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문단과 연안문예좌담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延安文壇과 延安文藝座談會

1. 延安文壇(연안문단)

2. 延安整風運動과 文壇 (연안정풍운동과 문단)

3. 延安文藝座談會와 座談會에서의 談話(연안문예좌담회 와 좌담회에서의 담화)

4. 延安整風運動의 結末(연안정풍운동의 결말)

본문내용

연안에셔의 반당 반혁명의 책임을 모두 왕실미에게 씌우는 비판이 되었다. 왕실미는 이에 대하여 불복하였으나 결국 투옥되었다. 이후 연안 문예계는 대대적인 학습과 자아비판이 전개되었고, 이어 문인과 예술가들은 전선과 농촌에 투입되는 이른바 지식인들의 노동자화 농민화 병사화가 실천에 옰겨졌다.
문예좌담회가 개최된 지 1년 5개월여 만인 1943년 10월 19일자《해방일보》에 <연안문예좌담회에서의 강화>라는 글이 발표되었다. 이 글은 좌담회의 첫날에 모택동에 의해 제게된 문제제기부분과 마지막날의 결론만이 수록되었고, 토론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같은 해 11월 16일에 당중앙 선전부는 <당의 문예정책집행의 결정에 관하여> 라는 포고문을 통해 문예좌담회에서의 강화를 '현 단계 중국문예운동에 대한 기본방침으로 규정' 함을 발표했다. 이것으로 과거 공산당원 문인이나 과거 좌익 문인들이 지향했던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소련의 문예이론은 소멸되었고, 중국공산당 특유의 문예이론이 정립되었으며, 이후 중국공산당의 문예정책의 기본으로 확립되었다.
♠ 참고문현 ♠
《중국 현대 문학사》 , 김시준 , 지식산업사 , 1992
《중국 현대문학》, 이화영 , 동양문고 , 2000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1.08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