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적글쓰기-대학생의 의미와 정체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로서 소수의 지식층이라는 자부심을 갖게 했고 이것이 사회참여로 이어졌던 것이다. 현재에는 대학의 수가 많아지고 사회에 참여하기 위해 대학이 진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정한 목적 없이 진학한 대학이 그들에게 정체성 의식을 심어줄 수 있을 리 없다. 이것이 현재 대학생 문화의 부재와 심각한 정체성 위기에 직면하게 만든 것 이다. 부재 속에 대중문화와 자본주의의 확산으로 새로이 부상한 것이 소비문화라고 생각할 수 있다. 소비문화의 등장으로 대학생들은 정체성에 많은 논란이 일어났다.
여기까지 우리는 과거와 현재의 대학생의 비교를 통해 대학생과 관련된 활동이나 문화적인 측면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과거와는 달리 현재는 사회적인 문제에 대학생들이 관심을 가진다고 말하기 보다는 자기 자신의 발전과 젊은 시절의 열정을 불태우는 하나의 장으로써 대학을 인식하고 있다. 이런 인식의 변화로 인해 개인의 취직-출세를 위한 간판, 개인적인 생활과 사회적인 지위확보의 공간의 의미만을 지니게 되었고, 소비주의적인 문화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은 단순히 대학생들의 정체성에 문제가 있어서 그런 것이라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왜냐하면 대학생 문화란 어느 한 시점에 갑자기 생겨나 형성된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에 걸쳐 만들어진 연속적인 형태의 장으로 해석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금 우리에게 보이는 현실 그대로 대학생에 관한 것들을 받아 들여서는 안 된다. 또한 대학생들의 사회 활동과 문화적인 측면은 대학생들의 의식에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대학생들이 속한 사회적 환경에도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과거 사회운동을 하였던 시대에는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와 경제적 상황에 의해 학생들이 거리로 나서게 되고 특수문화적인 성격의 문화를 가졌던 것이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그 시대의 대학생의 인식과 그들의 활동은 사회적 영향을 받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대학생의 이기적인 성향이나 소비주의적인 성향 등을 문제점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현재사회의 시대적 배경이나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나온 대학생들의 정체성중 하나의 측면인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대학문화를 사회의 골칫거리로 문제 삼을 것이 아니라 시대흐름에 발맞추되, 창의적 문화로 이끌어 올리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생은 그들의 문화에 대해 확실한 주인의식을 가져야하며 그 의식을 바탕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과 버려야 할 것을 식별하는 능력을 기르자.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08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