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되면서 논쟁거리가 되었다. Taub와 Bergman(1982)는 운동 프
로그램이 중추 신경계에 있으며, 특정 운동행동은 말초로부터의 안내 없이도 개시될 수
있다고 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의 현재의 이론은 숙련된 운동수행의 성취에 말초 기전과
중추기전들이 함께 작용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장점
① 운동 프로그램 이론들로 임상에서는 운동제어 장애에 대한 반사의 역할 이상의 설명
을 할 수 있게 되었다.
② 상위 수준의 운동 프로그램이 침범을 받은 환자를 돕는데 있어 운동 프로그램 이론은
환자들이 행위에 맞는 정확한 규칙을 재학습하도록 도울 수 있다.
4. 시스템 이론 장 단점
① 시스템 이론의 제한점들은 정의들 그리고 이론의 시험성 등을 포함.
; 운동조절의 많은 다른 이론들이 역동적 활동 이론, 생태학적 접근방법, 신경회로 이론,
과제 지향적 접근방법, 활동 시스템들 그리고 재구심 법칙과 같은 시스템 이론의 가정들
을 이용하고 있다. 어쨌든, 용어의 일치나 용어의 정의가 되어있지 않다. 과학적 연구
나 임상적 적용의 결과들을 비교하는 것이 어렵다.
② 이 이론이 추상적이고 운동 조절이 너무도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이론적 부분
의 시스템들을 신경해부학에 연관시키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이론을 신경계
손상을 일으키는 전통적인 접근 방법으로 검증하기가 어렵고, 조절의 어느 면이 부족한
지 결정하기가 어렵다.
③ 시스템 이론의 범주가 방대하나, 우리가 보는 바와 같이 그 이론은 몇몇 다른 이론들이
강조하는 것만큼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 작용에 중점을 두지 않는다.
◈ 장점
① 운동조절 접근법들 중에서는 가장 방대한 것이다. 그것은 신경계가 행위에 기여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근육과 골격계 그리고 중력과 관성이 기여하는 것도 참작하기 때문에 실제
행동을 이 전의 이론보다 훨씬 더 잘 예언할 수 있다.
② 이 이론은 신체를 기계적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동작은 신경계의 출력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 시스템인 신체를 통하
여 여과되면서 신경계의 출력이 된다. 중추신경계의 결손이 있는 환자를 치료할 때 근골
격계의 손상이 전반적인 운동제어 상실에 작용하는 것을 신중하게 검진하지 않을 수 없
다.
③ 시스템 이론은 검진과 중재를 운동제어에 작용하는 각 시스템 내부에 있는 손상 요소들
뿐만 아니라, 다중 시스템에서 손상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는 결과에도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④ 근육 골격계와 환경적 장벽들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정상적인 움직임 전략들에
시스템 이론의 가정을 추가함으로써, 치료사들은 다양한 자세들과 변화하는 바닥면, 시각,
생체공학적 협응하에서 과제들을 연습시키는 것처럼, 그러한 장벽들을 다루고 평가하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하나의 과제 목적을 많은 정상적인 근육 활성 패턴들이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이론을 사용하는 치료사들은 특별한 근육 활성 패턴을 활성화시키기
보다는 다양한 방법으로 운동 결함을 해결하는 방법을 신경계가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려
노력할 수 있다.
⑤ 다양한 환경 상태에서 운동 행동의 적응성과 신축성을 설명할 수 있다.
시스템 이론에서는 기능적 목적과 환경적 장벽들 모두가 움직임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
할을 한다고 본다. 그래서 같은 자극이 매우 다른 움직임들을 나타낼 수도 있고, 다른 자
극이 유사한 움직임들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5. 다이나믹 이론의 장 단점
◈ 단점
- 이 이론의 한계는 신경계가 분명히 대수롭지 않은 역할을 한다는 것과 동물의 물리적
시스템과 그것이 작동하는 환경간의 관계가 동물의 행동을 결정하는데 우선한다는 가정이
될 수 있다. (과거에는 시스템에 신경이 기여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에 두지는 않았다.)
◈ 장점
① 동작의 특성이 창의성이라는 견해 ; 동작은 다중 요소들의 상호작용에서 나오는데 일정
한 역동적 특성에 따라서 요소들 자체가 자기 조직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동작 행동의
전환이나 변경은 종종 반드시 신경구조에 관계한다기보다 물리적 원리와 관련하여 설명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② 임상에서 인체의 물리적 또는 역동적인 특성에 대해서 보다 더 많은 것들을 이해한다면
운동제어를 재획득하려는 환자들을 돕는 데에 이 특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속도는 동작의 동력(dynamics)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가끔 환자들은
안전하게 움직여보려는 노력으로 천천히 움직이라는 요구를 받는다. 그러나 재훈련에 접근
하는 이러한 방법은 신체의 물리적 특성과 속도 간에 상호작용이 운동량(momentum)을 생
산하므로 약한 환자가 훨씬 더 쉽게 움직이도록 도울 수 있다.)
6. 생태학적 이론의 장 단점
◈ 단점
- 생태학적 접근이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관한 우리의 지식을 관목하게 확장시켜
왔지만 이 상호작용에 이르게 했던 신경계의 조직화와 기능을 덜 강조한다.
◈ 장점
- 인간을 환경의 능동적인 탐색자로 서술하는 데에 있다. : 과제와 그 과제가 수행될 환경
을 능동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개인은 어떤 과제를 성취할 다중적인 방식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 적응 능력(adaptability) : 어떤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동작들을 조직하는 방식에서 뿐만 아니라 지각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중요. 환경과의 상호 작용의 능력
참고문헌
1. 고급 물리치료학(1) - 1994, 현문사 / 이충휘, 구애련, 권혁철 共著
2. 신경계물리치료학 - 1997, 정담 / 김종만 著
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 8호 - '운동조절 이론과 중추신경계 손상환자를
위한 치료접근법의 재검토' : 김종만, 신현석
4. 운동조절(이론과 실제) - 2006, 영문출판사
/ By Anne Shumway-Cook & Marjorie H. Woollacott
5. Motor Control(Third Edition,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 By Anne Shumway-Cook, PT, PhD & Marjorie Woollacott, PhD
로그램이 중추 신경계에 있으며, 특정 운동행동은 말초로부터의 안내 없이도 개시될 수
있다고 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의 현재의 이론은 숙련된 운동수행의 성취에 말초 기전과
중추기전들이 함께 작용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 장점
① 운동 프로그램 이론들로 임상에서는 운동제어 장애에 대한 반사의 역할 이상의 설명
을 할 수 있게 되었다.
② 상위 수준의 운동 프로그램이 침범을 받은 환자를 돕는데 있어 운동 프로그램 이론은
환자들이 행위에 맞는 정확한 규칙을 재학습하도록 도울 수 있다.
4. 시스템 이론 장 단점
① 시스템 이론의 제한점들은 정의들 그리고 이론의 시험성 등을 포함.
; 운동조절의 많은 다른 이론들이 역동적 활동 이론, 생태학적 접근방법, 신경회로 이론,
과제 지향적 접근방법, 활동 시스템들 그리고 재구심 법칙과 같은 시스템 이론의 가정들
을 이용하고 있다. 어쨌든, 용어의 일치나 용어의 정의가 되어있지 않다. 과학적 연구
나 임상적 적용의 결과들을 비교하는 것이 어렵다.
② 이 이론이 추상적이고 운동 조절이 너무도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이론적 부분
의 시스템들을 신경해부학에 연관시키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이론을 신경계
손상을 일으키는 전통적인 접근 방법으로 검증하기가 어렵고, 조절의 어느 면이 부족한
지 결정하기가 어렵다.
③ 시스템 이론의 범주가 방대하나, 우리가 보는 바와 같이 그 이론은 몇몇 다른 이론들이
강조하는 것만큼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 작용에 중점을 두지 않는다.
◈ 장점
① 운동조절 접근법들 중에서는 가장 방대한 것이다. 그것은 신경계가 행위에 기여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근육과 골격계 그리고 중력과 관성이 기여하는 것도 참작하기 때문에 실제
행동을 이 전의 이론보다 훨씬 더 잘 예언할 수 있다.
② 이 이론은 신체를 기계적 시스템으로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동작은 신경계의 출력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계적 시스템인 신체를 통하
여 여과되면서 신경계의 출력이 된다. 중추신경계의 결손이 있는 환자를 치료할 때 근골
격계의 손상이 전반적인 운동제어 상실에 작용하는 것을 신중하게 검진하지 않을 수 없
다.
③ 시스템 이론은 검진과 중재를 운동제어에 작용하는 각 시스템 내부에 있는 손상 요소들
뿐만 아니라, 다중 시스템에서 손상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는 결과에도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④ 근육 골격계와 환경적 장벽들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정상적인 움직임 전략들에
시스템 이론의 가정을 추가함으로써, 치료사들은 다양한 자세들과 변화하는 바닥면, 시각,
생체공학적 협응하에서 과제들을 연습시키는 것처럼, 그러한 장벽들을 다루고 평가하는
것을 시도할 수 있다(; 하나의 과제 목적을 많은 정상적인 근육 활성 패턴들이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 이론을 사용하는 치료사들은 특별한 근육 활성 패턴을 활성화시키기
보다는 다양한 방법으로 운동 결함을 해결하는 방법을 신경계가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려
노력할 수 있다.
⑤ 다양한 환경 상태에서 운동 행동의 적응성과 신축성을 설명할 수 있다.
시스템 이론에서는 기능적 목적과 환경적 장벽들 모두가 움직임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
할을 한다고 본다. 그래서 같은 자극이 매우 다른 움직임들을 나타낼 수도 있고, 다른 자
극이 유사한 움직임들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5. 다이나믹 이론의 장 단점
◈ 단점
- 이 이론의 한계는 신경계가 분명히 대수롭지 않은 역할을 한다는 것과 동물의 물리적
시스템과 그것이 작동하는 환경간의 관계가 동물의 행동을 결정하는데 우선한다는 가정이
될 수 있다. (과거에는 시스템에 신경이 기여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데에 두지는 않았다.)
◈ 장점
① 동작의 특성이 창의성이라는 견해 ; 동작은 다중 요소들의 상호작용에서 나오는데 일정
한 역동적 특성에 따라서 요소들 자체가 자기 조직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동작 행동의
전환이나 변경은 종종 반드시 신경구조에 관계한다기보다 물리적 원리와 관련하여 설명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② 임상에서 인체의 물리적 또는 역동적인 특성에 대해서 보다 더 많은 것들을 이해한다면
운동제어를 재획득하려는 환자들을 돕는 데에 이 특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속도는 동작의 동력(dynamics)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가끔 환자들은
안전하게 움직여보려는 노력으로 천천히 움직이라는 요구를 받는다. 그러나 재훈련에 접근
하는 이러한 방법은 신체의 물리적 특성과 속도 간에 상호작용이 운동량(momentum)을 생
산하므로 약한 환자가 훨씬 더 쉽게 움직이도록 도울 수 있다.)
6. 생태학적 이론의 장 단점
◈ 단점
- 생태학적 접근이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에 관한 우리의 지식을 관목하게 확장시켜
왔지만 이 상호작용에 이르게 했던 신경계의 조직화와 기능을 덜 강조한다.
◈ 장점
- 인간을 환경의 능동적인 탐색자로 서술하는 데에 있다. : 과제와 그 과제가 수행될 환경
을 능동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개인은 어떤 과제를 성취할 다중적인 방식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 적응 능력(adaptability) : 어떤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동작들을 조직하는 방식에서 뿐만 아니라 지각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중요. 환경과의 상호 작용의 능력
참고문헌
1. 고급 물리치료학(1) - 1994, 현문사 / 이충휘, 구애련, 권혁철 共著
2. 신경계물리치료학 - 1997, 정담 / 김종만 著
3.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 8호 - '운동조절 이론과 중추신경계 손상환자를
위한 치료접근법의 재검토' : 김종만, 신현석
4. 운동조절(이론과 실제) - 2006, 영문출판사
/ By Anne Shumway-Cook & Marjorie H. Woollacott
5. Motor Control(Third Edition,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 By Anne Shumway-Cook, PT, PhD & Marjorie Woollacott, PhD
추천자료
사회문화 수업지도안-사회 계층의 이해
데이터통신 OSI 7계층
-사회적 이동(사회계층이동)에 대하여
[신경계기능]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중추신경계,말초신경계등)
[신경계질환]신경계 질환과 간호방법(고체온증,두통,신경성쇼크,감염성질환,말초신경장애,뇌...
신경외과(신경과) 필수의학용어 및 약어정리,뜻풀이, 신경계의학용어
아이돌 문화 연구 (한 사회의 문화 아이콘으로서의 아이돌 영향 분석)사회계층.ppt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여가정책 집행 & 특수 계층에 대한 지원과 정책 [대구지방단체]
[의학] 신경계 - 중추신경계(CNS)의 총정리 {척수, 뇌간, 소뇌, 전뇌(간뇌.대뇌반구), 전도로...
♡ 신경학적 기능장애를 가진 환자의 간호 Ⅰ♡ - 무의식 환자 간호, 두개내압 상승, 두통, 감염...
신경심리평가(아동용 신경심리검사 배터리, 한국판 아동용 신경심리검사, BGT)
[부모교육]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양육환경 - 하류층의 자녀양육, 중류층의 자녀양육, 상...
BRANDHIERARCHY 브랜드의 계층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