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퓨전사극의 정의
2. 본론
2-1 퓨전사극의 특징
2-2. 주요 작품
2-3. 퓨전사극이 갖는 한계
3. 결론
1-1 퓨전사극의 정의
2. 본론
2-1 퓨전사극의 특징
2-2. 주요 작품
2-3. 퓨전사극이 갖는 한계
3. 결론
본문내용
하고 있다.
[이명세 감독의 형사Duelist]
2-3. 퓨전사극이 갖는 한계
퓨전사극은 사실과 허구의 경계에서 이야기를 풀어 나가다보니, 필연적으로 역사 왜곡과 고증에 대한 시비에 휘말리는 일이 빈번하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작가의 상상력이고 창의인가, 역설적으로 제대로 된 역사의식과 조사가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허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사극은 퓨전이란 이름으로도 견뎌낼 수 없는 사상누각에 불과하며 작가 역시 한계에 부딪칠 수 밖에 없다. 퓨전은 일정한 기준을 두고 상호보완적인 장점을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협력하여 쓴다는 것이지, 아무거나 되는대로 집어넣어 섞는다는 의미가 아니다.
역으로 말해 퓨전사극은 고증의 압박은 덜할 수 있으나 사실보다 더 사실적이어야 하고 이질적인 것들을 무리 없이 결합해야 함으로 오히려 기존의 것을 확실하게 구체화시켜 놓아 반석을 튼튼하게 해야만 그 위에 덧입히는 과정이 수월한 것이다.
또한 섣부른 민족주의와 국수주의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든다. 곧 방송3사에서 고구려를 배경으로 한 사극을 제작한다 하는데 이것은 중국과 우리나라의 민감한 부분을 시류에 맞게 편성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과연 시청자들로 하여금 주제를 환기시키고 객관적으로 역사와 현 상황을 직시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치우쳐 사실을 호도하게 만들지는 않을지 염려해볼 일이다.
제작비에 대한 부담도 사극이기에 갖는 한계중 하나다. 현재 남아있지 않은 장소나 복식을 고스란히 재현해내야 하는 것은 만만치 않은 제작비 상승을 불러일으키며 긴 사전준비와 제작기간, 어려운 촬영여건 등도 개선해나가야 할 문제점이다.
3. 결론
퓨전사극은 새로운 경향이다. 기존의 구태의연한 드라마나 영화의 식상함과 경직된 전통사극에 신선한 자극이 되고 있지만 소재의 참신성과 감각적인 비주얼, 단순한 장르의 혼합만으로는 그 열풍을 이어나가기 어렵다. 그것이 드라마이거나 영화이거나, 전통이거나 퓨전이거나, 사실에 입각하거나 허구의 이야기거나를 떠나 사극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역사를 무대로 하고 있으며 과거와 현실을 이어주는 것에는 차이가 없는 것이다.
기록되지 않고 주목받지 못한 과거의 한 부분에 대한 애정과 그 시대를 이해하고 그 정신을 현재로 끌어와 호흡할 수 있을 때 나머지는 재기발랄한 상상력과 하이테크 한 기술력으로 채울 수 있으며 그래야만 하이브리드 한 이 영역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다.
[이명세 감독의 형사Duelist]
2-3. 퓨전사극이 갖는 한계
퓨전사극은 사실과 허구의 경계에서 이야기를 풀어 나가다보니, 필연적으로 역사 왜곡과 고증에 대한 시비에 휘말리는 일이 빈번하다.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작가의 상상력이고 창의인가, 역설적으로 제대로 된 역사의식과 조사가 뒷받침 되지 않는다면 허구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사극은 퓨전이란 이름으로도 견뎌낼 수 없는 사상누각에 불과하며 작가 역시 한계에 부딪칠 수 밖에 없다. 퓨전은 일정한 기준을 두고 상호보완적인 장점을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협력하여 쓴다는 것이지, 아무거나 되는대로 집어넣어 섞는다는 의미가 아니다.
역으로 말해 퓨전사극은 고증의 압박은 덜할 수 있으나 사실보다 더 사실적이어야 하고 이질적인 것들을 무리 없이 결합해야 함으로 오히려 기존의 것을 확실하게 구체화시켜 놓아 반석을 튼튼하게 해야만 그 위에 덧입히는 과정이 수월한 것이다.
또한 섣부른 민족주의와 국수주의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든다. 곧 방송3사에서 고구려를 배경으로 한 사극을 제작한다 하는데 이것은 중국과 우리나라의 민감한 부분을 시류에 맞게 편성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과연 시청자들로 하여금 주제를 환기시키고 객관적으로 역사와 현 상황을 직시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치우쳐 사실을 호도하게 만들지는 않을지 염려해볼 일이다.
제작비에 대한 부담도 사극이기에 갖는 한계중 하나다. 현재 남아있지 않은 장소나 복식을 고스란히 재현해내야 하는 것은 만만치 않은 제작비 상승을 불러일으키며 긴 사전준비와 제작기간, 어려운 촬영여건 등도 개선해나가야 할 문제점이다.
3. 결론
퓨전사극은 새로운 경향이다. 기존의 구태의연한 드라마나 영화의 식상함과 경직된 전통사극에 신선한 자극이 되고 있지만 소재의 참신성과 감각적인 비주얼, 단순한 장르의 혼합만으로는 그 열풍을 이어나가기 어렵다. 그것이 드라마이거나 영화이거나, 전통이거나 퓨전이거나, 사실에 입각하거나 허구의 이야기거나를 떠나 사극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역사를 무대로 하고 있으며 과거와 현실을 이어주는 것에는 차이가 없는 것이다.
기록되지 않고 주목받지 못한 과거의 한 부분에 대한 애정과 그 시대를 이해하고 그 정신을 현재로 끌어와 호흡할 수 있을 때 나머지는 재기발랄한 상상력과 하이테크 한 기술력으로 채울 수 있으며 그래야만 하이브리드 한 이 영역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대중문화와 중국대중문화
대중문화와 성에 대하여
대중문화속의 힙합문화
중국의대중문화
한국어와 대중문화-대중가요의 변천사
[언어와 문화][언어와 문화적 차이][언어와 문화교육][언어와 대중문화][언어와 방송문화][언...
[대중문화와매스컴미디어] 인터넷 댓글문화와 침묵의 나선이론을 통한 댓글문화의 특성분석
[대중문화] 대중지성과 민주주의에 대해서
16세기(16C) 문화 도가, 제례의식, 18세기(18C) 문화 연극, 발레, 감상희극, 19세기(19C) 문...
[현대의 서양문화 C형]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의 서양...
[대중문화와 기독교] 기독교 문화와 대중문화 - 부실한 벽은 허물고 차라리 울타리를 쳐라
[현대의 서양문화 C형]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현대의 서양...
절대적 기준에서 문화를 판단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 자문화 중심주의, 문화사대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