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heory
2. Process
3. Reference
4. Result
5. Discussion
2. Process
3. Reference
4. Result
5. Discussion
본문내용
.02M KMnO4 표준 용액 제조
0.02 = x= 0.316g으로 용액 제조
* 적정에 사용된 KMnO4 양 = 19.5ml
5MV (KMnO4) = 2M'V'(Na2C2O4)
2 * 5 * x * 19.5 = 2 * 0.05 * 20
∴ x = 0.0205M
Fe(Ⅱ) 함량 결정
* 적정에 사용된 KMnO4 양 = 13.3ml
5MV (KMnO4) = M'V'(Fe)
5 * 0.0205 * 13.3 = 20 * x
∴ x = 0.068M
Fe의 몰 ⇒ M (Fe(Ⅱ)의 농도) * V = mol
0.068(mol/L) * 0.02(L) = 0.00136mol
질량 = mol * Fe의 분자량 = 0.00136 * 55.84 = 0.0759g
함량 % = 질량 / 취한 질량 * 100 = 0.0759 / 0.5 * 100 = 15.18%
5. Discussion
이번 실험은 실험치와 이론치와의 오차가 그다지 크지 않다. 1%정도의 오차는 아마도 적정에 사용된 용액의 양의 오차에서 온 것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평소 적정 실험에서 쓰이던 MV = M'V'와는 달리 이번에는 식 앞에 계수가 붙었는데 그 계수의 의미가 무엇일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0.02 = x= 0.316g으로 용액 제조
* 적정에 사용된 KMnO4 양 = 19.5ml
5MV (KMnO4) = 2M'V'(Na2C2O4)
2 * 5 * x * 19.5 = 2 * 0.05 * 20
∴ x = 0.0205M
Fe(Ⅱ) 함량 결정
* 적정에 사용된 KMnO4 양 = 13.3ml
5MV (KMnO4) = M'V'(Fe)
5 * 0.0205 * 13.3 = 20 * x
∴ x = 0.068M
Fe의 몰 ⇒ M (Fe(Ⅱ)의 농도) * V = mol
0.068(mol/L) * 0.02(L) = 0.00136mol
질량 = mol * Fe의 분자량 = 0.00136 * 55.84 = 0.0759g
함량 % = 질량 / 취한 질량 * 100 = 0.0759 / 0.5 * 100 = 15.18%
5. Discussion
이번 실험은 실험치와 이론치와의 오차가 그다지 크지 않다. 1%정도의 오차는 아마도 적정에 사용된 용액의 양의 오차에서 온 것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평소 적정 실험에서 쓰이던 MV = M'V'와는 달리 이번에는 식 앞에 계수가 붙었는데 그 계수의 의미가 무엇일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