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지행동주의 모델의 가족치료 적용
인지적 인지행동주의 VS 행동적 인지행동주의
사회교환이론(인지행동주의 모델의 치료적 접근)
치료기법의 실제 적용
인지적 인지행동주의 VS 행동적 인지행동주의
사회교환이론(인지행동주의 모델의 치료적 접근)
치료기법의 실제 적용
본문내용
착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폴은 아버지 곁에 있다가 결국 자유를 얻는데 성공합니다. 그러나 폴은 끊임없이 아버지의 규칙을 깨려 하나 그러면 그럴수록 줄은 더 팽팽해지고 갈고리는 몸 안에 더욱 깊숙이 박혀 점점 지쳐가는 물고기와 같게 됩니다. 폴의 비극은 이렇게 몸부림치는 물고기처럼 결국 아버지를 벗어나지 못하는 데에서 기인합니다.
좀처럼 감정을 드러내지 않던 아버지는 폴이 죽고 난 한참 후에야 죽은 아들에 대해 이렇게 회상합니다. 그는 아름다웠다라고 그리고 죽은 아들을 그리워하며 교회 강단에 선 아버지는 비로서 회한에 잠겨 우리는 상대방이 도움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오히려 때론 그들이 원하지 않는 도움을 주곤 합니다. 그러나 우린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없다 하더라도 서로를 사랑할 수는 있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유명한 말이 나오죠..바로 완전히 이해할 순 없어도 완전히 사랑할 수는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결국 결과는 폴의 죽음이었습니다. 부자간에 서로 사랑했다고 하지만 그들은 본질적인 갈등을 정면으로 부딪혀 해결하려 하지 않았습니다. 진짜 갈등을 겪는 것이 두려워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계속 겉돌았을 뿐 어떤 구체적인 행동이나 변화를 위한 시도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아버지는 폴의 모습을 속으로는 사랑했을지 모르지만 겉으로는 절대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폴 또한 아버지를 동경하고 사랑했지만 아버지의 냉정함에 그 마을을 애써 감췄습니다. 상처주지 않는 사랑을 꿈꾸었지만 상처 입는게 두려워 갈등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피해버림으로써 오히려 서로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히고 말았습니다.
♣. 평가
영화를 보면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은 모든 것은 어떤 변화도 가져올 수 없다는 것을 잘 보여줍니다.
이에 대해 메클린 가족을 치료할 수 있는 행동적인 방법들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만약 낚시라는 매개를 통해 아버지가 폴의 8박자 규칙을 인정하고 아들과 함께 조금씩 같이 해나감으로써 폴과 공감대를 쌓아가며 이해의 층을 넓힐 수 있었을 것이다. 이 같이 아버지가 폴을 이해하려는 행동들이 폴에게는 아버지의 권위와 억압에 대한 도전의식과 반항감을 경감시키는 하나의 강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폴 또한 아버지와 같은 선상에서 극단(자신의 욕구를 상대방에게 의존하기만함)으로 치닫기 보다는 형 노먼의 행동을 조금만이라도 모델링하였다면 보다 자기보호 아래 자신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었을 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이들 부자관계에서는 각자 다른 성격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학습되지 않는 문제점이 이들 관계 속에 있습니다. 아버지는 자녀의 당돌하고 거침없는 행동들을 불안해하고 제재하려기에 앞서 그런 행동 속에 숨겨있는 도전정신과 열정을 인정해주고 그것을 가족에 대한 헌신의 방향으로 바꿀 수 있게 격려하는 것입니다.
메클린 가족의 삶에서 위와 같은 인지 행동적 대처과정이 있었더라면 폴의 죽음이라는 결말 대신 낚시와 시를 사랑하며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가족으로 결말을 맺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합니다.
좀처럼 감정을 드러내지 않던 아버지는 폴이 죽고 난 한참 후에야 죽은 아들에 대해 이렇게 회상합니다. 그는 아름다웠다라고 그리고 죽은 아들을 그리워하며 교회 강단에 선 아버지는 비로서 회한에 잠겨 우리는 상대방이 도움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오히려 때론 그들이 원하지 않는 도움을 주곤 합니다. 그러나 우린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없다 하더라도 서로를 사랑할 수는 있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유명한 말이 나오죠..바로 완전히 이해할 순 없어도 완전히 사랑할 수는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결국 결과는 폴의 죽음이었습니다. 부자간에 서로 사랑했다고 하지만 그들은 본질적인 갈등을 정면으로 부딪혀 해결하려 하지 않았습니다. 진짜 갈등을 겪는 것이 두려워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계속 겉돌았을 뿐 어떤 구체적인 행동이나 변화를 위한 시도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아버지는 폴의 모습을 속으로는 사랑했을지 모르지만 겉으로는 절대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폴 또한 아버지를 동경하고 사랑했지만 아버지의 냉정함에 그 마을을 애써 감췄습니다. 상처주지 않는 사랑을 꿈꾸었지만 상처 입는게 두려워 갈등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피해버림으로써 오히려 서로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히고 말았습니다.
♣. 평가
영화를 보면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은 모든 것은 어떤 변화도 가져올 수 없다는 것을 잘 보여줍니다.
이에 대해 메클린 가족을 치료할 수 있는 행동적인 방법들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만약 낚시라는 매개를 통해 아버지가 폴의 8박자 규칙을 인정하고 아들과 함께 조금씩 같이 해나감으로써 폴과 공감대를 쌓아가며 이해의 층을 넓힐 수 있었을 것이다. 이 같이 아버지가 폴을 이해하려는 행동들이 폴에게는 아버지의 권위와 억압에 대한 도전의식과 반항감을 경감시키는 하나의 강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폴 또한 아버지와 같은 선상에서 극단(자신의 욕구를 상대방에게 의존하기만함)으로 치닫기 보다는 형 노먼의 행동을 조금만이라도 모델링하였다면 보다 자기보호 아래 자신의 만족감을 높일 수 있었을 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이들 부자관계에서는 각자 다른 성격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학습되지 않는 문제점이 이들 관계 속에 있습니다. 아버지는 자녀의 당돌하고 거침없는 행동들을 불안해하고 제재하려기에 앞서 그런 행동 속에 숨겨있는 도전정신과 열정을 인정해주고 그것을 가족에 대한 헌신의 방향으로 바꿀 수 있게 격려하는 것입니다.
메클린 가족의 삶에서 위와 같은 인지 행동적 대처과정이 있었더라면 폴의 죽음이라는 결말 대신 낚시와 시를 사랑하며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가족으로 결말을 맺을 수 있지 않았을까 합니다.
추천자료
인지이론과 행동주의이론 치료목표와 기법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이론) 개념정의]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인지행동모델의 철학, 이론적 기반, 주요 가정, 개입목표, 개입과정, 개...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와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
인간과교육3공통) (1)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 (2)피아제(Piaget)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실천방법과 기술 - 클라이언트로서의 아동의 특성과 아동 대상 사회복...
[사회복지실천론] 인지행동 모델의 개요와 이론적 배경, 실천과정과 적용분야 및 한계점
[이상심리학] 이상행동을 설명하는 제 이론 - 생물의학적 모형, 정신분석학적 모형, 행동주의...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과 사회복지현장 적용
(인간과교육) 현대사회에서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 피아제의 인지...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성격이론을 사회복지에 접목시키는 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횐경] 엘리스의 인지적 이론을 정리하고 주위의 비합리적인 신념을 가진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