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FTA란?
2. 한미 FTA 협정범위 및 최종타결 내용
3. 한미 FTA의 장점 (기대효과)
4. 한미FTA의 단점
5. 미국과 FTA 협상 중인 다른 나라들의 예
2. 한미 FTA 협정범위 및 최종타결 내용
3. 한미 FTA의 장점 (기대효과)
4. 한미FTA의 단점
5. 미국과 FTA 협상 중인 다른 나라들의 예
본문내용
잠그고 나가고, 돈 없으면 빗물 받아먹으며 전염병으로 죽어가고 있다고 한다. 미국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우리에게 공기업의 민영화를 외치고 있다. 공기업의 민영화. 즉 국민의 생활은 안중에 업이 돈이 끝도 없이 오름을 의미한다는 건 바보가 아닌 이상 충분이 알 수 있다. 교통비, 상수도, 전기 등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모든 것들의 가격이 오른다면 우리도 볼리비아처럼 집에서 나갈 때는 수도꼭지에 자물쇠를 잠그고, 조선시대로 돌아가 촛불 아래에서 밥을 먹고 공부하고 더 어두워지면 잠만 자야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
- 멕시코
가장 대표적인 사례인 멕시코. 국민의 절반이상이 빈민층으로 전락하였다. 잘 사는 사람은 세계부자 베스트에도 들어간다. 중소기업의 붕괴, 국민건강도 미국식 의료체제 도입으로 붕괴. 한마디로 사회의 몰락을 가져왔다. 멕시코가 미국과 FTA를 체결하면 선진국 대열에 합류할 것이라고 호언장담했던 대통령은 미국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온 사람으로 현재 미국에서 망명중이다. 우리나라도 이대로 간다면 KBS에서 방영된 ‘FTA 12년. 멕시코의 명과 암’과 똑같이 다른 나라에서 ‘FTA 12년. 한국의 명과 암’으로 방영될지도 모를 일이다.
- 멕시코
가장 대표적인 사례인 멕시코. 국민의 절반이상이 빈민층으로 전락하였다. 잘 사는 사람은 세계부자 베스트에도 들어간다. 중소기업의 붕괴, 국민건강도 미국식 의료체제 도입으로 붕괴. 한마디로 사회의 몰락을 가져왔다. 멕시코가 미국과 FTA를 체결하면 선진국 대열에 합류할 것이라고 호언장담했던 대통령은 미국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온 사람으로 현재 미국에서 망명중이다. 우리나라도 이대로 간다면 KBS에서 방영된 ‘FTA 12년. 멕시코의 명과 암’과 똑같이 다른 나라에서 ‘FTA 12년. 한국의 명과 암’으로 방영될지도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