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간은 왜 교육받아야 하는가?(임현식)」을 읽고
Ⅰ. 들어서며
Ⅱ. 본론
1. 문제제기 - 정반대편을 향해 뛰고 있는 마라토너, 그 이름은 교육...
2. 인간이 인간인 이유?!
3. 인간이라고 해서 다 인간이 아니다?!
★ 결론 도출 과정
4. 참인간이 인간이다!!
Ⅲ. 나가며
Ⅰ. 들어서며
Ⅱ. 본론
1. 문제제기 - 정반대편을 향해 뛰고 있는 마라토너, 그 이름은 교육...
2. 인간이 인간인 이유?!
3. 인간이라고 해서 다 인간이 아니다?!
★ 결론 도출 과정
4. 참인간이 인간이다!!
Ⅲ. 나가며
본문내용
것이다. 참 맞는 말이다. 우리의 교육이 이 글에서 말한 교육의 궁극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가 아니더라도 당연히 우리의 교육은 이렇게 변해야만 한다. 하지만 이 발견학습법이 지금과 같은 학교상황이 변하지 않고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가 의문이다. 학생수가 많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한 반에 20명이 넘는 아이들의 각각의 인지 상태를 파악해 교사가 각 아이의 인지상태에 맞게 배울 수 있는 것들을 가르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인 것 같다. 또 빈틈없이 짜여져 있는 일률적인 교과과정 편제 또한 발견학습을 불가능하게 하는 한 요인인 듯하다. 교사는 한 학기에 반드시 가르쳐야 할 내용을 전달받고 그것을 가르치기 위해 학생들이 그것을 이해했는가 알고 있는가와는 상관없이 진도를 나간다. 이해했는가 못했는가는 모든 것을 다 배운 후에 시험을 통해, 교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발견학습은 교사당 학생수가 5명 이하가 되거나 혹은 교육과정이 혁신적인 변화를 꾀하지 않는 한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발견학습의 효과를 부인하는 것이다. 우리 교육은 애초부터 발견학습이 지향하는 교육적 방향으로 흘러왔어야 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교육기회를 부여해야만 한다는 공교육의 상황 자체가 발견학습이 개발되어져 적용될 상황과는 모순되는 면이 많은 것 같다. 서로 다른 톱니를 가진 톱니바퀴가 잘 맞아 돌아갈 수 없듯이 우리나라의 왜곡된 교육상황과 그 해결책인 발견학습법이 잘 맞아 돌아갈리 없다. 우리나라의 왜곡된 교육상황의 획기적인 변화나 아니며 발견학습이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용되기 위해 본 취지에서 몇 가지를 변화시켜야 하는 어느 한쪽의 불가피한 조정이 필요할 듯 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 이 글의 인간의 정신력으로부터 시작해 마지막으로 도출해낸 이성적 사고력에 대한 몇 가지 교육적 제언으로 끝을 맺는다. 이성적 사고력 계발을 위한 교육은 도덕성 계발과 개방적 사고의 태도 형성이라는 두 가지로 종류로 구분될 것이라고 하면서 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판단을 가치 주입식으로 전달해 왔기 때문에 가치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인간은 도덕성의 방향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강압적인 도덕적 가치 주입이 아닌 이성의 계발로써 각자의 도덕성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Ⅲ. 나가며
많은 과정을 통해서 우리가 얻고자 했던 교육의 궁극목적은 바로 ‘참인간됨’이었다. 그렇다면 참인간됨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우리가 처해있는 현재의 교육상황에서는 전혀 목적으로 둘 수 없는 인간 형태인 듯하다. 이 글에서 거쳐온 성찰과 반성이 교육현장에서 일어나고 그 반성이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한 말이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에 대한 수 은 논의와 옳은 방향을 향해 나아가려는 시도가 공허한 울림이라고 할지라도 분명한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교육은 필연이다’라는 것이다. 교육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우리의 교육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늘 일깨울 것이며, 옳은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인간의 정신력과 그 속성인 잠재성, 자발적 사고력, 이성적 사고력 등의 인간이 갖는 기본 속성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교육도 변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은 다소 잘못된 방향으로 교육이 흘러 여러 가지 병폐를 낳고 있지만, 옳은 방향으로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움직임이 있다는 것 자체에 나는 더 가능성을 두고 싶다. 그래야지 이 세상이 더 밝고 희망찬 세상이 되지 않을까? 교육을 위해 더 노력하는 세상이 되기를 희망하며 감상문을 마친다.
이제 이 글의 인간의 정신력으로부터 시작해 마지막으로 도출해낸 이성적 사고력에 대한 몇 가지 교육적 제언으로 끝을 맺는다. 이성적 사고력 계발을 위한 교육은 도덕성 계발과 개방적 사고의 태도 형성이라는 두 가지로 종류로 구분될 것이라고 하면서 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은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한 판단을 가치 주입식으로 전달해 왔기 때문에 가치 주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인간은 도덕성의 방향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강압적인 도덕적 가치 주입이 아닌 이성의 계발로써 각자의 도덕성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Ⅲ. 나가며
많은 과정을 통해서 우리가 얻고자 했던 교육의 궁극목적은 바로 ‘참인간됨’이었다. 그렇다면 참인간됨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우리가 처해있는 현재의 교육상황에서는 전혀 목적으로 둘 수 없는 인간 형태인 듯하다. 이 글에서 거쳐온 성찰과 반성이 교육현장에서 일어나고 그 반성이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한 말이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에 대한 수 은 논의와 옳은 방향을 향해 나아가려는 시도가 공허한 울림이라고 할지라도 분명한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교육은 필연이다’라는 것이다. 교육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우리의 교육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을 늘 일깨울 것이며, 옳은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위에서 제시한 인간의 정신력과 그 속성인 잠재성, 자발적 사고력, 이성적 사고력 등의 인간이 갖는 기본 속성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교육도 변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은 다소 잘못된 방향으로 교육이 흘러 여러 가지 병폐를 낳고 있지만, 옳은 방향으로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움직임이 있다는 것 자체에 나는 더 가능성을 두고 싶다. 그래야지 이 세상이 더 밝고 희망찬 세상이 되지 않을까? 교육을 위해 더 노력하는 세상이 되기를 희망하며 감상문을 마친다.
추천자료
국어교육 - 국어 지식교육의 필요성
장애아동의 조기교육의 필요성, 청각장애아의 조기교육
부모교육 A)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방향(A+완성)
부모교육 A+)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방향에 대한 논의
반편견 교육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반편견 교육의 적용방안을 위한 실제 계획안을 작성해 주세요
유아 경제교육의 필요성, 목표와 내용, 유아경제교육의 방법
영유아기 성교육의 필요성과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성교육 방법에 대해 설명
인간과교육3공통)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
영유아기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고 안전교육의 문제점을 2가지 이상 제시한 뒤 실제 예시...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사회적인 측면과 개인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 자신 또는 ...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사회적인 측면과 개인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 자신 또는 ...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와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 설명 및 교...
유아교육개론1D) 유아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 교수학습매체와 교재교구에 대하여 보고 ...
예비부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 실제 우리나라의 현실에 비춰봤을 때 예비부모에게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