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문학 (김소진과 김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김용의 무협소설들 각 작품에 드러나는 '아버지의 부재'의 의미와 그 차이점에 대해
(1) 사조 영웅전
(2) 신조협려
(3) 녹정기

3. 김소진 소설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부재'와 그 의미

4. 김용의 무협소설과 김소진 소설에서의 아버지의 부재의 의미와 이에 대한 비교

5. 맺음말

본문내용

한 시선의 근저에 사실은 북에 두고 온 처자에 대한 진한 그리움이 작동하고 있음을 밝혀내는 등 작품 곳곳에 드러나 있다.
이와 같이 김소진 소설에서의 아버지는 현재 존재하고 있지 않은, 즉 부재중인 과거 속의 존재인 동시에 작중화자의 마음속에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아픔과 상처를 덧칠해 주는 영속적인 존재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존재했으면서도 그 존재를 인정하고 싶지 않은, 즉 화자의 마음속에는 존재하면서도 부재중인 아버지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의 기저에는 아버지에 대한 증오와 그와 같은 크기의 연민이 범벅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4. 김용의 무협소설과 김소진 소설에서의 아버지의 부재의 의미와 이에 대한 비교
필자는 김소진 소설과 김용의 무협소설들에서 나오는 아버지와 그 부재에 대한 의미를 정리해 보았다. 김소진 소설들에서의 '아버지'란 작품 속 인물들에게 상처와 아픔을 전해주는 현실 속의 무능력한 아버지인 반면 김용의 소설들에서의 '아버지'란 그 당대의 시대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은 이러한 아버지의 부재에 대한 인물들의 행동에 각기 다른 정당성을 부여해 주고 있다. 김소진 작품들에서 작중화자는 과거 무기력했던 아버지에 대해 회상하며 끊임없이 상처를 되새김질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무의미해 보이는 행동 이면에는 아버지가 보여주었던 현실 순응적인 인간적 활력에 대한 끊임없는 갈구가 깔려 있다. 즉, 김소진 소설들에서의 아버지의 부재란 과거 속 아픔으로부터의 해방인 동시에 현실 속의 무의미하고 메마른 생활상의 대한 작가의 씁쓸함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김용의 작품들 속에 나오는 인물들은 부재하는 아버지를 자신의 시대적 삶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존재치 않는 아버지를 자신의 내부에서 스스로 재생산해내며 시대적 아버지상과 동일화한 후 그를 그대로 모방하는 행위들이 작품 곳곳에 드러난다.
이렇듯 두 작가는 '아버지의 부재'라는 같은 주제를 다루었지만 그것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제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김소진의 소설 속 인물들의 아버지에 대한 감정은 지극히 인간적인 증오와 연민, 약간의 그리움 등인데 반하여 김용의 작품 속 인물들은 아버지에 대한 끝없는 신격화를 시도하고 이를 모방하는 행위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서 필자는 당 시대를 대표하는 존재로서의 크고 강력한 '아버지'와 그 동안 우리네 개인사 속에 묻혀왔던 작고 초라한 현실적 존재로서의 '아버지'를 동시에 살펴 볼 수 있었다.
5. 맺음말
남자라면 누구나 언젠가는 '아버지'가 될 것이다. 그리고 자신들의 존재가 소멸될 때 자식들에게 그것은 곧 또 다른 '아버지의 부재'로 다가올 것이다. 작품에서 살펴 보았듯이 존재할 때 보다 부재할 때 더욱 더 큰 무게로 다가오는 '아버지'란 존재. 그것이 어떤 시대상과 결부되어 받아들여지던 한 개인적인 작은 일기 속으로 녹아 들어가건 '아버지의 부재'란 남겨진 이들에게 삶의 화두로 평생을 짊어지고 가야 할 수수께끼 같은 보따리가 될 것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1.23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3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