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인 및 병태생리
2) 증상과 징후
3) 진단
4) 치료
5) 예후
6) 간호
2) 증상과 징후
3) 진단
4) 치료
5) 예후
6) 간호
본문내용
적음
24-40%
Ⅱ
중간
15-30%
Ⅲ
많음
10-25%
6) 간호
① 뼈의 통증 조절
가장 흔한 증상(약 70%의 환자)으로 척추, 늑골, 골반 등을 침범하는 경우가 흔하다.
통증이 밤에 악화되는 metastatic cancer의 경우와는 달리 multiple myeloma의 경우에는 움직임에 따라 악화된다.
지속적으로 국소적 통증이 나타나면 pathologic fracture를 고려해야 한다.
② 외상 방지
하루에 3리터 정도의 수분을 섭취해야한다.
골다공증과 칼슘 상실은 환자가 움직이지 않을 때 더 악화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환자를 자주 움직이고 걷게 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진통제나 필요한 정형외과적인 지지와 고정기(brace)를 적절하게 활용하면 통증과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24-40%
Ⅱ
중간
15-30%
Ⅲ
많음
10-25%
6) 간호
① 뼈의 통증 조절
가장 흔한 증상(약 70%의 환자)으로 척추, 늑골, 골반 등을 침범하는 경우가 흔하다.
통증이 밤에 악화되는 metastatic cancer의 경우와는 달리 multiple myeloma의 경우에는 움직임에 따라 악화된다.
지속적으로 국소적 통증이 나타나면 pathologic fracture를 고려해야 한다.
② 외상 방지
하루에 3리터 정도의 수분을 섭취해야한다.
골다공증과 칼슘 상실은 환자가 움직이지 않을 때 더 악화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환자를 자주 움직이고 걷게 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진통제나 필요한 정형외과적인 지지와 고정기(brace)를 적절하게 활용하면 통증과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