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공급사슬에서의 구매의 역할
1) 구매의 의미
2) 구매의 중요성
2. 구매관리의 목표 및 구매과정에 대한 이해
1) 구매관리의 목적
2) 구매과정의 효과적 관리
3) 구매프로세스의 개선 방법
3. 구매통합전략
1) 내적통합
2) 외적통합
3) 다기능 조달팀
4) 신제품 개발을 위한 공급자 통합
4. 전략적 조달
1) 구매전략의 형태
5. 인소싱과 아웃소싱
1) 인소싱과 아웃소싱의 의사결정 시 고려사항
6. 공급자 평가 및 선정
1) 공급자 선정 평가기준
7. e-조달
1) e-commerce 조달 장점
2) e-commerce 조달 단점
8. 구매 성과 측정
1) 구매성과 측정의 기준
9. 계약관리
1) 고정가격 계약
2) 비용에 기반을 둔 계약
1. 공급사슬에서의 구매의 역할
1) 구매의 의미
2) 구매의 중요성
2. 구매관리의 목표 및 구매과정에 대한 이해
1) 구매관리의 목적
2) 구매과정의 효과적 관리
3) 구매프로세스의 개선 방법
3. 구매통합전략
1) 내적통합
2) 외적통합
3) 다기능 조달팀
4) 신제품 개발을 위한 공급자 통합
4. 전략적 조달
1) 구매전략의 형태
5. 인소싱과 아웃소싱
1) 인소싱과 아웃소싱의 의사결정 시 고려사항
6. 공급자 평가 및 선정
1) 공급자 선정 평가기준
7. e-조달
1) e-commerce 조달 장점
2) e-commerce 조달 단점
8. 구매 성과 측정
1) 구매성과 측정의 기준
9. 계약관리
1) 고정가격 계약
2) 비용에 기반을 둔 계약
본문내용
구매 성과 측정
Manczkaet al. 은 구매성과 측정의 기준을 10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1) 구매성과 측정의 기준
① 가격성과 측정치
목표가격과 실제구매가의 차이, 시장가격과 실제구매가의 비교, 동일한 부품을 구입한 부서별 구매가격비교, 목표가격 달성도 등으로 가격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② 비용 효과 측정치
구매비용 감축 노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매비용 감축 노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먼저, 비용변화란 특정 품목에 대한 실제구매비용을 여러 기간에 걸쳐 기록하여 비교하는 것이고, 비용회피란 노력을 하지 않았을 때의 지출가격과 실제구매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③ 품질 측정치
PPM 측정치 : 백만 개당 불량품수를 말하고, 공정능력이나 검사의 기준으로 이용한다.
공급자별 공급부품 불량률 측정치 : 납품부품의 샘플링 검사를 통하여 측정되고, 공급자별 품질성과 비교에 이용되는 기준이며 절대적인 공급자 품질기준을 정하는데 이용된다.
판매 부품별(공급자별) 불량률 측정치 : 제품이 고객에게 판매된 후에 발생하는 불량품에 대한 측정치로 기업으로서는 불량률 제로를 추구하는 측정치이다.
* PPM : 1분당 처리할 수 있는 수 / 예로는 인터넷 다운로드/업로드 속도를 측정하거나 네트워크 게임/VoIP 테스트 결과 (패킷왕복시간/패킷손실율) 등을 측정할 수 있다.
④ 시간 관련 측정치
신제품의 개발에서 시장진입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측정치, 공급자의 납품에 대한 납기일 준수 측정치, 공급자의 주문, 생산, 수송 사이클 타임 감축 측정치, 스케줄 변화나 디자인 변화에 대한 공급자의 대응성 측정치 등이 포함된다.
인도성과(Delivery Performance) : 고객이 요청한 기일 또는 이전에 충족된 주문의 비율이나 당초에 계획 혹은 약속한 기일 또는 이전에 충족된 주문의 비율을 말한다.
주문충족 리드타임 (Order Fulfillment Lead Times) : 고객주문을 충족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평균 주문 리드타임이다. 이는 기업의 주문고객에 대한 대응성을 측정할 수 있다.
생산 유연성(Production Flexibility) : 수요 변화에 유연성과 대응성을 측정한다.
⑤ 기술 및 혁신 관련 측정치
신기술 선점계약이란 공급자가 개발한 신기술에 대한 정보 및 이용을 미리 선점하도록 공급자와 계약을 하는 것이다. 측정치로써는 부품의 독자성과 표준화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⑥ 환경 및 안전 측정치
환경 및 안전 목표 성취도 및 이를 위해 지출된 비용에 대한 측정치이다.
⑦ 자산관리 및 동함 공급사슬 측정치
재고관련 측정치(재고회전율(연간매출원가/평균총재고가치), 재고수준 등), 수송관련 측정치(수송비용, 수송리드타임, 수송성과 등), 주문관리 관련 측정치(정시배송, 주문리드타임 등), e-거래 측정치(기업 간 연결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EDI를 이용하는 정도나 웹을 이용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정도를 측정) 등이 있다.
*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 둘 이상의 기업들 간에 표준화된 양식을 사용하는 일상적인 업무 서류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환하는 것을 의미.
⑧ 일반 관리 및 효율성 측정치
일반 관리는 연간 구매관리 예산관리를 위해 측정하는 것으로 책정방법으로는 현재 예산에 미래의 요소를 고려하여 예산을 증액하거나 삭감하는 방법과 <구매예산 = 원자재 구입비용 예상치×통제비율>이라는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구매 관리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측정치로는 구매 주문처리 건수, 처리한 품목 수 등이 포함된다.
⑨ 정부 및 사회 관련 측정치
중소기업과의 거래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중소기업 공급자와의 거래액이 전체 거래액에 차지하는 비율, 거래하는 중소기업 공급자의 수 등이 측정치가 된다.
⑩ 내부고객 만족도 측정치
설문조사를 통해 내부고객 만족도를 측정한다. 조사방법으로는 경우에 따라 우편조사, 전화, 면접, 의견 카드 등이 사용된다.
9. 계약관리
계약은 구매자와 공급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분쟁 발생 시 해결점을 제시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구매계약은 주로 가격결정 메커니즘에 따라 구분된다.
1) 고정가격계약(fixed-price contract)
① 확정고정가격(firm fixed price) 계약
계약에 정해진 가격은 어떠한 경우에도 변하지 않는 계약이다.
② 에서컬레이션/디에서컬레이션 조항이 삽입된 고정가격계약(fixed price contract with escalation/descalation)
상황에 따라 기본가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는 조항이 삽입 된 계약이다.
③ 재결정 조항이 삽입된 고정가격계약(fixed price contract with redetermination)
임시 기본가격 결정 이후 생산량 초과시 가격 협상을 통해 기본가격이 정해지는데, 정해진 가격의 적용 범위와 시점 여부는 계약에 의하여 결정된다.
④ 인센티브 조항이 삽입된 고정가격계약(fixed price contract with incentive)
목표기본가격을 정하고 계약에서 정한 기간 동안 공급자의 노력에 의한 비용절감분을 공급자와 구매자가 정해진 비율로 나누는 조항이 삽입된 계약이다.
2) 비용기반계약(cost based contract)
① 비용 플러스 인센티브 계약(cost plus incentive fee)
공급자에게 허용된 비용에 기반을 두고 기본가격이 정해지며 계약에서 정하는 기간 동안 공급자의 노력에 의하여 절감된 비용을 공급자와 구매자가 정해진 비율로 나누는 계약이다.
② 비용분담계약(cost sharing contract)
실제 발생하는 허용된 비용에 대해 정해진 비율에 따라 분담하는 계약이다.
③ 시간 및 원자재 계약(time and materials contract)
주로 공장이나 설비의 유지 보전을 위해 이용되는 계약으로 공급자가 제공한 노동시간과 원자재에 대하여 정해진 가격에 따라 지불되는 계약이다.
④ 비용 플러스 고정료 계약(cost plus fixed fee contract)
공급자는 자신이 지출한 허용된 비용에 대하여 일정 한도까지 환급을 받고 또 목표비용의 일정 %로 정해지는 고정료를 받는다.
Manczkaet al. 은 구매성과 측정의 기준을 10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1) 구매성과 측정의 기준
① 가격성과 측정치
목표가격과 실제구매가의 차이, 시장가격과 실제구매가의 비교, 동일한 부품을 구입한 부서별 구매가격비교, 목표가격 달성도 등으로 가격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
② 비용 효과 측정치
구매비용 감축 노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구매비용 감축 노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먼저, 비용변화란 특정 품목에 대한 실제구매비용을 여러 기간에 걸쳐 기록하여 비교하는 것이고, 비용회피란 노력을 하지 않았을 때의 지출가격과 실제구매가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③ 품질 측정치
PPM 측정치 : 백만 개당 불량품수를 말하고, 공정능력이나 검사의 기준으로 이용한다.
공급자별 공급부품 불량률 측정치 : 납품부품의 샘플링 검사를 통하여 측정되고, 공급자별 품질성과 비교에 이용되는 기준이며 절대적인 공급자 품질기준을 정하는데 이용된다.
판매 부품별(공급자별) 불량률 측정치 : 제품이 고객에게 판매된 후에 발생하는 불량품에 대한 측정치로 기업으로서는 불량률 제로를 추구하는 측정치이다.
* PPM : 1분당 처리할 수 있는 수 / 예로는 인터넷 다운로드/업로드 속도를 측정하거나 네트워크 게임/VoIP 테스트 결과 (패킷왕복시간/패킷손실율) 등을 측정할 수 있다.
④ 시간 관련 측정치
신제품의 개발에서 시장진입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측정치, 공급자의 납품에 대한 납기일 준수 측정치, 공급자의 주문, 생산, 수송 사이클 타임 감축 측정치, 스케줄 변화나 디자인 변화에 대한 공급자의 대응성 측정치 등이 포함된다.
인도성과(Delivery Performance) : 고객이 요청한 기일 또는 이전에 충족된 주문의 비율이나 당초에 계획 혹은 약속한 기일 또는 이전에 충족된 주문의 비율을 말한다.
주문충족 리드타임 (Order Fulfillment Lead Times) : 고객주문을 충족시키기 위해 소요되는 평균 주문 리드타임이다. 이는 기업의 주문고객에 대한 대응성을 측정할 수 있다.
생산 유연성(Production Flexibility) : 수요 변화에 유연성과 대응성을 측정한다.
⑤ 기술 및 혁신 관련 측정치
신기술 선점계약이란 공급자가 개발한 신기술에 대한 정보 및 이용을 미리 선점하도록 공급자와 계약을 하는 것이다. 측정치로써는 부품의 독자성과 표준화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⑥ 환경 및 안전 측정치
환경 및 안전 목표 성취도 및 이를 위해 지출된 비용에 대한 측정치이다.
⑦ 자산관리 및 동함 공급사슬 측정치
재고관련 측정치(재고회전율(연간매출원가/평균총재고가치), 재고수준 등), 수송관련 측정치(수송비용, 수송리드타임, 수송성과 등), 주문관리 관련 측정치(정시배송, 주문리드타임 등), e-거래 측정치(기업 간 연결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EDI를 이용하는 정도나 웹을 이용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정도를 측정) 등이 있다.
*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 둘 이상의 기업들 간에 표준화된 양식을 사용하는 일상적인 업무 서류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교환하는 것을 의미.
⑧ 일반 관리 및 효율성 측정치
일반 관리는 연간 구매관리 예산관리를 위해 측정하는 것으로 책정방법으로는 현재 예산에 미래의 요소를 고려하여 예산을 증액하거나 삭감하는 방법과 <구매예산 = 원자재 구입비용 예상치×통제비율>이라는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구매 관리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측정치로는 구매 주문처리 건수, 처리한 품목 수 등이 포함된다.
⑨ 정부 및 사회 관련 측정치
중소기업과의 거래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중소기업 공급자와의 거래액이 전체 거래액에 차지하는 비율, 거래하는 중소기업 공급자의 수 등이 측정치가 된다.
⑩ 내부고객 만족도 측정치
설문조사를 통해 내부고객 만족도를 측정한다. 조사방법으로는 경우에 따라 우편조사, 전화, 면접, 의견 카드 등이 사용된다.
9. 계약관리
계약은 구매자와 공급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분쟁 발생 시 해결점을 제시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구매계약은 주로 가격결정 메커니즘에 따라 구분된다.
1) 고정가격계약(fixed-price contract)
① 확정고정가격(firm fixed price) 계약
계약에 정해진 가격은 어떠한 경우에도 변하지 않는 계약이다.
② 에서컬레이션/디에서컬레이션 조항이 삽입된 고정가격계약(fixed price contract with escalation/descalation)
상황에 따라 기본가격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는 조항이 삽입 된 계약이다.
③ 재결정 조항이 삽입된 고정가격계약(fixed price contract with redetermination)
임시 기본가격 결정 이후 생산량 초과시 가격 협상을 통해 기본가격이 정해지는데, 정해진 가격의 적용 범위와 시점 여부는 계약에 의하여 결정된다.
④ 인센티브 조항이 삽입된 고정가격계약(fixed price contract with incentive)
목표기본가격을 정하고 계약에서 정한 기간 동안 공급자의 노력에 의한 비용절감분을 공급자와 구매자가 정해진 비율로 나누는 조항이 삽입된 계약이다.
2) 비용기반계약(cost based contract)
① 비용 플러스 인센티브 계약(cost plus incentive fee)
공급자에게 허용된 비용에 기반을 두고 기본가격이 정해지며 계약에서 정하는 기간 동안 공급자의 노력에 의하여 절감된 비용을 공급자와 구매자가 정해진 비율로 나누는 계약이다.
② 비용분담계약(cost sharing contract)
실제 발생하는 허용된 비용에 대해 정해진 비율에 따라 분담하는 계약이다.
③ 시간 및 원자재 계약(time and materials contract)
주로 공장이나 설비의 유지 보전을 위해 이용되는 계약으로 공급자가 제공한 노동시간과 원자재에 대하여 정해진 가격에 따라 지불되는 계약이다.
④ 비용 플러스 고정료 계약(cost plus fixed fee contract)
공급자는 자신이 지출한 허용된 비용에 대하여 일정 한도까지 환급을 받고 또 목표비용의 일정 %로 정해지는 고정료를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