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아편전쟁’을 보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사회가 붕괴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본다.
한편, 영화적으로는 ‘시에진’ 영화의 감상성도 역사적 객관성도 확보하지 못한 구시대의 유령 같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영화에서는 아편의 피해를 청조 관리들의 부정부패와 타락한 청조의 위상을 보이고 싶지 않아서 인지, 오로지 자신들(청나라)에게는 잘못이 없으며, 아편(鴉片)을 판매하는 외국상인들과 영국 그 자체에 책임과 문제를 묻고 있다. ‘영국=기득권자, 청=피해자, 아편전쟁(鴉片戰爭)=청조의 피해’라는 식의 자기옹호적인 편협한 역사를 반영한 영화는 중국 역사와 문화를 상품화해 세계영화시장에서 중국영화의 개성을 확립하고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는커녕 중국영화가 어쩔 수 없는 국수주의에 빠졌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할리우드에 너무나 뒤떨어진다는 약점만 노출시키고 말았다. 물론 청조가 열강들의 피해자임은 맞지만 자국을 위한 영화라는 느낌이 너무나도 짙다는 것이다. 자신들이 잘못한 점도 인정하면서 문화적으로 역사를 비춰야 하는 것이 올바른 길이다. 영화를 보면서 이런 아쉬운 점이 수정되었다면, 중국에서 나아가 세계적인 영화가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남기면서 영화 ‘아편전쟁(鴉片戰爭)’의 엔딩을 보았다.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1.14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7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