장, 운동, 약물투여), 설사, 복수, 기침, 호흡곤란(산소공급, 약물투여),
참고자료
한국케어복지협회 편. 『케어기술론』, 나눔의집, 2003.
C.C.C. 사랑의 호스피스, http://www.lovehospice.or.kr
목차
1.호스피스의 정의
2. 호스피스의 유래
3. 호스피스의 역사적 발달
4.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역사적 발달
5. 호스피스의 철학
6. 호스피스의 기본원리
7. 외국의 호스피스 제도
(1) 호주의 호스피스
(2) 미국의 호스피스
(3) 일본의 호스피스
(4) 영국의 호스피스
(5) 대만
8. 호스피스의 유형
(1) 병원내의 호스피스
(2) 독립형 호스피스
(3) 가정 호스피스
9. 호스피스 대상자의 선정기준
10. 호스피스 환자의 정서적 특성
(1) 죽음에 대한 반응
① 부정
② 분노
③ 타협
④ 우울
⑤ 수용
(2) 사회심리적 요구
호스피스 간호
10.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기본적인 신체적 간호
(1) 통증이 있을 때
(2) 전신적 허약, 식욕부진이 있을 때
(3) 갈증을 호소하거나 입이 마를 때
(4) 기타 증상이 있을 때
참고자료
(3) 감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 환자의 얼굴표정, 전체의 모양, 목소리 등에 주의하여 환자가 어떤 기분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환자의 말 이면의 감정을 알아차리도록 합니다.
(4)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 환자의 질문에 답을 회피하려는 태도나 평가적, 해석적, 조사적 태도는 호스피스 환자와의 관계에 단절을 가져오게 됩니다. 환자의 마음이나 기분,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자세가 요구되어집니다.
10.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기본적인 신체적 간호
(1) 통증이 있을 때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되, 암자체로 인한 경우에는 심해진 통증을 완화 시키기 보다는 통증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돌보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의료팀과 의논하여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제 투여, 신경차단방법, 전기적자극, 최면, 심리적 안정(기도와 말씀), 침술, 부항, 물리치료, 전신마찰, 규칙적인 진통제 또는 안정제 투여, 자연식이요법 등으로 도움을 줍니다. 암 자체로 인한 통증이 아닌 경우에는(충치, 변비, 치질 등)후원병원이나 의사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2) 전신적 허약, 식욕부진이 있을 때
균형있는 영양공급(음식물 섭취가 어려운 환자인 경우 현미죽을 공급합니다.) 적절한 운동 및 정신적인 안정, 약물투여로 도움을 줍니다.
(3) 갈증을 호소하거나 입이 마를 때
진통제 투여, 탈수, 구강 호흡 등이 원인이 되어 갈증을 느끼며 입이 마르게 됩니다. 소량의 물을 자주 주거나
얼음 조각을 입에 조금씩 넣어주어 빨아 먹게 합니다. 구강위생에 대하여 각별히 신경을 씁니다.
(4) 기타 증상이 있을 때
의료 팀과 의논하여 여러 증상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울 때(물과 영양물질을 소량씩 자주 투여), 오심과 구토, 변비(관장, 운동, 약물투여), 설사, 복수, 기침, 호흡곤란(산소공급, 약물투여),
참고자료
한국케어복지협회 편. 『케어기술론』, 나눔의집, 2003.
C.C.C. 사랑의 호스피스, http://www.lovehospice.or.kr
목차
1.호스피스의 정의
2. 호스피스의 유래
3. 호스피스의 역사적 발달
4. 우리나라 호스피스의 역사적 발달
5. 호스피스의 철학
6. 호스피스의 기본원리
7. 외국의 호스피스 제도
(1) 호주의 호스피스
(2) 미국의 호스피스
(3) 일본의 호스피스
(4) 영국의 호스피스
(5) 대만
8. 호스피스의 유형
(1) 병원내의 호스피스
(2) 독립형 호스피스
(3) 가정 호스피스
9. 호스피스 대상자의 선정기준
10. 호스피스 환자의 정서적 특성
(1) 죽음에 대한 반응
① 부정
② 분노
③ 타협
④ 우울
⑤ 수용
(2) 사회심리적 요구
호스피스 간호
10. 호스피스 대상자를 위한 기본적인 신체적 간호
(1) 통증이 있을 때
(2) 전신적 허약, 식욕부진이 있을 때
(3) 갈증을 호소하거나 입이 마를 때
(4) 기타 증상이 있을 때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